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란? 이자와 이자율 차이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금리란(interest rate)란 원금에 대한 기간 당 이자를 비율로 계산한 것이며, 이자율과 동의어다. 보통 1년 기준 ‘연 금리’로 계산하는 것이 보통이다. 금리는 정기예금과 적금 그리고 대출금리 뿐만 아닌 채권의 금리, 주식의 배당금 등에도 적용된다.

그리고 우리가 받는 금리에는 이자소득세라는 세금이 붙는다. (우리나라 은행 이자에서 이자소득세는 15.4%이다.)

금리: 이자와 이자율

1. 이자 이자율 차이

1.1 이자

이자(interest)는 원금에 대한 추가 지불 금액이다. 예금 또는 대출을 받은 후 맡긴 원금에 대해 지불 받거나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이자인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자는 단리이며 복리와 차이가 있다.

이자는 기원전 8세기에 최초로 만들어졌다는 화폐보다도 그 역사가 길다. 고대 바빌로니아에는 돈을 빌리고 채무에 대한 이자를 남긴 기록이 점토판으로 되었으며, 이자가 화폐보다 더 긴 역사를 가진 증거로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는 이자에 대한 어원이 어린 염소나 양, 소와 같은 가축 또는 곡식에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농작물이나 가축을 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자는 결국 빌려주는 사람과 빌리는 사람이 미래 가치를 인지하고 대출을 받은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2 이자율

금리와 동음 이의어인 이자율은 일반적으로 연간 기준(연간 백분율)으로 표시되며, 이자율이 내려갈 경우 이자 소득을 얻는 사람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사업을 위한 자금 조달에 유리하게 작용한다.이자율은 증권 및 주택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며, 경제 활동, 물가, 환율, 자금 조달 비용 등 경제활동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준다.

2. 기준금리

각국의 기준금리(base interest rate)는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이 정하게 된다. 보통 중앙은행은 경기 과열이나 인플레이션이(물가상승) 예상되면, 이자율을 올리고 경기과열과 물가상승을 억제한다. 인플레이션이라고 중앙은행이 판단했을 때에는 이자율을 올려 시중의 자금을 거두어 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인 경기 침체기에는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내린다. 침체기에는 금리를 내려 시중에 자금이 활발하게 돌 수 있도록(주식, 부동산, 기업 대출, 실물 경제 등) 한다. 한국은행(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에 대해 검토 후 기준금리를 정하여 매월 발표하며, 기준금리는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시장금리

같은 천만 원을 대출 받더라도 개인 및 회사의 신용에 따라 이자율은 바뀌게 되며, 이를 시장금리(market interest rate)라고 한다. 개인과 기업이 중앙은행의 개입 없이 대출을 받는 이자율을 시장금리인 것이다.

보통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시장금리로써 다수의 거래 당사자가 참가하는 시장에서 자금의 수급에 의해 결정되는 이자율을 말한다.

금리[interest rate]


신용이 좋은 기업과 개인은 낮은 시장금리로 대출을 받고 신용이 안 좋은 기업과 개인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대출을 이용하게 된다. 기업은 좋은 신용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해서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빌린 돈보다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다.

3.1 시장금리 종류

시장금리 종류는 만기 1년 이하의 단기금융시장 금리, 1년 이상인 장기 금융 시장 금리가 있다. 개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금리 상품이다.

단기금융시장에는 콜금리,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등의 상품이 있다. 장기금융상품은 3년 국고채와 회사채 금리 상품이 있다. 은행 금리는 시장 금리에 속한다.

♣ 금리에 대한 이해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나무와 돈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감가상각

    목차1. 이자 이자율 차이1.1 이자1.2 이자율2. 기준금리3. 시장금리3.1 시장금리 종류♣ 금리에 대한 이해■감가상각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감가상각 (減價償却)에서 감가(減價)란 가치가 감소한다는 뜻을 지니며, 상각(償却)은 손해를 보상하여 갚아준다는 원 뜻과 토지를 제외한 고정 자산에 생기는 가치를 계산하여 자산의 가격을 감소 시키는 회계 상의 절차라고 볼 수 있습니다.기업이 소유한 공장과 기계설 비와 같은 비유동자산은 일정…

  •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대표적인 경제학 종류 2가지

    경제학(영어:Economics)이란 제한된 자원이 있는 상황에서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 연구하는 사회 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자원의 사용,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생산 및 복지의 성장 등과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연구합니다. 복잡한 경제 활동의 특정한 규칙성을 발견하여 경제 현상에 대한 원인과 결과를 탐구하며 예측하는 것이 주 목표입니다. 복잡한 경제…

  • 대한항공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대한항공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이 2020년 5월 13일에 결정했다는 공시가 발표되었습니다. 7월 8일에 전자공시에  정정되어 보고된 주요사항보고서에서 대한항공이1조 1천 269억 8천만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였습니다.유상증자 방식은 주주배정 후에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하며, 7월 14일~15일 일반 투자자에게 실권주 청약을 진행하게 됩니다.그리고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을 대상으로 각각 1천 8백억 원, 1천 2백억 원 총 3천…

  • 손익계산서 활용: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활용‘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 지에 대해서 봐야 할 기본 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재무제표에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4개의 항목 중 재무상태표 다음으로 많이 보게 되는 표가 손익계산서입니다. 기본적으로 손익계산서에서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게 됩니다. 일반손익계산서가 아닌 포괄 손익계산서에서 봐야 할 사항은 당기순이익 외에 해당기업에 종속된 종속기업이 있다면 종속기업의 당기순이익에 대해서도 확인해야…

  •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증 발급 방법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업신고 대상은 ⓐ일반음식점 영업을 포함하여 ⓑ휴게음식점 영업, ⓒ제과점 영업, ⓓ위탁급식 영업과 ⓔ유흥주점, ⓕ단란주점과 같이 네 가지+ 두가지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에 해당하는 영업을 하려는 경우 영업 종류 별 또는 영업소 별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이하 “신고관청”이라 함)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식품접객업 종류 허용 범위 신고·허가 일반음식점 음식류를…

  • 지급준비제도란-지급준비율(7%)과 통화승수

    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 System)란 시중 은행이 전체 예금 중 일정 비율 이상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총 예금액 대비 지금준비금의 비율을 지급준비율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법정 지급준비율은 0~7%로 차등화 디ㅗ어 있습니다. 지급준비제도 적용 대상은 일반은행 및 특수은행이 있습니다. 목차1. 이자 이자율 차이1.1 이자1.2 이자율2. 기준금리3. 시장금리3.1 시장금리 종류♣ 금리에 대한 이해 1. 지급준비제도의 목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