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OSI 7계층] | TCP/IP 4계층 🔝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초창기 인터넷은 회사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했으며, 인터넷 망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OSI 7계층을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지정하게 됩니다.
ISO에서 Open System 간의 통신을 위해 제정한 권고 사항이 OSI 7계층입니다. OSI 계층(Layer)은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직역하면 상호 연결된 오픈 시스템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
OSI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눈 이유는 복잡한 데이터의 전송을 7계층으로 나눠 이해하기 쉽고, 인터넷 연결 오류 발생 시 이상이 생긴 계층에서만 체크하여 고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지게 됩니다.
Ⅱ. OSI 7계층
PDU(Protocol Data Unit): 각 계층에서 헤더와 데이터를 합친 부분을 PDU라고 부릅니다.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뜻 하며, 각각의 계층에 따라 다르게 불리게 됩니다.
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데이터 플로 계층(하위 계층)
OSI 계층은 다시 두 개의 계층으로 나뉘어입니다.
- 1~4계층: 데이터 플로 계층(Data Flow Layer) / 하위 계층(Lower Layer)
 - 5~7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 상위 계층(Upper Layer)
 
2. OSI 모델 계층표
3. OSI 모델 계층의 역할
2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기 신호를 모아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처리합니다.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보다는 정보의 정의 및 정확한 주소로 통신이 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네트워크 OSI 7계층] | TCP/IP 4계층 🔝 10 리피터(Repeater)](https://cdn.uknew.co/storage/2024/02/리피터Repeater.webp)
Ⅲ. TCP/IP 4계층
네트워크 전송의 데이터 표준은 OSI 7계층이며, 이론에서 실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은 TCP/IP 계층입니다.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이 TCP/IP 모델에서 하나로 합쳐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CP/IP 4계층은 이론보다 실무에서 더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