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고유주소(Permalink)와 슬러그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워드프레스 고유주소(Permalink, 영구링크, 고유링크 등)는 도메인 뒤에 붙는 게시물이나 페이지의 전체 URL 주소를 제공합니다. 특정 콘텐츠에 엑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Permalink는 워드프레스 콘텐츠의 영구적인 주소로써 URL이 필요한 모든 워드프레스 콘텐츠에 사용됩니다.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일반설정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워드프레스를 처음 설치하고 고유주소 설정에 들어가게 되면 일반 설정으로 기본 세팅이 되어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고유주소(Permalink)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면 [일반] 설정 주소는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크롤링 하는데 있어 어떤 콘텐츠인지 파악하기 어려워 SEO 측면에서 좋지 않습니다. 보통 사용자 정의 구조를 사용해서 /%category%/%postname%/의 형식으로 도메인 뒤에 [카테고리]와 [포스트]가 따라오는 구조나 단순히 도메인 뒤에 [글 이름]이 붙는 방식이 많은 워드프레스 이용자들 사이에서 이상적인 방법으로 이야기합니다.

저의 경우 처음 워드프레스를 개설하고 카테그리/글이름 형식으로 20~30 개의 포스트를 작성했다가 다시 [글 이름] 형식으로 변경했습니다. 이유는 글을 작성하다 보면 SEO 측면에서 너무 긴 URL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좀더 간결한 URL을 원하기도 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방식이 제일 낫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미 방문자가 조금 씩 늘어가는 상황이었지만 404 페이지가 생기는 것을 감수하고 [글 이름]형식으로 다시 변경했습니다.

워드프레스 고유 주소를 변경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은 경고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순위 경고: 라이브 색인 사이트에서 퍼머링크를 잘못 변경하면 심각한 트래픽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 URL 형식에서 새 형식으로 새 리디렉션을 추가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워드프레스 슬러그(Slug)와 고유주소(Permalink) 차이

퍼머링크(Permalink)는 콘텐츠 게시물에 대한 전체 링크입니다. 슬러그는 퍼머링크의 마지막 부분이며 워드프레스 카테고리를 생성할 때 카테고리 별 슬러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카테고리 추가 시 생성되는 슬러그(Slug)

물론 퍼머링크를 [글 형식]으로만 작성했다면 카테고리에 설정된 슬러그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카테고리 링크로 들어가야 해당 슬러그가 생성된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카테고리가 포함되었더라도 슬러그는 URL의 마지막이라는 것을 인지하면 됩니다.

워드프레스의 기본 설정은 타이틀을 만들 시 [타이틀 태그]가 [H1 태그] 및 [슬러그]와 함께 동일하게 생성된다는 것입니다. SEO를 위해 타이틀 태그와 H1 태그를 동일하게 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슬러그는 URL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게 설명하기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wordpress라는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게 쉽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을 포기할 순 없는 것이지요.

워드프레스 살펴 보기

워드프레스의 고유주소와 카테고리를 만들게 되는 요소가 워드프레스 슬러그를 결정 짓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imilar Posts

  • Autoptimize: 워드프레스 최적화 플러그인

    워드프레스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캐시 플러그인 외 최적화 플러그인 설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성능 향상 플러그인으로 Autoptimize, Asset CleanUp, Perfmatters 이 세 가지 플러그인을 들 수 있습니다. 3개의 플러그인은 코드 및 리소스 최적화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워드프레스 성능 향상 플러그인들입니다. 캐시 플러그인은 페이지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서버 부담을…

  • 리눅스 서버에 워드프레스 설치하는 두 가지 방법: FTP vs wget

    워드프레스는 대표적인 CMS로, 리눅스 서버 환경에서도 수동 설치 방식으로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워드프레스 설치를 두 가지 방법, FTP를 이용한 수동 업로드 방식과 wget 명령어를 활용한 설치 방식을 다룹니다. 서버 환경과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 이 문서는 호스팅 계정, 데이터베이스 계정, SSL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 웹 사이트 속도 측정 TOP4 (GTmetrix WebPagetest..)

    워드프레스 CMS를 포함한 웹 사이트의 속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페이지의 느린 로딩 속도로 방문자는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보기 전에 이탈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웹 사이트 속도 측정 도구를 이용해 운영 중인 웹 사이트의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지 체크할 수 있는 도구들입니다. 목차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일반설정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워드프레스 슬러그(Slug)와 고유주소(Permalink) 차이 웹 사이트 속도 측정 이전에…

  • [WP] 워드프레스 카테고리 만들기(&워드프레스 메뉴 만들기)

    워드프레스에서 작성한 글을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글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며 어떤 CMS를 사용하는 블로그이든 중요한 요소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카테고리 만들기는 블로그 및 웹 사이트를 시작하는 첫걸음인 동시에 글과 페이지 설정과 함께 필수로 설정해야 할 요소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글 작성 후 메뉴 별로…

  • [WP] 워드프레스 드롭인 플러그인이란?

    워드프레스 드롭인 플러그인Drop-In Plugin은 제한된 Wordpress 기능을 대체하거나 향상 시키는 기능을 가진 플러그인입니다.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며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플러그인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파일로 서버 디렉토리 내의 루트 폴더/wp-content/Drop-In-Plugin명 워드프레스 /wp-content/ 폴더 내에 위치하며,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 플러그인 > 드롭인 플러그인(활성화 된 경우)을 활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일반설정을…

  • 워드프레스 백업 및 복원 3가지 방법

    워드프레스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오류나 변경 사항으로 인해 사이트를 이전 버전으로 복원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 정기적인 백업은 매우 중요합니다. 백업을 수행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웹 호스팅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자동 백업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는 일정 주기로 사이트 데이터를 백업하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