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정의 및 개념 | 최상위 도메인(TLD)의 종류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도메인은 원래 ‘영토, 영역, 분야’ 등을 뜻하는 단어로, 오늘날에는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메인은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사람이 읽기 쉬운 주소입니다. 웹사이트는 본래 고유한 IP 주소(숫자)로 구분되지만,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문자 기반의 도메인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IP와 도메인 주소의 차이 | 인터넷 주소 체계 이해하기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우리는 보통 naver.com이나 uknew.co처럼 사람이 읽기 쉬운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웹 브라우저는 이러한 문자열을 이해하지 못하고, 내부적으로는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통해 통신을 합니다. 이처럼 IP와 도메인은 같은 목적을 가지지만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요소입니다.

🔲 IP 주소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에 부여되는 고유한 숫자 주소입니다. 컴퓨터는 이 숫자를 이용해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합니다.

  • 예: 142.250.206.78 (IPv4), 2001:db8::1 (IPv6)
  • 마치 전화번호처럼, 특정 장치(웹서버 등)를 가리킵니다.

🔲 도메인

도메인은 이러한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고 입력하기 쉽게 만든 문자열 주소입니다.

  • 예: google.com, uknew.co
  • 사용자가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Domain Name System)가 이를 해당 IP 주소로 변환해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됩니다.

🔲 도메인이 필요한 이유

도메인(domain)

IP 주소는 사람이 기억하거나 입력하기 불편합니다. 따라서 DNS 시스템을 통해 문자 주소(도메인)를 숫자 주소(IP)로 자동 변환함으로써, 우리는 쉽고 빠르게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uknew.co를 입력하면, DNS가 이를 123.456.78.90과 같은 IP 주소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항목IP 주소도메인 주소
구성 방식숫자(IPv4: 192.168.0.1, IPv6 포함)문자 기반(예: uknew.co)
용도컴퓨터가 통신에 사용하는 주소사람이 기억하고 사용하는 주소
관계도메인은 DNS를 통해 IP에 연결됨IP와 1:1 또는 1:N 매칭 가능
변경 가능성고정 IP 또는 유동 IP로 변경 가능도메인 유지되며 IP만 변경 가능
예시142.250.206.78google.com

✅ 최상위 도메인: TLD

인터넷 주소는 여러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도메인 계층을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google.com에서 .com이 바로 TLD입니다. TLD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다이얼로 도메인 .com 선택

🔲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gTLD(Generic Top-Level Domain)는 전 세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도메인입니다.

초기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도메인만 존재했습니다.

도메인

용도 예시

.com

기업 및 상업용

.org

비영리 단체

.net

네트워크 기관

.edu

교육기관 (대학 등)

.gov

미국 정부

.mil

미국 군사 기관

.int

국제 기구 (예: UN 등)

이후 .info, .biz, .name 등 다양한 gTLD가 추가되었고, 최근에는 .shop, .app, .design 같은 신규 gTLD(New gTLD)도 등장했습니다.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ccTLD(Country Code Top-Level Domain)는 특정 국가나 지역을 나타내는 도메인입니다. 2자리의 ISO 국가 코드로 구성되며, 각 나라 별 등록기관(NIC)에서 관리합니다.

국가

ccTLD 예시

한국

.kr

일본

.jp

미국

.us

영국

.uk

독일

.de

ccTLD는 보통 자국민 또는 기업에 우선 제공되며, 일부 국가는 글로벌 사용자에게도 개방하고 있습니다.

구분

명칭

예시

설명

일반 최상위
도메인

gTLD (Generic TLD)

.com, .org, .net, .edu 등

누구나 등록 가능,

전 세계 공용 도메인

신규 gTLD

New gTLD

.shop, .app, .blog, .design

추가된 gTLD, 브랜드/목적 기반

국가 코드 도메인

ccTLD (Country Code TLD)

.kr, .jp, .uk, .us, .de 등

국가나 지역을 나타내는 2자리 코드

◻️ ccTLD란?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의 의미

ccTLD(Country Code Top-Level Domain)는 국가 또는 지역을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주로 ISO 3166-1 표준을 기반으로 합니다.
예외적으로 영국은 ISO 코드 GB 대신 .uk 도메인을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국가는 각국의 도메인 등록기관(NIC)에서 ccTLD를 관리하며, 한국의 경우 KISA 산하 KRNIC이 .kr 도메인을 관리합니다.

✅ 서브도메인이란? 구조와 활용 방법

서브도메인은 하나의 도메인 이름에서 하위 영역을 나누어 별도의 주소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기본 도메인이 example.com이라면 blog.example.com, shop.example.com, www.example.com과 같은 형태가 모두 서브도메인에 해당합니다.

