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티션 설정 방법: gdisk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파티션 설정(생성과 수정, 삭제)을 진행할 때 fdisk 명령어 또는 gdis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disk를 이용한 파티션 정보 편집에 대해 다뤄 보겠습니다.

마운트 하기 전 파티션의 설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 리눅스 파티션 설정 순서
  • 파티션 정보 편집을 원하는 장치 파일 이름 지정 후 명령어 실행
  • 파티션 목록 표시
  • 필요 없는 파티션 삭제
  • 새 파티션 생성
  • 파티션 정보 저장 후 gdisk(또는 fdisk) 명령어로 종료

저장 후 종료 전까지 파티션 작업 내용은 디스크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 gdisk 명령어로 리눅스 파티션 설정하기

gdisk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티션 관리에 사용되는 fdisk와 같은 유틸리티이며, 보통 디스크 용량이 2TB 미만인 경우 fdisk를 사용하게 되며, 2TB 이상인 대용량의 경우 parted나 gdisk를 사용해서 파티션 작업을 하게 됩니다.

gdisk -[옵션] [대상 장치 파일]

설정된 파티션의 정보 확인은 -l 옵션을 적용해서 gdisk 또는 fdisk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disk -l
Disk /dev/xvda: 10 GiB, 10737418240 bytes, 20971520 sectors
Units: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label type: gpt
Disk identifier: 0EF4456F-5883-478F-B913-FBB62350113E

Device       Start      End  Sectors  Size Type
/dev/xvda1    2048   204799   202752   99M EFI System
/dev/xvda2  204800  2252799  2048000 1000M Linux filesystem
/dev/xvda3 2252800  2260991     8192    4M PowerPC PReP boot
/dev/xvda4 2260992  2263039     2048    1M BIOS boot
/dev/xvda5 2265088 20969471 18704384  8.9G Linux filesystem


Disk /dev/xvdf: 3 GiB, 3221225472 bytes, 6291456 sectors
Units: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1. gdisk 옵션

gdisk를 실행 후 나오는 기본 화면입니다.

gdisk /dev/xvdf
GPT fdisk (gdisk) version 1.0.7

Partition table scan:
  MBR: not present
  BSD: not present
  APM: not present
  GPT: not present

Creating new GPT entries in memory.

Command (? for help):

2. gdisk 실행 p 옵션 확인

Command (? for help): p
Disk /dev/xvda: 20971520 sectors, 10.0 Gi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512 bytes
Disk identifier (GUID): 0EF4456F-5883-478F-B913-FBB62350113E
Partition table holds up to 128 entries
Main partition table begins at sector 2 and ends at sector 33
First usable sector is 34, last usable sector is 20971486
Partitions will be aligned on 2048-sector boundaries
Total free space is 6077 sectors (3.0 MiB)

Number  Start (sector)    End (sector)  Size       Code  Name
   1            2048          204799   99.0 MiB    EF00  EFI System Partition
   2          204800         2252799   1000.0 MiB  8300  primary
   3         2252800         2260991   4.0 MiB     4100  primary
   4         2260992         2263039   1024.0 KiB  EF02  primary
   5         2265088        20969471   8.9 GiB     8300  primary

3. gdisk 파티션 생성

파티션 유형은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ex code or GUID (L to show codes, Enter = 8300): L
Type search string, or <Enter> to show all codes: 
0700 Microsoft basic data                0701 Microsoft Storage Replica         
0702 ArcaOS Type 1                       0c01 Microsoft reserved                
2700 Windows RE                          3000 ONIE boot                         
3001 ONIE config                         3900 Plan 9                            
4100 PowerPC PReP boot                   4200 Windows LDM data                  
4201 Windows LDM metadata                4202 Windows Storage Spaces            
7501 IBM GPFS                            7f00 ChromeOS kernel                   
7f01 ChromeOS root                       7f02 ChromeOS reserved                 
8200 Linux swap                          8300 Linux filesystem                  
8301 Linux reserved                      8302 Linux /home                       
8303 Linux x86 root (/)                  8304 Linux x86-64 root (/)             
8305 Linux ARM64 root (/)                8306 Linux /srv                        
8307 Linux ARM32 root (/)                8308 Linux dm-crypt                    
8309 Linux LUKS                          830a Linux IA-64 root (/)              
830b Linux x86 root verity               830c Linux x86-64 root verity          
830d Linux ARM32 root verity             830e Linux ARM64 root verity           
830f Linux IA-64 root verity             8310 Linux /var                        
8311 Linux /var/tmp                      8312 Linux user's home                 
8313 Linux x86 /usr                      8314 Linux x86-64 /usr                 
8315 Linux ARM32 /usr                    8316 Linux ARM64 /usr                  
8317 Linux IA-64 /usr                    8318 Linux x86 /usr verity             
Press the <Enter> key to see more codes, q to quit: 

