WAS와 WEB 서버 차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웹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 요청을 하면 요청을 받아 정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정적 콘텐츠는 HTML, CSS, 이미지, 파일 등의 콘텐츠가 제공됩니다.

WAS란 DB 조회 또는 다양한 로직의 처리가 요구되는 동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서버입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웹서버란 무엇인가?

  • WEB Server 의미
  • 하드웨어: WEB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 콘텐츠(html, Jpg, css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 개념
  • 정적 콘텐츠: WAS를 처치지 않고 바로 자원 제공
  • 동적 콘텐츠: 클라이언트 Requset를 WAS 보냄
  • 종류: Apache Server, Nginx, IIS, WebToB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 개념
  • DB 조회 및 로직 처리가 요구되는 동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서버
  • Web Container 또는 Servlet Container 로 불림
  • Container는 Jsp, Servlet를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뜻함.
  • 기능
  • 프로그램 실행 환경 및 DB 접속 기능
  • 여러 개 트랜잭션 관리 기능
  • 종류: Tomcat, Websphere, Weblogic, Jeus 등
※서블릿(Servlet)
서블릿(Servlet)은 자바로 작성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서블릿은 웹 서버에서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웹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서블릿은 일종의 자바 클래스로, Java Servlet API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작성됩니다. 이들은 주로 HTTP 요청을 처리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처리한 후, 동적인 웹 페이지나 다양한 형태의 응답을 생성합니다.

서블릿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예: Apache Tomcat, Jetty 등)에서 실행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HTTP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HTML을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여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Server(서버)

WAS를 사용하는 이유

  • 정적 콘텐츠와 동적 콘텐츠를 분리함으로써 서버 부하 방지
    • 동적 콘텐츠 및 DB 조회는 정적 콘텐츠를 처리하는데 비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적·동적 콘텐츠를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임
  • 보안 강화
    • DB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웹서버와 WAS를 분리해서 사용하면 보안이 강화됨.

Similar Posts

  •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와 명령어 옵션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는 ‘리눅스 명령어 인수‘, ‘명령 인자‘ 등으로도 불리며,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매개변수를 뜻 합니다. 리눅스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가리킵니다. 이 값은 해당 프로그램이나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정의에…

  •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점 9가지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점이 한번 씩 생기게 됩니다. 간단하게 차이점을 요약하자면, 리눅스는 유닉스의 오픈 소스 구현체로,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 체제를 제공하면서도 커뮤니티 기반의 개방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안정적이고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운영 체제이지만, 유닉스는 상용 운영 체제의 역사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고, 리눅스는 개방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리눅스 uniq 명령어

    리눅스 uniq 명령어는 “unique”의 약자이며, 텍스트 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하나의 행만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복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몇 번의 반복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웹서버란 무엇인가?WAS(Web Application Server)란?WAS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 uniq 명령어 기본 사용법 INPUT 파일은 대상 파일로써 표준 입력에서 읽은 후 기본 출력을 진행합니다. OUTPUT…

  •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 명령어 및 배포판 버전 확인 방법

    리눅스를 운영할 때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과 배포판 버전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차웹서버란 무엇인가?WAS(Web Application Server)란?WAS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 명령어 리눅스에서 커널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uname 명령어를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uname 명령어 uname -a는 모든 결과를 보여 줍니다. 2. /proc/version 에서 확인 3. hostnamectl ✅ 리눅스 배포판…

  • [Linux] ip 명령어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설정 관리

    i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할 때 사용되는 주요 도구로, 다양한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p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할 수 있으며, IP 주소를 확인하거나 수동으로 추가 및 삭제하는 작업도 가능합니다. 또한 라우팅 테이블을 조회하고 경로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라우팅 관리, ARP 테이블 확인 및 수정, 터널링 설정…

  • 리눅스 chgrp 명령어

    리눅스 chgrp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며, Change Group의 약자입니다. 목차웹서버란 무엇인가?WAS(Web Application Server)란?WAS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 chgrp 명령어 기본 사용법 chgrp 명령어에서 옵션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chgrp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R 하위 디렉토리에 적용. ✅ chgrp 명령어 사용 예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