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3개 항목 차이점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은 재무제표의 손익계산서에서 항상 보게 되는 항목입니다. 수익(매출)과 이익의 개념은 다릅니다. 수익은 총이익을 말합니다. 이익은 총이익에서 각종 비용을 뺀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하는데 1,000 만원을 대출 받아 2,000 만원이 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매출은 2,000만원입니다. 이자 및 수수료 등을 합한 1,100 만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900만원의 비용이 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예를 들어 비교했는데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은 회사의 성적표를 확인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네이버 주요재무정보에서 보면 상단에 항상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기재되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년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법인 회사는 경영 실적을 나타내는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며, 재무제표 내 손익계산서에서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매출(sales)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수익)은 식당에서 고객에게 판매한 전체 수익입니다. 평균 단가 7,000원 의 음식을 팔아 한달에 1,000만 원의 수익을 냈다면 1,000만 원이 매출이 됩니다.

2. 영업이익EBIT(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es)

해외직구 관세 기준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을 영업 이익이라고 하며, 영업이익은 1,000만 원의 매출에서 매출 원가(식재료 비 등의 원재료)와 판관비(급여,임대료,공과금 등)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매출이 아무리 좋더라도 영업이익에서 남지 않는다면 해당 기업은 적자 기업입니다.

3. 당기순이익(Net Income)

에이리츠

당기순이익은 당 회계 년도 동안에 발생한 순이익입니다.

예를 들어 식당을 운영하는 개인 사업자가 영업이익에서 영업 외 손익(예금이자, 부동산 투자 수익 등)을 더하고 영업 외 손실(대출 이자 등)과 세금(법인의 경우 법인세 등)을 뺀 순수한 이익을  당기순이익입니다.
주식 투자와 더불어 사업을 시작할 때에도 매출만 볼 것이 아닌 기업의 실제 실력인 영업이익에 대해 체크하고 일시적으로(부동산 매각 등)인 요인으로 순이익이 늘었는지 등을 체크한 후에 계획을 세우고 투자해야 하는 게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위 말씀드린 3가지 항목은 기업이 제대로 된 영업 활동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재무제표 항목에서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매출이 아무리 좋더라도 영업 이익이나 판관비 등을 뺀 순이익이 마이너스일 경우 적자 기업이기에 실적을 따라가는 주가에서 투자할 가치를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자기자본(총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자기자본 (owner’s capital)은 재무상태표에서 자본총계(Total Equity)로 표시하며 둘 다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으며, ‘총자본’ 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기자본이란 큰 항목으로 봤을 때 자본금 + 이익잉여금 항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초기자본금과 그동안 영업 활동을 해서 번 자금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자기자본은 상세 항목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으로 총 5가지 항목으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1….

  • 지방세란: 지방세 종류 9가지

    세금은 국가의 재정수요에 충당되는 ‘국세’가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갖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이 되는 ‘지방세’가 있습니다. 지방세란 특별시·광역시·도 또는 시·군·구가 지방세기본법에 의하여 과세권을 가지고 부과·징수되는 세금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그럼 지방세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매출(sales)2. 영업이익EBIT(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es)3. 당기순이익(Net Income) 1. 지방세 종류 1.1 취득세 ‘취득세’란 토지 및 건축물의 취득에 대해 해당 부동산…

  • 자본잉여금이란? 자본금 차이와 자본잉여금 종류 4가지

    자본잉여금((additional paid in capital)은 주식 발행을 통한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뜻합니다. 주주와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며, 출자 및 증자와 감자 등을 통해 발생한 자본금에 플러스(+) 된 금액을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1. 매출(sales)2. 영업이익EBIT(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es)3. 당기순이익(Net Income)자본잉여금과 자본금 차이 자본금은 앞서 설명한 출자 등을 통한 자본거래에 의해 성립된 금액입니다. 이렇게 남은 자본…

  • 손익계산서 활용: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활용‘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 지에 대해서 봐야 할 기본 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재무제표에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4개의 항목 중 재무상태표 다음으로 많이 보게 되는 표가 손익계산서입니다. 기본적으로 손익계산서에서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게 됩니다. 일반손익계산서가 아닌 포괄 손익계산서에서 봐야 할 사항은 당기순이익 외에 해당기업에 종속된 종속기업이 있다면 종속기업의 당기순이익에 대해서도 확인해야…

  • [경기 사이클]경기 불황(Economic Depression)

    경제는 순환합니다. 경기 침체(Recession)보다 더 안 좋은 상황인 경기 불황(Economic Depression)은 어떤 상태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역사적 사건에 가까운 불황들이 있으며, 경기 침체가 예측할 수 있는 회색코뿔소라면, 불황은 예측할 수 없는 블랙스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차1. 매출(sales)2. 영업이익EBIT(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es)3. 당기순이익(Net Income)1. 경기 불황 조건 많은 경제학자들이 불황으로 보는 조건은 GDP가 10%…

  • 더블유씨피 개요: 2차 전지 분리막 제조 기업

    더블유씨피는 EV용 이차전지 습식 분리막 및 세라믹코팅분리막(Ceramic Coated Separator, 이하 “CCS”)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분리막은 두 전극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전기화학 반응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온 전달의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분리막 소재로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등이 있습니다. PE나 PP와 같은 분리막 소재는 공정 과정을 통해 구분되며 건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