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및 파일 종류🔝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운영체제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위에서 아래 또는 위와 아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시작 지점인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됩니다.

Linux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는 리눅스를 포함한 유닉스 유형 운영 체제의 디렉토리 구조와 내용을 결정하는 일련의 지침인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표준의 적용을 받습니다. 계층 구조 표준은 리눅스 재단(영어: Linux Foundation)에서 관리합니다.

✅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파일은 크게 일반 파일, 디렉토리, 특수 파일(장치 파일)로 나뉘어집니다.

파일 종류

설명

일반 파일

텍스트, 실행파일, 이미지 등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바이너리 형식일 수 있음.

디렉토리

하위 파일이나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특별한 파일.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됨.

특수 파일(장치 파일)

하드디스크, 마우스 등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 /dev 디렉토리 아래에 존재함.

링크 파일(심볼릭 링크)

원본 파일을 참조하는 링크 파일.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함.

  • 일반 파일
  • 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텍스트 파일, 실행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파일이 일반파일에 속하게 됩니다. 실행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의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합니다.
  • 디렉토리
  • 리눅스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합니다. 디렉토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됩니다.
  • 특수 파일(장치 파일)
  • 리눅스는 하드디스크나 마우스 같은 장치들도 파일로 취급합니다. 장치 파일은 이와 같은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장치 파일은 /dev 디렉토리 아래에 위치합니다. /dev/null 역시 장치 파일입니다.
  • 심벌릭 링크
  • 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을 대신하도록 원본 파일을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이며,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리눅스 파일 종류
├── 일반 파일
   └──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 바이너리 파일 포함 가능
├── 디렉토리 파일
   └── 하위 파일/디렉토리 정보를 담는 특수한 파일
├── 특수 파일
   ├── 장치 파일
      ├── 문자 디바이스 (예: /dev/tty)
      └── 블록 디바이스 (예: /dev/sda)
   ├── 소켓 파일
      └── 프로세스  통신용 파일
   └── 파이프(이름 있는 FIFO)
       └── 프로세스  데이터 흐름용
└── 링크 파일
    ├── 심볼릭 링크
       └── 다른 파일의 경로를 참조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
    └── 하드 링크 ( 내부적으로는 일반 파일처럼 보임)

리눅스 시스템은 파일에 대한 소유권과 권한을 부여하여, 각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토리의 계층 구조가 중요한 이유는 명확하게 이해하면 파일 시스템 탐색을 빠르고 쉽게 파일과 폴더를 찾을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파일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의 모든 디렉토리는 [/] 디렉토리에서 시작합니다. 파티션을 나눌 때에도 [/] 아래 디렉토리에 마운트 합니다. 장치 파일은 /dev/sda와 같은 형식을 띄게 됩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 [ROOT]
├─/bin -> usr/bin
├─/boot
├─/dev
├─/etc
├─/home
├─/lib -> usr/lib
├─/media
├─/mnt
├─/opt
├─/proc
├─/root
├─/run
├─/sbin -> usr/sbin
├─/srv
├─/sys
├─/tmp
├─/usr
   ├─ /bin
   ├─ /include
   ├─ /lib
   └─ /sbin
└─/var
    ├─ cache
    ├─ lib
    ├─ local
    ├─ log
    ├─ opt
    ├─ spool
    └─ tmp

🔲 리눅스 /usr/ 계층 구조

🔲 리눅스 /var/ 계층 구조

/var 계층은 9개의 하위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Zend OPcache 개념과 설치 및 설정

    OPcache는 PHP script 를 바이트코드(bytecode)로 컴파일한 후에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 시키는 모듈입니다.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PHP 가속기(PHP accelerators) 중 하나인 Zend Opcache 는 PHP 5.5부터 기본 모듈로 내장되었습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구조✅ OPcache의 주요…

  • 리눅스: lrzsz 툴 설치 및 파일 업로드(rz) 및 다운로드(sz) 사용하기

    리눅스 OS에서 rz와 sz를 이용한 각각의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 lrzsz가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lrzsz 툴 설치 후 rz와 sz는 ZMODEM/YMODEM/XMODEM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서 파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Xshell을 사용해서 lrzszs 툴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 echo 명령어: From 확장과 인용

    echo 명령어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echo 명령어는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쉘 스크립트 작성 시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표준 출력 상에 해당 텍스트 인자를 표시한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구조1. echo 명령어 옵션 2….

  •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E, RHCA

    레드햇 자격증(Red Hat Certification)은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고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레드햇 웹사이트에서 확인한 RHCSA, RHCE, RHCA 3개 자격증의 정보입니다. 자격증의 기본적인 취득 조건은 RHCSA 자격증 취득 후 RHCE, RHCA 순서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 Rsync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Rsync 명령어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원격에서 로컬, 로컬에서 로컬로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rsync에는 두 가지 접속 방법이 있는데 SSH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과 rsync 데몬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구조 ✅ rsync의 두…

  • 리눅스 tee 명령어

    리눅스 tee 명령어는 배관시설에 비유해서 이름이 붙여진 명령어입니다. 파이프 모양과 똑같은 “T”에서 본따 tee 명령어이며 표준 출력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파일을 동시에 출력합니다. tee 명령어의 목적은 작업 진행 중 파이프라인(I)의 중간 내용을 알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