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란(VAT10%)-계산법과 일반과세자 및 간이과세자 차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간접세의 하나이기도 한 부가가치세란 기업의 재화와 용역 등의 상품이 생산·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기업이 새로 만들어 내는 가치인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1977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부가가치세= 매출세액-매입세액

부가세(줄여서)는 소비세와 비슷하지만 소비세로 보지 않으며 명목 상 판매자가 상품을 만들어 증가한 가치에 대해 정부에 내는 세금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선 소비세로 봐도 무방하기도 합니다. 애초에 부가세란 ‘Value Added‘란 이금 그대로 부가된 가치에만 세금이 붙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부가세란 세금이 따로 존재합니다.

기존의 부가세는 국세나 지방세에 부가하여 과세했던 조세이지만 현재는 부가기치세=부가세 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하며, 더 정확한 표현은 차라리 영어로 ‘VAT‘라고 부르는게 더 정확한 표현이기도 합니다. 부가가치세 내는 이유는 부가세는 중간 유통 단계를 거치며 각 사업자에게도 부과되지만 실제로 가장 많이 지불하는 것은 최종 소비자입니다.

1. 부가가치세 계산법

부가가치세((Value Added Tax) 세율은 10%입니다. 간단히 부가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가가치세 포함 시 계산: 매출금액 ÷ 1.1
부가가치세 미포함 시 계산: 매출금액 × 1.1
부가가치세(VAT10%)

2. 부가가치세(VAT) 매입세액과 매출세액 계산

VAT=매출세액-매입세액
200원=300-100

부가된 가치에만 세금이 붙는 매출세액과 매입세액이 존재합니다. 부가 된 가치에만 세금이 매겨지기 때문에 판매자는 1,100원에 물품 구입 후 부가세 포함 3,300원에 팔았다면 판매자는 200원에 대한 부가세만 납부하면 됩니다.

·매출세액 : 매출 중 고객에게 받은 부가세 (매출액×10%)
·매입세액 : 매입 시 지불한 부가세 (매입액×10%)
부가가치세란

3.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구분

개인사업자의 경우 사업자 등록을 할 때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사업자등록증’을 신청해야 합니다. 연 매출액이 4,800만 원 미만 사업으로 예상 될 경우 간이과세자로 ‘사업자등록증’을 발급 받아야 합니다. 법인사업자는 간이과세자로 신청이 불가능하며, 개인사업자만 해당됩니다.

일반과세자는 일괄적으로 10%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며, 간이과세자는 업종별 0.5~3% 의 부가가치세가 과세됩니다.

구분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
기준연 매출액 4,800만 원 이상연 매출액 4,800만 원 미만
매출세액공급가액 × 10%공급대가 × 업종부가율 × 10%
매입세액 공제전액 공제매입세액 × 업종부가율
세금계산서발행 의무발행 불가 (영수증만 발행 가능)

3.1 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2021.7.1. 이후

업 종부가가치율
소매업, 재생용 재료수집 및 판매업, 음식점업15%
제조업, 농업·임업 및 어업, 소화물 전문 운송업20%
숙박업25%
건설업, 운수 및 창고업(소화물 전문 운송업은 제외), 정보통신업30%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인물사진 및 행사용 영상 촬영업은 제외),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부동산임대업40%
그 밖의 서비스업30%

4. 한국 부가가치세 납부기한

4.1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

개인 일반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납부기한입니다.

과세기간과세 대상 기간신고 납부 기간신고대상자
제 1기 예정신고1.1~3.314.1 ~ 4.25법인사업자
제 1기 확정신고 1.1 ~ 6.307.1 ~ 7.25법인·개인 일반사업자
제 2기 예정신고7.1 ~ 9.3010.1 ~ 10.25법인사업자
제 2기 확정신고 7.1 ~ 12.31 다음 해 1.1 ~ 1.25법인·개인 일반사업자

4.2 간이과세자

간이과세자는 1년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신고·납부합니다.

