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알리미 설정: 관심 분야의 키워드와 주제 설정하기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구글 알리미‘ or ‘구글 알림‘으로 부르는 구글의 알리미는 관심 분야의 키워드를 설정해서 관련 콘텐츠를 메일로 전달 받는 구글의 무료 서비스입니다. 뉴스 기자, 에디터, 마케터, 개인 블로거 및 특정 취미에 관심 있는 개인 사용자 등을 아우르는 특정 분야에서 지속적인 정보를 얻고자 할 때 구글 알리미 설정을 통해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구글 알리미 사용 이유

구글 알리미(Google Alerts)는 한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사용자의 수요가 있으며, 정확한 통계를 찾지는 못 했지만 꾸준히 사용자의 관심을 받는 구글의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 실시간 정보 제공
  • 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받아 볼 수 있습니다.
  • 경쟁사 및 산업 전반에 걸친 동향을 파악해 비즈니스 전략을 수월하게 수립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주제와 키워드
  • 구글의 검색 기능이 활용 된 특정 주제와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 빈도와 언어, 지역 등으로 개인 맞춤 설정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취미 및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 뉴스 및 연구 자료, 블로그, 비디오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구글 알리미 설정 방법

먼저 구글링으로 ‘구글 알리미’ 설정 또는 공식 웹사이트 https://www.google.co.kr/alerts에 접속합니다.

2.1 알리미 생성 및 설정

검색 탭에서 알림을 받으려는 키워드를 입력합니다. ‘워드프레스‘라는 키워드를 입력 했을 때 나오는 뉴스 및 블로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알림을 받을 이메일 주소도 함께 입력해 줍니다. 이 웹사이트가 워드프레스로 운영하는 블로그이기 때문에 업계 동향 및 최신 정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바로 생각나는 키워드가 ‘워드프레스’였습니다.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라는 검색을 했을 때 띄어쓰기가 들어가서 ‘나오게 됩니다. 이런 경우 구글링 옵션 중 하나인 쌍 따옴표(” “)를 활용해서 꼭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 관련된 키워드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쌍 따옴표(” “)가 없을 경우 워드프레스에 관한 홈페이지 뿐 아니라 호스팅, 테마, 플러그인 등 다양한 콘텐츠를 받을 수 있지만 꼭 ‘워드프레스 홈페이지‘가 포함된 내용으로 호스팅이나 테마, 보안 이슈 등에 관련된 콘텐츠를 받고 싶다면 구글링 기능 중 하나인 쌍 따옴표(” “)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2 알리미 옵션 설정

알리미에서 수신 빈도와 출처 등의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수신 빈도
  • 알림 빈도를 선택할 때 수시, 또는 하루 한번, 일주일에 한번 3가지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너무 메일이 자주 와도 피로감이 쌓일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하게 설정 해 줍니다.
  • 출처
  • 기본 자동 설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 블로그, 뉴스, 웹 및 비디오, 도서, 토론, 금융 등의 설정이 있습니다. 도서 및 토론 금융 등의 설정을 해도 관련 콘텐츠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언어
  • 대부분 한국어를 선택하지만 예를 들어 영어 자료가 필요한 경우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지역
  • 지역은 나라 설정으로 되어 있어 특정 국가의 정보를 받고 싶을 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개수
  • “가장 우수한 검색 결과만” 받는 것이 기본 설정이며, “모든 결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원하는 주제에 대한 내용을 알림으로 받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가장 우수한 검색 결과만” 으로 설정을 두는 것이 나 낫다고 생각됩니다.

3. 알리미 관리

생성된 구글 알리미를 수정 및 삭제할 수 있으며, [전송 시간] 및 [요약]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송 시간
  • 알림을 받을 시간을 하루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요약
  • 모든 검색어에 대한 알림이 하나의 이메일로 전송된다는 안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필수 기능이라고 생각되며, 많은 스팸 메일 및 이메일을 받기 때문에 이메일은 요약된 내용으로 한 번에 받아서 링크를 클릭해서 관련 웹사이트에 접속 후 콘텐츠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4. 구글 알리미 해제

구글 알리미를 끄는 기능은 없으며, 삭제를 통해서 해제를 해야 합니다. 여러 알림을 설정해서 주, 또는 월 별로 원하는 알림을 수시로 설정하는 기능이 포함되었으면 좋겠지만 관련 기능은 없기 때문에 알리미를 써야 한다면 내용 참고해서 사용해야 하는 점은 아쉬움이 남는 부분입니다.

