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와 DNS 차이 & 대표적인 DNS 레코드 종류 4가지

웹 사이트를 새롭게 시작하게 되면 도메인호스팅 서버를 알아보게 됩니다. 도메인을 연결 후 네임서버에 도메인을 연결해야 한다는 내용을 호스팅 회사의 홈페이지 또는 직원에게 안내를 받게 되면서 DNS와 네임서버란 단어를 처음 듣게 됩니다.

네임서버란?

네임서버name server는 도메인을 사용하는 서버에 연결해야 하는데 서버는 IP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인 서버 단위를 Host라고 부릅니다. 인터넷 초창기에 도메인을 호스트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기본적인 방식이었지만 웹 사이트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원활한 관리를 하기 위해 Name Server를 사용하게 됩니다.

name server는 도메인이 어떤 IP와 연결된 서버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uknew.com > 151.612.124.871
와 같은 형식으로 수행하며, 도메인 이름 서비스(DNS)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합니다.

전화번호를 외우는 대신 상대방의 이름을 검색해서 전화하는 것처럼 Name Server는 IP 대신 도메인 이름만 기억해서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줍니다.

DNS란?

네임서버에서 운영되는 DNS(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는 Name Server에 전파된 모든 도메인 IP 정보를 갱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Name Server를 통해 DNS를 관리하게 됩니다. Name Server의 DNS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요.

DNS는 Name Server로부터의 모든 도메인 IP 정보를 갱신하며 도메인에 대한 접속 요청에 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DNS 레코드입니다.

결론

두 가지를 혼용하여 사용하며, DNS 서버, 네임 서버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DNS 레코드(DNS Records)란?

앞서 Name Server와 DNS에 대해 알아 봤으며, 간단히 DNS 레코드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DNS Records > Domain Name System의 레코드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DNS 레코드 A, Cname, MX, TXT 레코드가 등록된 화면

1. A 레코드

uknew.com > 151.612.124.871과 같이 설정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DNS 레코드 중 IP를 직접 입력하여 A 레코드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2. CNAME 레코드

Canonical(규정대로의 프로그래밍 의미) NAME record의 약자로, 소유한 도메인에 별칭을 지정해 주는 레코드입니다.
CDN 서비스 연결 시 cdn.domain.com과 같은 별칭을 가진 레코드를 만들거나 특정 다른 사이트로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3. MX 레코드

메일 교환 레코드(Mail eXchanger record)의 약자입니다. 메일을 수신할 서버를 지정해주는 값으로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는 이메일을 등록할 때 사용합니다.

4. TXT 레코드

텍스트 레코드(Text Record)의 약자입니다. 임의 문자열로 구성되며 소유한 도메인에 TXT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는 AWS, 구글 서치콘솔, SSL설치 후 서버에 HTTPS를 적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유효한 도메인이 맞는지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피코그래피 카테고리-비즈니스-노트북 타이핑 하는 여자

Similar Posts

  • [WP] 워드프레스 카테고리 만들기(&워드프레스 메뉴 만들기)

    워드프레스에서 작성한 글을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글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며 어떤 CMS를 사용하는 블로그이든 중요한 요소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카테고리 만들기는 블로그 및 웹 사이트를 시작하는 첫걸음인 동시에 글과 페이지 설정과 함께 필수로 설정해야 할 요소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글 작성 후 메뉴 별로…

  •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 및 피드 주소 확인

    워드프레스에서 RSS 피드 설정과 주소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의 기본 RSS 피드 개수는 10개로 설정되어 있으며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먼저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 방법입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레코드4. TXT 레코드✅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하기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설정] > [읽기] 항목으로 접속…

  • 워드프레스 테마: 용도와 기능으로 보는 테마 선택 기준

    웹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해 원하는 서비스에 맞는 호스팅 서버까지 구매한 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했습니다. 기본 테마로 내 웹사이트를 꾸미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워드프레스 테마는 웹사이트의 외형과 기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사이트 운영 목적에 따라 테마 선택 기준도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포트폴리오, 쇼핑몰 등 목적에 맞는 적절한 레이아웃과 기능이 필요합니다. 테마는 단순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페이지…

  • HostAdvice research-호스팅 업체 TOP 10을 찾기 위한 리뷰 사이트

    공유 호스팅 or VPS 호스팅 등 좋은 호스팅 업체를 찾는 일이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인터넷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는 안정적이며 빠른 서버 2가지 요소가 필수입니다. HostAdvice는 안정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해외 호스팅 업체 순위를 비교하고 찾는데 TrustPilot 리뷰와 함께 검토하는데 추천할 만한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좋은 호스팅 업체를 고르기 위해 “Best hosting” 또는 ‘호스팅…

  • [WP] Softaculous 사용 워드프레스 스테이징 사이트 만드는 방법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때 플러그인 설치 및 업데이트 등을 포함한 여러가지 변경 사항을 안전하게 테스트 하기 위한 사이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스테이징 사이트‘를 만든다면 안전한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레코드4. TXT 레코드1. 워드프레스 스테이징 사이트란? 스테이징 사이트Staging Site는 변경 사항을 라이브로 만들기 이전에 테스트 할 수 있는…

  • 워드프레스 버튼 만들기&링크 추가 방법

    워드프레스에서 콘텐츠를 작성하다 보면 추가 설명이 필요하여 내부 및 외부 링크를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웹사이트의 좋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좋은 사용자 경험(UX)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워드프레스 버튼은 구텐베르크 에디터에서 빼 놓을 수 없는 매우 주요한 기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목차네임서버란?DNS란?결론DNS 레코드(DNS Records)란?1. A 레코드2. CNAME 레코드3. MX 레코드4. TXT 레코드 ✅ 워드프레스 블록 버튼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