과세기간신고납부기간
1.1 ~ 12.31다음 해 1.1 ~ 1.25
부가가치세 세율

5. 부가가치세 문제점

5.1 부가가치세 역진성

간접세의 일종인 부가세는 소비 수준이 낮거나 정책적으로 세금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소득세 및 법인세와 다르게 부가세 10%는 1,000원 짜리 아이스크림을 사도 누구에게나 부과되기 때문에 서민들이 부자들에 비해 내는 세금은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나이 여부를 떠나 수입이 없더라도 내야되는 세금인 셈이죠.

직장인이 10만원 정도를 소비했다면, 부가가치세 10% 외에도 주유세, 담배, 술 등에 포함된 소비세와 간접세로 25,000원 정도의 세금을 낸다고 합니다. 부자에게 2만 원의 세금은 별거 아닐 수 있지만 일반 서민에게 큰 금액일 수 밖에 없습니다.

5.2 인플레이션에 늦은 대응

재무제표 등의 회계 작성을 할 때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게 만들며, 높은 세율로 책정되어 있는 만큼 유통 비용의 증가와 인플레이션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기 어렵습니다. 코로나 사태 인플레이션으로 문제가 된 유럽 연합 국가들은 부가세로 유통 경직과 물가 민감성 때문에 기준 금리 인상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뉴스나 유튜브 등에서 나오기도 했지요.

5.3 금에 대한 부가세

대한민국은 금 거래를 할 때에도 부가세를 징수합니다. 유럽 국가에선 징수하지 않으며, 미국은 부가세가 아닌 소비세를 징수합니다. 금본위제가 없어졌지만 금은 화폐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으며, 금 값의 변동은 신용 화폐의 변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금은 근본적으로 부가 된 가치를 매길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점은 법에서도 부가가치세법에서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제14조(부수 재화 및 부수 용역의 공급) ① 주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부수되어 공급되는 것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은 주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1. 해당 대가가 주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한 대가에 통상적으로 포함되어 공급되는 재화 또는 용역

2. 거래의 관행으로 보아 통상적으로 주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부수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인정되는 재화 또는 용역

② 주된 사업에 부수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은 별도의 공급으로 보되, 과세 및 면세 여부 등은 주된 사업의 과세 및 면세 여부 등을 따른다.

1. 주된 사업과 관련하여 우연히 또는 일시적으로 공급되는 재화 또는 용역

2. 주된 사업과 관련하여 주된 재화의 생산 과정이나 용역의 제공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재화

부가가치세법
제17조(재화 및 용역의 공급시기의 특례) ① 사업자가 제15조 또는 제16조에 따른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이하 이 조에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라 한다)가 되기 전에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대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고, 그 받은 대가에 대하여 제32조에 따른 세금계산서 또는 제36조에 따른 영수증을 발급하면 그 세금계산서 등을 발급하는 때를 각각 그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로 본다. <개정 2017. 12. 19.>

②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가 되기 전에 제32조에 따른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그 세금계산서 발급일부터 7일 이내에 대가를 받으면 해당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때를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로 본다.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가 그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가 되기 전에 제32조에 따른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그 세금계산서 발급일부터 7일이 지난 후 대가를 받더라도 해당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때를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로 본다. <개정 2017. 12. 19., 2018. 12. 31., 2021. 12. 8.>

1. 거래 당사자 간의 계약서ㆍ약정서 등에 대금 청구시기(세금계산서 발급일을 말한다)와 지급시기를 따로 적고, 대금 청구시기와 지급시기 사이의 기간이 30일 이내인 경우

2.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가 세금계산서 발급일이 속하는 과세기간 내(공급받는 자가 제59조제2항에 따라 조기환급을 받은 경우에는 세금계산서 발급일부터 30일 이내)에 도래하는 경우

④ 사업자가 할부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경우 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의 공급시기가 되기 전에 제32조에 따른 세금계산서 또는 제36조에 따른 영수증을 발급하는 경우에는 그 발급한 때를 각각 그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로 본다.

