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란? 펀드와 주식의 차이

1. 펀드란?

펀드(fund)는 라틴어로 펀두스(fundus)로 땅의 밑바닥을 의미합니다. 상업적인 뜻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경제학에서 펀드는 투자 신탁의 신탁 재산을 의미하며,투자신탁 회사는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서 펀드를 만들어서 투자를 하는 집합투자 조직을 말합니다.

보통 펀드는 증권사, 그리고 은행에 가서 가입하게 됩니다. 펀드 가입을 해서 펀드로 투자를 하는 대다수의 이유는 주식 및 채권 등의 금융 상품에 직접 투자를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간접 투자를 하게 되는데 그 중 선택지가 바로 펀드입니다.

펀드는 크게 주식형 fund, 채권형 fund 등 상품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집니다. 또 요즘 많이 가입하는 ETF를 들 수 있겠습니다.
일반 직장인의 경우 주식을 공부해서 투자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펀드란

2. 펀드와 주식의 차이

주식에 직접 투자하여 손해를 보는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펀드에 가입하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펀드와 주식의 차이는 주식처럼 투자자가 직접 투자를 하는 대신에 전문가인 펀드 매니저가 주식과 채권에 직접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투자자는 fund에 간접 투자를 하게 되는 겁니다.

물론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할 때의 수수료 보다 좀 더 많은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펀드 투자는 예금자 보호법이 적용되지 않는 금융 상품이기 때문에 펀드를 고를 때 신중해야 합니다.

증권사와 은행에서는 최근 몇 년이나 몇 개월 동안 이미 오른 펀드에 대해서 추천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를 인지하고 fund 종목을 골라야 합니다. (은행은 비가 올 때 우산을 빼앗아 간다는 말이 있죠.)

주식이나 펀드 역시 사람들의 관심으로 이미 많이 올라 있다면 이후에도 ROE를 그대로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을 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주식 시장의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최근 몇 년 중 많이 내려간 상태일 때 직접 투자가 어려운 경우 펀드를 알아 보는 것도 재테크의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uknew.co/etf-%ec%83%81%ec%9e%a5%ec%a7%80%ec%88%98%ed%8e%80%eb%93%9c/
네이버지식백과:펀드, 펀드와 신탁상품 대해부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대한항공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대한항공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이 2020년 5월 13일에 결정했다는 공시가 발표되었습니다. 7월 8일에 전자공시에  정정되어 보고된 주요사항보고서에서 대한항공이1조 1천 269억 8천만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였습니다.유상증자 방식은 주주배정 후에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하며, 7월 14일~15일 일반 투자자에게 실권주 청약을 진행하게 됩니다.그리고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을 대상으로 각각 1천 8백억 원, 1천 2백억 원 총 3천…

  • 산업재산권 정의 및 산업재산권 종류 4가지

    . 지식재산권(Intelligent Property Right)은 ⓐ산업재산권과 ⓑ저작권 ⓒ신지식재산권 3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이중 산업재산권(영어: industrial property)이란 법률에 의하여 등록하고 일정기간 독점적, 배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산업적 이용 가치가 있는 권리입니다. 공업소유권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목차1. 펀드란?2. 펀드와 주식의 차이 산업재산권 종류 크게 4가지 종류로 분류됩니다. 1. 특허권(Patents) 특허권은 새로운 발명품과 기술에 대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이 처음으로…

  • 회계 자산이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2가지 분류

    목차1. 펀드란?2. 펀드와 주식의 차이 ■자산이란? 자산이란? 재무상태표의 자산(Assets)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회계 기준으로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자산을 유동자산(Current Assets)이라고 부르고,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비유동자산(Non-Current Assets) 또는 고정자산이라고  합니다.(from 재무상태표 ) ‘유동자산‘ 은 현금,주식,사채 등을 말하며, 유동자산이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것이라면, 당좌자산은 유동자산 중에서 판매 과정…

  • 네덜란드 튤립 버블

    ‘튤립 버블’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과열 투기 현상입니다. 자본주의 역사 중 최초로 발생한 버블 사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7세기 당시 네덜란드는 금융과 무역이 발달한 황금기였습니다. 튤립 파동(Tulip mania)으로 알려진 이 버블은 튤립 구근의 가격이 폭등 후 폭락하면서 버블이 꺼진 사건입니다. 목차1. 펀드란?2. 펀드와 주식의 차이 1. 튤립 버블의 배경 및 역사 튤립의 원산지는 중앙…

  • 뱅크런 사례와 예금자 보호법:예금보호 5천만원

    뱅크런(Bank Run)이란 은행에 보관한 예금을 돌려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 예금자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인출하는 대규모의 예금 인출 상황을 말합니다. 주식이나 펀드 등의 여러가지 위험으로 인한 파산 위험이 있는 은행에서 뱅크런이 발생하게 됩니다. 뱅큰런은 경제 상황의 악화나 최악의 경우 경제공황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목차1. 펀드란?2. 펀드와 주식의 차이 1. 뱅크런 사례 1.1 부산저축은행 뱅크런 대한민국에서는…

  • 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 1.5%

    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이 1.5%를 기록하면서 3분기 연속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웃돌고 있습니다. 이는 거의 2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며, 한국을 추월할 가능성도 전망하고 있습니다. 목차1. 펀드란?2. 펀드와 주식의 차이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 잃어버린 30년 탈출의 신호? 일본 내각부가 2023년 2분기 일본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 1분기보다 1.5% 증가했다고 8월 15일 발표했습니다. 2022년 4분기를 이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