swap 파일은 8200으로 Linux 파일시스템은 8300 번호를 입력해서 파티션 유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gdisk 파티션 삭제

[d] 옵션으로 파티션을 삭제합니다. 삭제할 파티션 번호를 입력해서 삭제를 진행하며, 파티션이 1개 만 있을 경우 자동으로 파티션이 삭제됩니다.

Command (? for help): d
Partition number (1-5): 3

Similar Posts

  • 리눅스 tmp 디렉토리: /tmp와 /var/tmp 차이

    리눅스 tmp 디렉토리는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주로 /tmp와 /var/tmp 디렉토리를 사용합니다. /tmp는 일시적인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시스템이 재부팅 되면 대부분의 파일이 삭제됩니다. 따라서 빠른 입출력과 임시 작업에 적합하며, 주로 프로세스가 실행 중 생성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반면에 /var/tmp는 재부팅 후에도 파일이 유지되는 임시 저장 공간입니다. 장기간 유지가 필요한 임시 파일이나 작업…

  • Zend OPcache 개념과 설치 및 설정

    OPcache는 PHP script 를 바이트코드(bytecode)로 컴파일한 후에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 시키는 모듈입니다.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PHP 가속기(PHP accelerators) 중 하나인 Zend Opcache 는 PHP 5.5부터 기본 모듈로 내장되었습니다. 목차✅ gdisk 명령어로 리눅스 파티션 설정하기1. gdisk 옵션2. gdisk 실행 p 옵션 확인3. gdisk 파티션 생성4. gdisk 파티션 삭제✅ OPcache의 주요 기능 ✅…

  • 리눅스: RPM, YUM 차이

    RPM(Red Hat Package Manager)과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은 리눅스의 패키지를 설치하는 인스톨 프로그램입니다. 패키지 설치와 삭제,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gdisk 명령어로 리눅스 파티션 설정하기1. gdisk 옵션2. gdisk 실행 p 옵션 확인3. gdisk 파티션 생성4. gdisk 파티션 삭제RPM 리눅스를 초기에 설치 할 때는 tar, gzip 등의 확장자를 사용했습니다. 패키지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컴파일을…

  • [Linux] localectl 명령어

    CentOS 7 버전부터 많은 명령어들이 통합되어 제공됩니다. 로케일 및 키보드 관련 부문은 localectl 명령어에서 제공합니다. locale은 원래 지역이나 장소를 의미하지만, IT 환경에서는 언어 및 지역 설정을 지칭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문자 인코딩, 언어, 날짜/시간, 숫자 등의 지역화 설정을 locale 문자열로 정의합니다. 대부분의 유닉스 및 리눅스 배포판은 POSIX 기반이며, 이는 Red Hat 및 Debian 계열도 포함됩니다….

  •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 /etc/fstab으로 자동 마운트 설정

    리눅스에 추가 HDD 또는 SSD 등의 스토리지를 추가 후 사용하려면 먼저 포맷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작업까지 진행해서 사용하기 전에 먼저 스토리지 포맷과 파일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는 과정부터 진행 해 보겠습니다. 목차✅ gdisk 명령어로 리눅스 파티션 설정하기1. gdisk 옵션2. gdisk 실행 p 옵션 확인3. gdisk 파티션 생성4. gdisk 파티션 삭제✅ 리눅스 디스크…

  • [Linux] usermod 명령어

    usermod 명령어는 user modification(사용자 수정)의 약자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UID (사용자 ID), 홈 디렉토리, 로그인 셸, 그룹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gdisk 명령어로 리눅스 파티션 설정하기1. gdisk 옵션2. gdisk 실행 p 옵션 확인3. gdisk 파티션 생성4. gdisk 파티션 삭제✅ usermod 명령어 기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