6. 나라별 부가가치세 및 소비세

아시아 국가표준 세율
 대한민국10%
 일본10%
 인도12.5%
 인도네시아10%
 싱가포르7%
 대만5%
 중화인민공화국16%
 태국7%
 베트남10%
 말레이시아6%
 필리핀12%
EU 국가표준세율
 오스트리아20%
 벨기에21%
 불가리아20%
 키프로스15%
 체코20%
 덴마크25%
 에스토니아20%
 핀란드24%
 프랑스19.6%
 독일19%
 그리스23%
 헝가리25%
 아일랜드21%
 이탈리아22%
 라트비아22%
 리투아니아21%
 룩셈부르크15%
 네덜란드21%
 폴란드23%
 포르투갈23%
 루마니아24%+
 스페인21%
 스웨덴25%
 크로아티아23%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사업보고서: DART의 11가지 항목

    목차1. 부가가치세 계산법2. 부가가치세(VAT) 매입세액과 매출세액 계산3.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구분3.1 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2021.7.1. 이후4. 한국 부가가치세 납부기한4.1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4.2 간이과세자5. 부가가치세 문제점5.1 부가가치세 역진성5.2 인플레이션에 늦은 대응5.3 금에 대한 부가세6. 나라별 부가가치세 및 소비세▥ 사업보고서 – 항목 ‘사업보고서‘ 는 사업년도 결산 후 90일 이내, 분기보고서는 결산일 후 60일 이내, 반기 보고서는 결산일…

  • 주도주 정의 및 투자하는 이유와 찾는법

    주도주(대장주 영어: Market Leadership)는 주식 시장의 상승을 주도하는 주식들입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나 2차 전지, 메타 버스 등 특정 테마의 주식이 상승할 때가 있습니다.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서 테마주로 불리기도 하지만 특정 업종(섹터)/테마 등으로 봅니다. 주도주란 관련 주식 섹터의 시세를 이끌어 가는 주식을 의미합니다. 목차1. 부가가치세 계산법2. 부가가치세(VAT) 매입세액과 매출세액 계산3.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구분3.1 간이과세자의…

  • 코스피

    목차1. 부가가치세 계산법2. 부가가치세(VAT) 매입세액과 매출세액 계산3.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구분3.1 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2021.7.1. 이후4. 한국 부가가치세 납부기한4.1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4.2 간이과세자5. 부가가치세 문제점5.1 부가가치세 역진성5.2 인플레이션에 늦은 대응5.3 금에 대한 부가세6. 나라별 부가가치세 및 소비세■ 코스피 – 종합주가지수 코스피 지수는 한국종합주가지수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는  한국 거래소 유가 증권 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말합니다.2020년 …

  • 2024년 삼성중공업 주가 전망

    2023년 삼성중공업이 수주 목표를 거의 달성하면서 2·3분기 매출 상승을 포함한 영업이익과 당기 순이익이 흑자로 전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가도 이미 반영되어 2023년 1월 4,700원 대 주식 가격이 8월 9,470원으로 1월 대비 2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목차1. 부가가치세 계산법2. 부가가치세(VAT) 매입세액과 매출세액 계산3.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구분3.1 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2021.7.1. 이후4. 한국 부가가치세 납부기한4.1 개인사업자…

  • 저작권 공정 사용이란? 구글의 공정 사용 4가지 권장 사항

    저작권 공정 사용(or 저작권 공정 이용)은 저작권에서 보호되는 저작물을 저작권자의 허가를 구하지 않고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미국 저작권법 상 개념입니다. 일반적인 국가라면 예술에 포함되는 소설, 드라마, 영화, 책, TV 프로그램과 같이 저작물을 만들 사람이 저작권을 가지고 됩니다. 타인이 지식재산권에 속하는 저작권 소유자의 저작물을 허락 없이 이용할 경우 원칙적으로 타인은 저작권을 침해하는…

  • 자본잉여금이란? 자본금 차이와 자본잉여금 종류 4가지

    자본잉여금((additional paid in capital)은 주식 발행을 통한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뜻합니다. 주주와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며, 출자 및 증자와 감자 등을 통해 발생한 자본금에 플러스(+) 된 금액을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1. 부가가치세 계산법2. 부가가치세(VAT) 매입세액과 매출세액 계산3.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구분3.1 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2021.7.1. 이후4. 한국 부가가치세 납부기한4.1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4.2 간이과세자5. 부가가치세 문제점5.1 부가가치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