도메인의 일부인 www 서브도메인(하위도메인) 웹 사이트 계층 구조

🔲 서브 도메인의 구조

[서브도메인].[기본 도메인].[최상위 도메인]
예: blog.example.com
  • blog: 서브도메인
  • example: 기본 도메인 (Second-Level Domain)
  • com: 최상위 도메인(TLD)

활용 예시

  • blog.domain.com: 블로그 전용 페이지
  • shop.domain.com: 쇼핑몰 서비스
  • support.domain.com: 고객지원 페이지
  • m.domain.com: 모바일 전용 페이지

🔲 서브도메인의 장점 및 주의점

구분

내용

장점

  • 별도의 웹사이트처럼 운영 가능 (설정에 따라 다른 CMS 적용 가능)
  • 기능별 분리 운영으로 관리 용이
  • 메인 도메인과 분리된 보안 인증서 설정 가능
    (SSL 개별 적용 가능)

주의점

  • 서브도메인과 서브디렉토리는 SEO 처리 방식이 다를 수 있음
  • 웹 호스팅 설정 또는 DNS 레코드에서 별도로 설정해야 함
  • 트래픽 및 콘텐츠 분산 시 전략적 계획 필요

✅ 도메인의 기본 구성

구분

설명

예시

서브도메인

메인 도메인 앞에 위치한
하위 도메인

blog.example.com

도메인 이름

사용자가 등록한 고유 이름

example

최상위 도메인

도메인 이름의 가장 마지막 부분

.com, .net, .kr 등

네임칩은 2000년에 설립된 미국의 도메인 등록 및 웹호스팅 서비스 제공 업체입니다. 저렴한 가격과 무료 WHOIS 보호를 제공하며, 도메인 전문 서비스로 해외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가진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ICANN은 전 세계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을 관리하는 국제 비영리 기구입니다.
도메인은 ICANN의 승인 아래, 레지스트리(등록 기관)와 레지스트라(판매 대행자) 구조로 운영됩니다.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주소를 나타내는 고유한 이름이며,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도메인을 포함한 전체 경로로, 특정 페이지나 파일의 위치까지 지정합니다.

Similar Posts

  • [Chrome]구글 디스커버란?|디스커버 관심분야 설정 방법

    전 세계의 수 많은 사람들이 웹을 이용한 뉴스 기사와 관심 키워드를 구글링을 통해 소비합니다. 발견하다는 이름처럼 구글 디스커버(Google Discover)는 보다 쉽게 온라인 사용자의 관심사를 자동으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목차✅ IP와 도메인 주소의 차이 | 인터넷 주소 체계 이해하기🔲 IP 주소🔲 도메인🔲 도메인이 필요한 이유✅ 최상위 도메인: TLD🔲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 구글 애널리틱스 애드센스 연결 방법

    애드센스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 페이지에서 수익이 나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애널리틱스 자체적으로는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볼 수 있게 끔 구글 애널리틱스 애드센스 연결 설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애드센스와 애널리틱스 양쪽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연동이 가능합니다. 목차✅ IP와 도메인 주소의 차이 | 인터넷 주소 체계 이해하기🔲 IP 주소🔲 도메인🔲 도메인이…

  • SEO를 위한 타이틀 태그: H1 태그와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

    타이틀 태그는 구글 등의 검색 엔진에서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 링크로 표시됩니다. 타이틀 태그(Tltle Tag)란 웹페이지 제목을 지정하며, HTML 요소입니다. 타이틀 태그 SEO(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해 웹페이지의 콘텐츠에 대해 정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필요로 합니다. SERP에 나오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확인된 것처럼 [검색엔진 최적화(SEO)란 무엇일까? 라는 글에서 제목 및 메타 디스크립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목 태그는…

  • 크롬 개발자 도구 성능 탭 활용

    웹사이트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려면 단순한 속도 점수보다, 브라우저가 실제로 렌더링과 스크립트를 어떤 순서로 처리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크롬 개발자 도구 성능 탭은 페이지 로딩 과정과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른 성능 저하를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렌더링 지연, 자바스크립트 실행 순서, LCP·FCP·CLS와 같은 Core Web Vitals 지표까지 모두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 클라우드플레어 CDN 설정(Pro 플랜)

    클라우드플레어 CDN을 예전에 사용했었는데 최근 다른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재 연결을 하게 되었습니]다. 캐시 플러그인은 현재 사이트와 동일한 조건으로 세팅했는데 무료 플랜은 속도가 현재 사이트에 근접하지 못하고 오히려 느린 결과를 보였습니다.(현재 사이트는 클라우드플레어 CDN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원래 사이트처럼 동일하게 세팅해서 속도를 높일까 고민하다가 Pro플랜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확실히 업데이트 후 현재 사이트보다 조금 느리지만…

  • 내 브라우저 해상도 크기 확인하기:해상도 확인 사이트

    사용하는 PC 및 모바일 내 브라우저 해상도 크기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모니터 별 다양한 디바이스 크기가 있으며 우선 대표적인 3가지 디바이스 크기입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이 페이지에 접속하면 목차 1.에서 접속한 디바이스(PC,테블릿,스마트폰 등) 해상도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P와 도메인 주소의 차이 | 인터넷 주소 체계 이해하기🔲 IP 주소🔲 도메인🔲 도메인이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