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란? 이자와 이자율 차이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금리란(interest rate)란 원금에 대한 기간 당 이자를 비율로 계산한 것이며, 이자율과 동의어다. 보통 1년 기준 ‘연 금리’로 계산하는 것이 보통이다. 금리는 정기예금과 적금 그리고 대출금리 뿐만 아닌 채권의 금리, 주식의 배당금 등에도 적용된다.

그리고 우리가 받는 금리에는 이자소득세라는 세금이 붙는다. (우리나라 은행 이자에서 이자소득세는 15.4%이다.)

금리: 이자와 이자율

1. 이자 이자율 차이

1.1 이자

이자(interest)는 원금에 대한 추가 지불 금액이다. 예금 또는 대출을 받은 후 맡긴 원금에 대해 지불 받거나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이자인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자는 단리이며 복리와 차이가 있다.

이자는 기원전 8세기에 최초로 만들어졌다는 화폐보다도 그 역사가 길다. 고대 바빌로니아에는 돈을 빌리고 채무에 대한 이자를 남긴 기록이 점토판으로 되었으며, 이자가 화폐보다 더 긴 역사를 가진 증거로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는 이자에 대한 어원이 어린 염소나 양, 소와 같은 가축 또는 곡식에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농작물이나 가축을 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자는 결국 빌려주는 사람과 빌리는 사람이 미래 가치를 인지하고 대출을 받은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2 이자율

금리와 동음 이의어인 이자율은 일반적으로 연간 기준(연간 백분율)으로 표시되며, 이자율이 내려갈 경우 이자 소득을 얻는 사람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사업을 위한 자금 조달에 유리하게 작용한다.이자율은 증권 및 주택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며, 경제 활동, 물가, 환율, 자금 조달 비용 등 경제활동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준다.

2. 기준금리

각국의 기준금리(base interest rate)는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이 정하게 된다. 보통 중앙은행은 경기 과열이나 인플레이션이(물가상승) 예상되면, 이자율을 올리고 경기과열과 물가상승을 억제한다. 인플레이션이라고 중앙은행이 판단했을 때에는 이자율을 올려 시중의 자금을 거두어 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인 경기 침체기에는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내린다. 침체기에는 금리를 내려 시중에 자금이 활발하게 돌 수 있도록(주식, 부동산, 기업 대출, 실물 경제 등) 한다. 한국은행(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에 대해 검토 후 기준금리를 정하여 매월 발표하며, 기준금리는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시장금리

같은 천만 원을 대출 받더라도 개인 및 회사의 신용에 따라 이자율은 바뀌게 되며, 이를 시장금리(market interest rate)라고 한다. 개인과 기업이 중앙은행의 개입 없이 대출을 받는 이자율을 시장금리인 것이다.

보통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시장금리로써 다수의 거래 당사자가 참가하는 시장에서 자금의 수급에 의해 결정되는 이자율을 말한다.

금리[interest rate]


신용이 좋은 기업과 개인은 낮은 시장금리로 대출을 받고 신용이 안 좋은 기업과 개인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대출을 이용하게 된다. 기업은 좋은 신용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해서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빌린 돈보다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다.

3.1 시장금리 종류

시장금리 종류는 만기 1년 이하의 단기금융시장 금리, 1년 이상인 장기 금융 시장 금리가 있다. 개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금리 상품이다.

단기금융시장에는 콜금리,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등의 상품이 있다. 장기금융상품은 3년 국고채와 회사채 금리 상품이 있다. 은행 금리는 시장 금리에 속한다.

♣ 금리에 대한 이해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나무와 돈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소비자 물가지수 보는법(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란? 일반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 및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한국 소비자 물가지수’ 및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등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을 확인 하셨을 겁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CPI를 인플레이션 측정 지수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 당기법인세부채 및 당기법인세자산

    ‘당기법인세부채‘와 ‘당기법인세자산‘은 회계 상의 구분으로, 기업이 법인세를 계산하고 납부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목입니다. 목차1. 이자 이자율 차이1.1 이자1.2 이자율2. 기준금리3. 시장금리3.1 시장금리 종류♣ 금리에 대한 이해당기법인세부채 당기법인세 부채(영어:Current Tax Liabilities)란 현재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법인세 부채로, 당기에 지불해야 할 예상 법인세액을 나타냅니다. 회사가 이미 발생한 법인세 부채를 기록하여 기업의 재무상태표에서 당기의 부채로 보고합니다. 일반적으로,…

  • 영국 전기차 전환 2030년 > 2035년으로 연기 발표

    영국이 내연차 판매 가능 시기를 2030년에서 2035년으로 연장했다. 20일 로이터에 따르면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기자 회견에서 영국 전기차 전환 시기를 늦출 것’을 발표했으며 관련 자동차 기업들은 반발했다. “우리는 전기차 전환 고삐를 늦출 것” “2035년까지 휘발유나 디젤차를 살 수 있고, 그 이후에도 중고로 내연차를 사고 팔 수 있을 것” “지구 구하다가 국민 파산…

  • 2023년 중국 경기침체

    중국 헝다 그룹의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이 2023년 중국 경기침체의 대표적인 신호탄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던 공장은 부동산 경기 침체 외에도 코로나가 끝나가는 시점에 이미 중국의 수출은 어려우며, 청년 실업률은 50%를 넘어선 것으로 보고 있다. 목차1. 이자 이자율 차이1.1 이자1.2 이자율2. 기준금리3. 시장금리3.1 시장금리 종류♣ 금리에 대한 이해2023년 중국…

  • 디플레이션이란? 현상 및 3가지 분류

    보통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는 상승하고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인플레이션의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물가는 하락하고 돈의 가치는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목차1. 이자 이자율 차이1.1 이자1.2 이자율2. 기준금리3. 시장금리3.1 시장금리 종류♣ 금리에 대한 이해 1. 디플레이션 현상 경제에서 필요로 하는 통화수축으로 화페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물가는 하락하는 상태가 됩니다. 디플레이션 발생 시 임금과 물가가 내려가며…

  • 재무상태표란?

    목차1. 이자 이자율 차이1.1 이자1.2 이자율2. 기준금리3. 시장금리3.1 시장금리 종류♣ 금리에 대한 이해 ■ 재무상태표란? – 자산과 부채,자본 재무상태표란? 기업의 자금 운영에 대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재무에 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를 이야기합니다.‘재무상태표’ 는 재무제표 4가지 항목 중 하나입니다. 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제정하는 회계 기준이며, IFRS에 따라 예전의 ‘대차대조표’가 ‘재무상태표’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