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중앙은행(Central Bank)은 화폐 발행 및 통화량 조절을 위해 운영되는 은행입니다. 한 국가는 하나의 중앙은행을 보유하고 자국의 화폐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중앙은행(FED)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페더럴 리저브 시스템)입니다.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은 한국은행(Bank of Korea)입니다.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에 설립 되었습니다.

1. 중앙은행 개념

모든 국가는 주권을 가지며, 이 중에는 통화주권도 포함됩니다. 통화주권이란 국가가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국가는 화폐를 발행하고 화폐의 총량을 관리하는 권한을 가진 기관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해당 국가의 상황에 따라 상업은행에 위임하기도 하지만 보통 하나의 중앙은행 설립하고 화폐발행과 화폐의 양을 관리하는 권한을 위임합니다.

2. 중앙은행 기능

2.1 화폐발행 및 화폐량 관리

앞서 개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앙은행의 기본 기능은 화폐발행과 화폐의 양(통화량)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 받았습니다.

2.2 기준금리 및 지급준비율 결정 권한

통화량 조절을 위해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과 지급준비율(지급준비제도)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중앙은행 목표

Central Bank의 목표는 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법 조항의 중앙은행 최우선 목표는 ‘물가관리’ or ‘인플레이션 방지’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결제 사이클에 맞게 적절한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이 Central Bank의 책무라는 것이죠.

아래는 한국은행법 제 1장 총칙의 물가안정에 대한 법으로 명시된 내용입니다.

제1장 총칙 <개정 2016.3.29.>[편집]
제1조(목적) ① 이 법은 한국은행을 설립하고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하여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②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할 때에는 금융안정에 유의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6.3.29.]
제2조(법인격) 한국은행은 무자본 특수법인으로 한다.
[전문개정 2016.3.29.]
제3조(한국은행의 중립성)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은 중립적으로 수립되고 자율적으로 집행되도록 하여야 하며, 한국은행의 자주성은 존중되어야 한다.
[전문개정 2016.3.29.]
제4조(정부 정책과의 조화 등) ①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은 물가안정을 해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정부의 경제정책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②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할 때에는 시장기능을 중시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6.3.29.]
제5조(한국은행의 공공성·투명성) 한국은행은 업무를 수행하고 기관을 운영할 때에는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6.3.29.]
제6조(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의 수립 등) ①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의하여 물가안정목표를 정한다.
② 한국은행은 매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수립하여 공표하여야 한다.
③ 한국은행은 제1항에 따른 물가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6.3.29.]

4. 한국은행

한국은행통화정책 운영체제에서 ‘물가안정목표제’와 ‘기준금리‘, ‘통화정책 실제운영’ 등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2019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 기준 2%입니다.

한국은행이 채택하고 있는 통화정책 운영체제로서 통화량 등의 중간목표를 두지 않고 정책의 최종 목표인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 운영방식이다.
한국은행은 「한국은행법」 제6조 제1항에 의거 정부와 협의하여 물가안정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2019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 기준 2%이다. 한국은행은 중기적 시계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도록 통화신용정책을 운영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수준을 지속적으로 상회하거나 하회할 위험을 균형있게 고려한다.

아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base rete) 변동 추이입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로서 간단히 ‘기준금리’(base rate)라고도 한다.
*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7일물 RP매각시 고정입찰금리로, 7일물 RP매입시 최저입찰금리(minimum bid rate)로 사용한다. 자금조정예금 금리는 기준금리에서 100bp를 차감한 이율(최저이율은 0%)로, 자금조정대출 금리는 기준금리에서 100bp를 더한 이율(기준금리가 1% 미만일 경우 기준금리의 2배)로 운용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다. 이렇게 결정된 기준금리는 초단기금리인 콜금리에 즉시 영향을 미치고, 장단기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의 변동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실물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배달의민족 알뜰배달: 2023 5월 24일 서비스 시작

    2023년 배달 플랫폼 배민이 줄어든 매출에 대한 대응책으로 배달의민족 알뜰배달 서비스를 5월 24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서울 관악구 일대에서 한정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서비스 지역을 수도권으로 확대합니다. 강남과 ,금천구 및 인천 송도 등으로 확대 운영합니다. 양천구 및 강서구 지역은 28일 오픈 예정입니다. 목차1. 중앙은행 개념2. 중앙은행 기능2.1 화폐발행 및 화폐량 관리2.2 기준금리 및 지급준비율…

  • 국세청 홈택스 회원가입 방법(국세청 연락처 126)

    원천세 및 부가세 등 각종 세금 관련 업무를 처리하려면 홈택스 회원 가입이 되어야 합니다. 목차1. 중앙은행 개념2. 중앙은행 기능2.1 화폐발행 및 화폐량 관리2.2 기준금리 및 지급준비율 결정 권한3. 중앙은행 목표4. 한국은행 1. 홈택스 회원가입 방법&홈택스 사업자 가입 회원 가입 시 개인으로 가입 후 사업자등록증 번호 기준으로 관리도 가능합니다만, 만일 사업자 계정으로 가입한 후에…

  • 부의 추월차선 요약 : 3개의 차선

    부의 추월차선은 천천히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닌 부를 축적하기 위한 지름길에 대해 ‘엠제이 드마코(MJ DeMarco)‘가 지은 책이다. 평범한 인생이 아닌 부와 함께 경제적 자유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고 저자는 부의 추월차선에서 얘기한다. 평범한 인생이란? ‘천천히 부자되기’, ‘서행차선’, 휠체어 탈 때쯤 부자 되기’로 볼 수 있다. 책은 언젠가 관 짝에 눕게 생겼을 때 부자가…

  • 주식 공매도: 동전의 양면성 2가지 대립

    주식 공매도란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시점을 예상하거나 또는 하락 시킬 주식을 정한 후 미리 빌려서 판 다음에 주가가 하락하면 싼 값에 주식 매수 후 대차거래한 주식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남기는 투자 방법입니다. 주식 투자의 기본은 싸게 사서 더 비싼 값에 팔아야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식 공매도는…

  • PMI 지수란

    주식 투자 시 PBR과 PER, ROE와 같은 주식 투자지표를 본다면, 전체적인 경제지표를 볼 때 보는 지수 중 하나가 PMI 지수입니다. 미국이 세계 경제의 중심인건 여전하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PMI 지수란 미국 공급관리자협회(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 ISM)가 매월 400개 이상 기업의 구매 및 공급 관련 사항을 설문조사 한 결과를 산출한 지수입니다. PMI(Purchasing…

  • 이자소득세 종류: 일반과세, 세금우대, 비과세

    ‘이자소득세’란?  말 그대로 이자소득에 대해 붙는 세금입니다. 이자 소득세는 보통 3 종류로 나뉘어 집니다. 이자 소득세 일반 과세 세금우대 과세 비과세 세율 15.4% 1.4% 0% 세율 상세 이자 소득세 14% 주민세 1.4% 농어촌특별세 1.4% – 목차1. 중앙은행 개념2. 중앙은행 기능2.1 화폐발행 및 화폐량 관리2.2 기준금리 및 지급준비율 결정 권한3. 중앙은행 목표4. 한국은행1. 일반과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