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발급 방법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요식업의 사업주 또는 직원이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 의무적으로 발급 받아야 하는 서류입니다. 위생과에서 불시 점검 시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과태료를 물을 수 있습니다. 위생 분야 종사자인 경우 건강진단규칙에 따라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관계자들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관련 법령: 식품위생법 제 40조) 2021년 기준 보건증 발급 수수료는 3,000원입니다. 일반 병원의 발급 비용은 25,000원 등 병원마다 비용의 차이는 있으니 미리 전화해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증 발급

1. 보건증 발급

보건증은 보통은 보건소에 방문하여 발급 받으며, 본인 신분증을 지참한 후에 방문해야 합니다. 건강진단결과서를 발급 받는 지역은 타지역 보건소에서도 발급 받은 것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2. 검사항목

일반 요식업 종사자는 장티푸스, 결핵, 전염심 피부질환 등의 검사를 하며, 유흥업소 종사자는 결핵, 에이즈, 장티푸스, 전염성 피부질환 등의 검사를 진행합니다.

3. 검사 후 발급 기간

검사 후 3~7일 정도가 소요되며, 우편 인터넷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2020년 부터는 검사를 받은 보건소에서 수령 외에도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4. 유효기간

건강진단결과서의 유효기간은 발급 받은 날짜 기준 1년입니다.(학교급신 종사자들은 6개월) 그리고 보건증은 자신의 재산이므로 회사에 제출한 경우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5. 보건증 과태료

대상1차 적발2차 적발3차 적발
집단급식 설치운영자&영업자20만원40만원60만원
대상1차 적발2차 적발3차 적발
종업원(직원, 아르바이트 등)10만원20만원30만원
종업원 4명 이하 사업주1차 적발2차 적발3차 적발
건강검진 대상자 1/2 미만 위반20만원40만원90만원
건강검진 대상자 1/2 이상 위반30만원60만원90만원
종업원 4명 이상 사업주1차 적발2차 적발3차 적발
건강검진 대상자 1/2 미만 위반30만원60만원90만원
건강검진 대상자 1/2 이상 위반50만원100만원150만원

그리고 건강검진 결과가 다른 사람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는 결과를 받고도 영업에 종사 시킨 사업자는 1차 100만원, 2차 200만원, 3차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사업주라면 본인과 직원의 보건증 발급 여부에 대해 기본으로 확인해서 매출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블랙 프라이데이(11월 넷째 주 목요일)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 즉, 검은 금요일은 11월 넷째 주 목요일인 추수감사절 다음날에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세일 기간이다. 블랙 프라이데이 날짜는 방금 언급한 바와 같이 매해 11월 넷째 주 금요일이다. Black Friday에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노트북, TV 등 평소에 비싼 가전 제품을 포함한 제품들을 싼 가격에 살 수 있는 행사기간이며1년 매출의 70%가 이 날…

  • 더블유씨피 개요: 2차 전지 분리막 제조 기업

    더블유씨피는 EV용 이차전지 습식 분리막 및 세라믹코팅분리막(Ceramic Coated Separator, 이하 “CCS”)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분리막은 두 전극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전기화학 반응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온 전달의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분리막 소재로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등이 있습니다. PE나 PP와 같은 분리막 소재는 공정 과정을 통해 구분되며 건식…

  • 재무상태표 보는법: 자산=부채+자본

    목차1. 보건증 발급2. 검사항목3. 검사 후 발급 기간4. 유효기간5. 보건증 과태료▧ 재무상태표 보는법 ‘재무상태표’는 ‘자산’ 과 ‘부채’ ‘자본’ (자기자본)이라는 크게 세가지 분류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기업이 창업을 할 경우 자금 조달을 하는 방법은 보통 주주의 투자금(자본금)과 외부차입(부채) 두 가지 방법  있습니다. 조달한 자본과 부채를 어떻게 활용(자산)하였는지를 보여주는 표가 재무상태표입니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을 합쳐서…

  • 홈택스 부가세 신고서 조회 및 발급 받는 방법-전자신고결과조회 페이지 찾기

    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서 조회 및 원천세 신고서 조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홈택스를 검색합니다. 홈택스 메인 페이지로 접속했다면 공동·금융인증서 or 간편인증(네이버 인증서, 신한은행 등)이나 아이디 로그인으로 로그인을 먼저 진행해 줍니다. 목차1. 보건증 발급2. 검사항목3. 검사 후 발급 기간4. 유효기간5. 보건증 과태료1. 부가세 신고서 조회 경로 로그인을 했다면 [조회/발급] > [전자신고결과조회]를…

  • 2021년 10월 25일 KT 인터넷 장애

    목차1. 보건증 발급2. 검사항목3. 검사 후 발급 기간4. 유효기간5. 보건증 과태료 1. 개요 2021년 10월 25일 KT 인터넷 장애 사건이 발생했다. 금일 11시 16분 경 KT망 서비스에 최초의 장애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KT 휴대폰을 사용하는 중 인터넷이 되지 않았던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집에서 사용하는 KT 인터넷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전국 인터넷과 카드…

  • 지방세란: 지방세 종류 9가지

    세금은 국가의 재정수요에 충당되는 ‘국세’가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갖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이 되는 ‘지방세’가 있습니다. 지방세란 특별시·광역시·도 또는 시·군·구가 지방세기본법에 의하여 과세권을 가지고 부과·징수되는 세금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그럼 지방세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보건증 발급2. 검사항목3. 검사 후 발급 기간4. 유효기간5. 보건증 과태료 1. 지방세 종류 1.1 취득세 ‘취득세’란 토지 및 건축물의 취득에 대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