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dd 명령어(Data Description)
  • 데이터를 복사하고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 수행할 수 있는 작업
  • 디스크 복제, 파티션 복제
  • 전체 하드 디스크 or 파티션 백업 및 복원
  • 하드 디스크 데이터 삭제
  • 이미지 파일 생성
  • 파일 시스템 명령어
  • 잘못 사용될 경우 위험한 명령어로 대상 디스크의 오입력, 잘못된 블록 크기 입력 시 데이터가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d if=[input_file] of=[output_file] bs=[block_size] count=[block_num] status
# 사용 예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16
  • dd 명령어 사용 시 입출력 단위
  • c : Character [1bytes]
  • w : Word [2bytes]
  • b : Block [512bytes]
  • K : Kilo Bytes [1024] | KB : Kilo Bytes [1]
  • M : Mega Bytes [1024] | MB : Mega Bytes [1]
  • G : Giga Bytes [1024] | GB : Giga Bytes [1]
  • 기본 옵션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파일 생성

dd if=/dev/zero of=/swapfile bs=1MB count=2000
3+0 records in
2+0 records out
2147483648 bytes (2.1 GB, 2.0 GiB) copied, 77.5708 s, 27.7 MB/s
/dev/zero를 읽어서 /swapfile을 1MB 블록을 2천 개 생성 = 2GB 파일 생성

2. 디스크 파티션 삭제

dd if=/dev/zero of=/dev/xvdf1 count=1 bs=512

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dd if=/dev/zero of=/dev/xvdf1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Similar Posts

  • 리눅스 tar 명령어: 파일 압축, 해제

    리눅스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해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웹사이트의 이전 등에 mysqldump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앞 글자를 따서 ta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리눅스…

  • df 명령어

    df(Disk Free)는 마운트 된 장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 디스크 크기(Size), 사용량(Used), 여유공간(Avail), 사용률(Use%), 마운트지점(Mounted on)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df 명령어 옵션 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 clear 명령어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clear 명령어 – 기타명령어 clea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출력 된 터미널 화면을 지우는 명령어이다. clear 명령어는 도스의 cls 명령어와 동일한 뜻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리눅스 터미널 화면을 지워주고 커서는 화면 상단에 위치학게 된다….

  • [Linux] userdel 명령어: 사용자 계정 삭제 명령어

    리눅스에서 useradd로 계정 생성 후 삭제가 필요한 경우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userdel 명령어 기본 사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userdel 주로 사용하는 옵션 userlde만 입력해서 사용자를 삭제할 경우 보통 /home/[user]로 계정명이 폴더에 버전에…

  • [Linux] ip 명령어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설정 관리

    i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할 때 사용되는 주요 도구로, 다양한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p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할 수 있으며, IP 주소를 확인하거나 수동으로 추가 및 삭제하는 작업도 가능합니다. 또한 라우팅 테이블을 조회하고 경로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라우팅 관리, ARP 테이블 확인 및 수정, 터널링 설정…

  • Apache 시작, 중지, 재시작 명령어 | 서비스 상태 확인

    리눅스에서 Apache를 설치하고 레드헷 계열과 우분투에서의 시작, 중지, 재시작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Apache 시작, 중지, 재시작 등의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Apache 시작 및 중지, 재시작: Red Hat 계열 ✅ Apache 시작…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