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와 DNS 차이 & 대표적인 DNS 레코드 종류 4가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웹 사이트를 새롭게 시작하게 되면 도메인호스팅 서버를 알아보게 됩니다. 도메인을 연결 후 네임서버에 도메인을 연결해야 한다는 내용을 호스팅 회사의 홈페이지 또는 직원에게 안내를 받게 되면서 DNS와 네임서버란 단어를 처음 듣게 됩니다.

네임서버란?

네임서버name server는 도메인을 사용하는 서버에 연결해야 하는데 서버는 IP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인 서버 단위를 Host라고 부릅니다. 인터넷 초창기에 도메인을 호스트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기본적인 방식이었지만 웹 사이트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원활한 관리를 하기 위해 Name Server를 사용하게 됩니다.

name server는 도메인이 어떤 IP와 연결된 서버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uknew.com > 151.612.124.871
와 같은 형식으로 수행하며, 도메인 이름 서비스(DNS)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합니다.

전화번호를 외우는 대신 상대방의 이름을 검색해서 전화하는 것처럼 Name Server는 IP 대신 도메인 이름만 기억해서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줍니다.

DNS란?

네임서버에서 운영되는 DNS(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는 Name Server에 전파된 모든 도메인 IP 정보를 갱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Name Server를 통해 DNS를 관리하게 됩니다. Name Server의 DNS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요.

DNS는 Name Server로부터의 모든 도메인 IP 정보를 갱신하며 도메인에 대한 접속 요청에 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DNS 레코드입니다.

결론

두 가지를 혼용하여 사용하며, DNS 서버, 네임 서버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DNS 레코드(DNS Records)란?

앞서 Name Server와 DNS에 대해 알아 봤으며, 간단히 DNS 레코드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DNS Records > Domain Name System의 레코드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DNS 레코드 A, Cname, MX, TXT 레코드가 등록된 화면

1. A 레코드

uknew.com > 151.612.124.871과 같이 설정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DNS 레코드 중 IP를 직접 입력하여 A 레코드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2. CNAME 레코드

Canonical(규정대로의 프로그래밍 의미) NAME record의 약자로, 소유한 도메인에 별칭을 지정해 주는 레코드입니다.
CDN 서비스 연결 시 cdn.domain.com과 같은 별칭을 가진 레코드를 만들거나 특정 다른 사이트로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3. MX 레코드

메일 교환 레코드(Mail eXchanger record)의 약자입니다. 메일을 수신할 서버를 지정해주는 값으로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는 이메일을 등록할 때 사용합니다.

4. TXT 레코드

텍스트 레코드(Text Record)의 약자입니다. 임의 문자열로 구성되며 소유한 도메인에 TXT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는 AWS, 구글 서치콘솔, SSL설치 후 서버에 HTTPS를 적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유효한 도메인이 맞는지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피코그래피 카테고리-비즈니스-노트북 타이핑 하는 여자

Similar Posts

  • 워드프레스 고유주소(Permalink)와 슬러그

    워드프레스 고유주소(Permalink, 영구링크, 고유링크 등)는 도메인 뒤에 붙는 게시물이나 페이지의 전체 URL 주소를 제공합니다. 특정 콘텐츠에 엑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Permalink는 워드프레스 콘텐츠의 영구적인 주소로써 URL이 필요한 모든 워드프레스 콘텐츠에 사용됩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레코드4. TXT 레코드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일반설정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워드프레스를 처음 설치하고 고유주소 설정에 들어가게…

  • 구글 애드센스 GDPR

    구글 애드센스 페이지에서 접속 시 애드센스 GDPR 메시지 경고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애드센스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은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의 약자로, 유럽 연합에서 시행되는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입니다. 구글 애드센스는 이에 따라 유럽의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때 엄격한 규정과 동의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 [WP] 워드프레스 HTTP 요청 줄이는 방법 7가지

    워드프레스로 만든 웹 사이트가 느리다면 그 중 한 가지 이유는 HTTP 요청 수가 많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요청을 줄여 로딩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레코드4. TXT 레코드 HTTP 요청이란? HTT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HTML, CSS, 이미지, 비디오 등)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웹 상에는 서버에서 호스팅…

  • Perfmatters 플러그인 리뷰 & 가이드: 3년 동안 사용한 워드프레스 성능 최적화 설정 방법

    Perfmatters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 최적화 플러그인 중에서도 가볍고 강력한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불필요한 스크립트와 리소스를 손쉽게 제어해 페이지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서버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년 이상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단순한 속도 향상을 넘어 사이트 전체의 안정성과 관리 편의성을 높여준다는 점이었습니다. 현재 이 웹사이트는 WP Rocket Cache 플러그인과 Perfmatters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 [WP] 워드프레스 이미지 대체 텍스트와 제목 차이점 & 캡션이란?

    이미지는 글의 의미 전달 or 설명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SEO에서도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경우 워드프레스 이미지 대체 텍스트는 무엇이며, Tltle(제목)과 캡션은 무엇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레코드4. TXT 레코드 1. 워드프레스 이미지 대체 텍스트 대체 텍스트(ALT text, alt tag)는 올바르게 만들어야 SEO에도 유리합니다….

  • [WP] 워드프레스 글 페이지 차이

    워드프레스를 처음 후 운영하게 되면 글(Post)과 페이지(Page) 차이가 어려워 혼동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워드프레스 글 페이지 차이가 무엇인지 명확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포스트(글)은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글 형식입니다. 동적인 콘텐츠이며 반대로 페이지는 정적인 콘텐츠입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레코드4. TXT 레코드1. 워드프레스 글(Post)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