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 활용: 자본(3번째)

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 의 기본은 ‘자산 = 부채+자본’ 의 공식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전에 자산 및 부채 항목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자본‘은 투자자의(주주) 자본금으로 자본 형성이 됩니다. 보통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5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의 5가지 항목 중에 봐야 할 항목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결손금) 3가지 항목입니다.

♣ 연결 재무상태표

연결 재무상태표‘ 는 종속기업이 있는 지배기업의 경우에 확인합니다. ‘연결 재무상태표’ 에는 지배기업 지배지분과 비지배지분으로 나뉘어집니다. 2011년부터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의 도입으로 바뀐 부분들입니다. 봐야 할 부분은 IFRS의 기준에 따라 ‘대차대조표’ 가 ‘재무상태표’ 가 되었다는 부분과  연결재무제표가 기본 재무제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재무상태표 활용 - 자본 3가지 포인트

1. 재무상태표 자본금 ★

자본금‘ 은 재무상태표 상의 현재까지 발행한 총 주식의 액면가를 이야기합니다. (총 자본과 자본금은 다릅니다.=자본이란?)

자본금

2. 재무상태표 자본잉여금 ★


자본잉여금‘ 은 유상증자를 이용한 주식의 추가 발행 시 액면가를 초과해서 발행하면 자본잉여금의 주식발행초과금 항목에 적용됩니다. 주식발행초과금은 간단히 말해 액면금액이 500원에 정해져 있는 주식을 1,000원에 발행하는 경우입니다. 그럼 주당 추가로 차액 500원이 더 들어오게 되며, 차액 500원의 총 합계가 10억이라면 10억 원은 자본잉여금이 됩니다. 액면가 500원에 설정된 금액은 자본금으로 편입되게 되며, 자본잉여금은 기업의 운전자금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자본잉여금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그리고 자본잉여금에 포함되는 주식발행초과금이 변동 되었다면 유상증자 또는 전환사채(CB) 발행을 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유상증자를 꼭 나쁘게 볼 것이 아닌 대량의 주문 계약이 체결되는 등 기업의 매출이 증가할 상황이 온다면 유상증자는 이후에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2.1 유상증자 ★★

유상증자‘ 는 보통 악재로 받아들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이 아닌 경우 왜 악재로 받아 들여질까요?
재무가 건전한 기업은 기존에 벌어 들인 이익잉여금과 외부차입(은행 대출 등)으로 자금을 쉽게 끌어올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로 확인했을 때 재무 상태가 좋지 않은 기업은 외부차입을 끌어오기도 힘들 것입니다. 결국에 유상증자를 하기 위해 신약 개발이나 광산 투자 등 기존의 사업과 관계 없는 새로운 사업에 뛰어들겠다고 해서 매년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기업도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3. 이익잉여금 ★


이익잉여금‘ 은 당기순이익에서 주주에게 배당을 하고 남은 금액입니다. ‘이익잉여금’ 은 > 매출채권, 재고자산, 유형자산 등 항목으로 사용되며 이동됩니다. 매출채권으로 발생한 매출은 당기순이익 금액에 포함됩니다.
그리고 이익잉여금은 유보금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하면 되겠습니다.

이익잉여금

‘재무상태표 활용 3번째-자본 ‘ 항목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재무상태표’ 자산 및 부채에 관한 사항도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전자공시 전환사채 찾는 법

    ‘전자공시 전환사채 찾는 법‘ 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전환사채(Convertible Bond)는 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에서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회사채를 말합니다.채권이기 때문에 일반 채권처럼 만기일이 정해져 있으며, 정기적인 이자도 지급됩니다.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가 있어 일반 회사채에 비해서는 이자율이 낮은 편입니다. 목차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1. 재무상태표 자본금 ★2. 재무상태표 자본잉여금 ★3. 이익잉여금 ★1. 전자공시…

  • [경제 순환]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이란?

    현재의 민주주의 체제의 자본주의에서 경제는 끊임 없이 순환합니다.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 기간에는 이용 가능한 상품과 서비스가 증가함으로써 가계와 기업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입니다. 경제 팽창, ‘경기 침체’나 ‘경기 불황’ 이후라면 ‘경제 회복(Economic recovery)‘의 시기이기도 합니다. GDP가 증가하며, 경제 순환 저점에서 정점으로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목차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1. 재무상태표 자본금 ★2. 재무상태표 자본잉여금…

  • 객단가 정의-고객 1인당 평균 매입액

    객단가란 고객 1인당 평균 매입액(구매금액)을 뜻하는 경제용어입니다. 자영업(self-employment)에서 중요하게 봐야하는 요소 중 일 평균, 주 평균, 월 평균 매출의 객단가입니다. 한 명의 손님이 지불한 금액의 평균 가격은 시간 대비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영업에선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목차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1. 재무상태표 자본금 ★2. 재무상태표 자본잉여금 ★3. 이익잉여금 ★ 1. 객단가…

  • 유보율 및 적정유보율

    목차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1. 재무상태표 자본금 ★2. 재무상태표 자본잉여금 ★3. 이익잉여금 ★1. 유보율((Reserve ration) 유보율은 기업의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익잉여금: 자기주식처분이익,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본잉여금: 차기이월이익잉여금,임의적립금,이익준비금 DART 전자공시 사이트의 재무상태표에서의 잉여금 항목입니다.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더하여 자본금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유보율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유보율은 네이버 금융이나 증권사 HTS에서 기업 정보의 재무…

  • 회계 자산이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2가지 분류

    목차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1. 재무상태표 자본금 ★2. 재무상태표 자본잉여금 ★3. 이익잉여금 ★ ■자산이란? 자산이란? 재무상태표의 자산(Assets)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회계 기준으로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자산을 유동자산(Current Assets)이라고 부르고,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비유동자산(Non-Current Assets) 또는 고정자산이라고  합니다.(from 재무상태표 ) ‘유동자산‘ 은 현금,주식,사채 등을 말하며, 유동자산이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 2024년 반도체 전망

    2023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이 전년 대비 11.2% 감소해 전체 매출 규모는 전체 매출 규모가 5,3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인 가트너에 따르면 반대로 2024년 반도체 전망은 밝은 편이다. 목차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1. 재무상태표 자본금 ★2. 재무상태표 자본잉여금 ★3. 이익잉여금 ★ 2024년 반도체 전망 2023년에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