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와 레버리지 비율

레버리지

1. 레버리지(Leverage)

‘레버리지(Leverage)‘ 는 ‘지렛대’ 효과라고 하며 주로 금융(사업)과 경제 용어로 많이 사용됩니다.
 
1억 원으로 주식에 투자하여 1천만 원의 수익이 났을 경우 수익은 1천만 원입니다. 만일 가지고 있는 자본 1억 원에 추가로 은행 대출 1억 원으로 총 2억 원의 자산으로 2천 만원의 수익이 났다면, 이 중 1천 만원은 Leverage를 이용하여 수익을 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이 연 금리 3%의 대출을 100억 원 받아 1년 동안 30억 원의 수익을 내고, 3억 원은 이자 비용으로 충당하고 27억 원의 수익을 내는 것 또한 Leverage입니다. 위와 같이 Leverage 는 적은 힘으로 큰 수익을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금융의 레버리지는 기업의 부채 의존도를 뜻합니다.

2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

‘Leverage 비율’ 은 기업이 부채에 얼만큼 의존하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비율이며, 부채성 비율로도 말합니다.
재무레버리지 비율은 크게 3가지로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 이자보상비율로 나뉘어 집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이퓨얼(E-Fuel)이란?

    이퓨얼(E-Fuel)은 전기기반 연료(Electricity-Based Fuel)의 줄임말로서 물을 전기 분해 한 후 얻은 수소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탄소를 합성해서 만드는 연료입니다. 기존 전기 차량은 장점만큼 단점이 존재합니다. 미국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설문 결과에 따르면 기존 전기차 차주들이 전기차를 재구매 할 것인가에 대한 충성도가 52.1%로 나온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다른 대안이란 것이 내연기관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 자본잉여금이란? 자본금 차이와 자본잉여금 종류 4가지

    자본잉여금((additional paid in capital)은 주식 발행을 통한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뜻합니다. 주주와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며, 출자 및 증자와 감자 등을 통해 발생한 자본금에 플러스(+) 된 금액을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1. 레버리지(Leverage)2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자본잉여금과 자본금 차이 자본금은 앞서 설명한 출자 등을 통한 자본거래에 의해 성립된 금액입니다. 이렇게 남은 자본 잉여금은 주식 배당금의 재원이…

  • OECD란? | 1961년 출범한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역할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영향력 있는 세계적인 국제 기구 중 하나입니다. 1948년 미국의 마셜 플랜을 지원받았던 유럽경제협력기구(OEEC,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가 출발점이었으며, 1961년에는 미국과 캐나다가 합류하여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가 생성되었습니다. 이 기구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매년 5월 경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OECD 본부에서 열리는 각료이사회입니다….

  • 해피아워 세일(3~5% 이상) 전략 및 얼리버드 -레스토랑 피크타임 외 스윙타임 줄이기

    음식점을 운영한다면 2020년 코로나 이후 음식점을 운영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홀 매장의 수요 감소와 코로나를 포함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매장에 피크타임 외 스윙타임에도 손님이 줄었다면 ‘해피아워’와 같은 방식으로 매장 운영의 방식을 바꿔야 할 때일 수 있습니다. 매장마다 차이는 있지만 레스토랑 스윙 타임은 손님이 뜸 할…

  • 2023년 중국 경기침체

    중국 헝다 그룹의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이 2023년 중국 경기침체의 대표적인 신호탄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던 공장은 부동산 경기 침체 외에도 코로나가 끝나가는 시점에 이미 중국의 수출은 어려우며, 청년 실업률은 50%를 넘어선 것으로 보고 있다. 목차1. 레버리지(Leverage)2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2023년 중국 경기침체는 장기 침체로 갈 가능성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 보통주 우선주 차이와 우선주 종류 2가지

    일반 주식이 보통주라면 ‘삼성전자우’와 같이 우선주가 있습니다. 보통주 우선주 차이점은 무엇이며 어떤 장·단점이 있는 것일까요? 보통주(일반 주식 or 일반주)는 주식회사에 대한 권리가 있음을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여러가지 권리 중 회사의 경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사결정권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의결권’, 주식회사의 수익에 대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배당권’ 등이 일반적입니다. 목차1. 레버리지(Leverage)2 레버리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