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 방법 3가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워프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해외에서 많은 스팸 댓글이 달릴 때가 많습니다. 댓글을 스팸 및 삭제하기 전에 달린 댓글들은 DB 용량을 차지해서 서버의 리소스를 잡아 먹습니다. 커뮤니티 or 전자상거래 목적의사이트가 아니라면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를 설정을 해 놓는 것이 옳은 결정입니다.

1.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설정 메뉴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설정 > 토론 > [새 글에 사용자가 댓글달기 허용]이 체크되어 있다면 풀어 주시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 설정 메뉴에서 허용 해제하기

그 이전에 설정한 글에서는 댓글이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글마다 일일이 수동으로 댓글 허용 체크를 Post 수정 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쓴 글이 많다면 수동으로 일일이 설정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댓글 비활성화 방법-소스 수정하기

차일드 테마를 만들어서 작업하는 방법입니다. 차일드테마 폴더 내 function.php에 소스를 추가해 주는 방법입니다.

# 댓글, 트랙백 비활성화 #
function df_disable_comments_post_types_support() {
   $post_types = get_post_types();
   foreach ($post_types as $post_type) {
      if(post_type_supports($post_type, 'comments')) {
         remove_post_type_support($post_type, 'comments');
         remove_post_type_support($post_type, 'trackbacks');
      }
   }
}

3. DB 설정

DB 쿼리를 입력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용 중인 서버 or 웹호스팅 회사에서 PHPMyAdmin이 설정되어 있다면 PHPMyAdmin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모든 글 댓글 비활성화 & 활성화

UPDATE wp_posts SET comment_status = 'closed' where post_type ='post';

UPDATE wp_posts SET comment_status = 'open' where post_type ='post';

▼모든 페이지 댓글 비활성화 & 활성화

UPDATE wp_posts SET comment_status = 'closed' where post_type ='page';
UPDATE wp_posts SET comment_status = 'open' where post_type ='page';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 DB 쿼리문 입력하기

댓글 설정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플러그인으로 설정 후에는 해당 플러그인을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재 사용 할 일이 거의 없기에 되도록이면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3가지 방법 중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워드프레스의 상당 수 플러그인이 삭제를 진행하더라도 DB 삭제가 되지 않아 차후에 DB 테이블을 별도로 삭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Similar Posts

  •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하기: WordPress Migration 작업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직접 AWS LightSail에서 관리하기 위해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서버 이전을 진행하게 된 이유는 위와 같은 이유 외 다양한 이유로 서버 이전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설정 메뉴2. 댓글 비활성화 방법-소스 수정하기3. DB 설정 1.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을 위한 기존 서버 SSH 접속 먼저 이용하는 호스팅 업체의 SSH…

  • TLS/SSL 보안인증서 종류(형식) 4가지와 기능

    SSL 인증서의 목적은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전 기존 HTTP 프로토콜에서 HTTPS 프로토콜로 변경이 되면서 전송 된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TLS(SSL) 인증서의 종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SSL 보안인증서 종류는 크게 싱글(Single)인증서, 멀티(Multi) 인증서, 와일드카드(WildCard),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인증서 4개로 볼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 종류에 따라 어떤 점이 다른지 기능들을 살펴…

  • 웹 사이트 속도 측정 TOP4 (GTmetrix WebPagetest..)

    워드프레스 CMS를 포함한 웹 사이트의 속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페이지의 느린 로딩 속도로 방문자는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보기 전에 이탈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웹 사이트 속도 측정 도구를 이용해 운영 중인 웹 사이트의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지 체크할 수 있는 도구들입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설정 메뉴2. 댓글 비활성화 방법-소스 수정하기3. DB 설정 웹 사이트 속도…

  •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 및 피드 주소 확인

    워드프레스에서 RSS 피드 설정과 주소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의 기본 RSS 피드 개수는 10개로 설정되어 있으며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먼저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 방법입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설정 메뉴2. 댓글 비활성화 방법-소스 수정하기3. DB 설정✅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하기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설정] > [읽기] 항목으로 접속…

  • [WP] 워드프레스 파비콘(Favicon) 설정하기

    파비콘(Favicon)은 즐겨 찾기와 아이콘의 합성어 [favorites + icon]로 만들어 졌습니다. 보통 웹사이트 브랜드나 로고의 간결한 버전이나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해당 웹사이트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파비콘은 주로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favicon.ico”라는 파일 이름으로 저장됩니다. 브라우저는 이 아이콘을 자동으로 로드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또한, 파비콘은 웹사이트의 다양한 페이지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 워드프레스 캐시 플러그인 WP Rocket 속도 테스트: 설정 전·후 성능 최적화 비교 분석

    WP Rocket 플러그인의 세팅 방법 및 할인된 가격 등에 대해 확인을 했습니다. 가장 보편적인 설정 이후에 WP Rocket 속도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크롬 개발자 도구의 DOMContentLoaded 및 구글 페이지 스피드 점수 2가지 항목으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WP Rocket의 설정 방법 및 가격 정보가 필요할 경우 아래 버튼을 눌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댓글 비활성화-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