5. 구글 뉴스 키워드 알림

뉴스 기사를 빠르게 원하는 주제와 키워드로 받고 싶을 경우 알리미 기능을 사용해서 받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정 산업 및 시장의 흐름을 알기에 구글 알리미 기능을 활용할 때 가장 빠르고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구글의 사용자 대비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지만 알고 있는 분들은 필요에 의해 활용하게 되는 구글 알리미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모바일 구글링(Mobile Googling)

Similar Posts

  • 크롬 개발자 도구 정의와 목적 5가지

    크롬 개발자 도구란 웹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웹사이트의 코드 구조, 성능, 반응형 디자인, 보안, SEO 품질을 점검·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크롬 브라우저 내장 기능입니다. 페이지 속도 측정, 디버깅, 네트워크·리소스 분석 등 웹사이트 품질을 높이는 모든 과정을 한 곳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1. 구글 알리미 사용 이유2. 구글 알리미 설정 방법2.1 알리미 생성 및 설정2.2 알리미…

  • Off Page SEO: 오프 페이지 SEO 정의와 7가지 방법

    오프 페이지 SEO(Off Page SEO)란 SEO의 범주 중 하나로 콘텐츠 내부(온 페이지 SEO)가 아닌 외부로부터 검색 엔진 순위를 높이기 위한 SEO입니다. 다른 웹 사이트로부터 발생하는 백링크 구축을 통한 링크 빌딩, 다른 웹 사이트로부터 받은 백링크에 대한 가치를 나타내는 링크 주스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결국 “백링크가 중요하다.”가 주요 포인트 중 하나인 이유는 많은…

  • 검색엔진 점유율 순위-구글vs네이버(2022년 1분기)

    구글의 전세계 검색엔진 점유율은 92%로 독점적인 시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검색엔진은 오랜 기간 네이버와 다음이 양분했지만 다음의 점유율은 5% 대로 하락하고 ‘구글vs네이버‘로 국내 검색엔진 시장은 양분화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국내 점유율이 30%를 넘게 된 것은 2019년 부터입니다. 목차1. 구글 알리미 사용 이유2. 구글 알리미 설정 방법2.1 알리미…

  • TTFB 속도(Time To First Byte Speed)

    TTFB란 서버에 HTTP 요청이 보내진 후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가 첫 정보를 수신하는데(첫 번째 바이트를 읽는데 걸린 시간) 소요된 시간을 의미합니다. TTFB는 DNS 속도 측정 이후에 계산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네트워킹에서 TTFB는 DNS를 포함한 네트워크 대기 시간이 포함됩니다. 목차1. 구글 알리미 사용 이유2. 구글 알리미 설정 방법2.1 알리미 생성 및 설정2.2 알리미 옵션 설정3….

  • 아마존 어소시에이트란?

    해외 직구가 활성화되어 아이허브 및 아마존에서 직구를 많은 소비자들이 하고 있습니다. Amazon Associates는 아마존의 의 제휴 마케팅 프로그램입니다. 아마존 어소시에이트 가입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아마존 어필리에이트(어소시에이트) 메인 페이지로 접속 후 회원 가입을 먼저 해야 합니다. 목차1. 구글 알리미 사용 이유2. 구글 알리미 설정 방법2.1 알리미 생성 및 설정2.2 알리미 옵션 설정3….

  • [SEO] 키워드 리서치를 통한 키워드 선정 전략 5가지

    블로그를 포함한 웹 사이트를 운영할 때 주제 선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구글봇이 내 웹 사이트의 텍스트와 키워드 등을 크롤링합니다. 전략적인 키워드 리서치를 통해 내 웹 사이트의 유기적인 트래픽을 만들기 위한 키워드 선정 방법 5가지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구글의 입장에서 웹 사이트와 웹 페이지 내에서 근접(Relevant)한 웹 사이트를 노출 시키고 싶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