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 브랜드 2가지 다른 용도

상표 브랜드‘ 2개 단어는 그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세계 무역기구 (The World Organization)에서 지적 재산권을 무역 관련 측면에서 봤을 경우로써 상표(trademark)의 의미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상표(trademark): 어떤 기호 및 기호의 조합으로 하나의 사업에 제품과 서비스를 구별 할 수 있어야 한다.

brand는 마케팅 측면에서 판매 촉진을 위해 상품 판매자가 본인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표시된 이미지라 할 수 있겠다.

브랜드(brand): 브랜드는 판매자 또는 판매자 그룹의 제품과 서비스를 식별하고 경쟁사와 구별하기 위한
이름, 용어, 기호, 상징, 디자인 혹은 이들의 조합이다. 
상표 브랜드

1. 상표 브랜드: 법률 마케팅 차이

trademark가 법률 용어라면 brand는 마케팅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각각 사용 용도가 다른 것이다. brand를 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해서 사용에 대한 독점 배타권을 얻을 수 있으며, 민.형사상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brand가 상표가 되는 것이다.

마케팅 적인 측면 만으론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브랜드는 상표 등록을 해야 하는 것이 필수이다.

2. 단어 선택

법률 용어와 마케팅이라는 차이로 상표와 브랜드 각각의 차이를 알아 보았다. 이와 같이 다르기에 brand를 번역할 때 상표로 번역해서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사용이라고 할 수 있다.

‘brand’는 브랜드 그대로 외래어로 번역해서 사용하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trade-mark’가 상표로 번역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각각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brand는 trademark보다 보다 넓은 의미를 가진 마케팅 개념으로, trademark는 법률적으로 해석되는 개념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상표 브랜드 2가지 다른 용도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도심 속 자율주행 배달로봇 뉴비-배달 플렛폼 기업’뉴빌리티’

    배달로봇 뉴비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배달 로봇이란: 자율 주행 로봇을 이용해 제품 등을 배달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러한 로봇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이동하며, 주문을 받고 제품을 배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2021년 코로나가 장기화 되고, 쿠팡이츠 및 배민의 단 건 배달 시스템이 배달료를 폭등하게 만들었습니다. 소비자는 배달비를 3,000~4,000원 정도 부담해야 하며 음식점 역시 비슷한 금액…

  • 지방세란: 지방세 종류 9가지

    세금은 국가의 재정수요에 충당되는 ‘국세’가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갖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이 되는 ‘지방세’가 있습니다. 지방세란 특별시·광역시·도 또는 시·군·구가 지방세기본법에 의하여 과세권을 가지고 부과·징수되는 세금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그럼 지방세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상표 브랜드: 법률 마케팅 차이2. 단어 선택 1. 지방세 종류 1.1 취득세 ‘취득세’란 토지 및 건축물의 취득에 대해 해당 부동산 소재지의…

  • 주식 캔들차트 보는법

    주식 매매를 할 때 중기나 장기 투자가 아닌 단기 투자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중.장기 투자한 주식을 팔아야 할 시기를 정할 경우 등. 경우에 따라 주식의 주식 캔들차트 보는법을 익혀서 매매를 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캔들(candle)은 양초를 뜻하며, 양초 같은 모양의 차트이기 때문에 캔들차트라고 합니다. 그럼 양봉과 음봉의 의미와 함께 차트 보는법에…

  • 매출채권과 매입채무

    ‘매출채권과 매입채무‘ 는 기업이 발생한 매출 중에 거래처로부터 받아야 할 채권과 갚아야 할 채무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1. 상표 브랜드: 법률 마케팅 차이2. 단어 선택1. 매출채권 매출채권(Accounts receivable)은 기업이 제품을 판매할 때 외상으로 판매하면서 발생한 채권이며, 매출에서 발생한 금액을 미래에 지급 받는 의미로 구입한 기업으로부터 받은 채권을 뜻합니다.또한 매출채권은 회계상의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 익명의 개발자로부터 시작된 역사

    비트코인Bitcoin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암호화페입니다.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익명의 프로그래머가 시도되지 않은 탈중앙화 디지털 통화를 설명하는 9페이지 분량의 문서를 발행했습니다. 목차1. 상표 브랜드: 법률 마케팅 차이2. 단어 선택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Bitcoin은 개인, 그룹 및 정부 기관이 통제할 수 없는 화폐 및 결제 수단으로 작동하게 설계된 가상화폐입니다. 금융 거래에 제 3자가…

  • 금리란? 이자와 이자율 차이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금리란(interest rate)란 원금에 대한 기간 당 이자를 비율로 계산한 것이며, 이자율과 동의어다. 보통 1년 기준 ‘연 금리’로 계산하는 것이 보통이다. 금리는 정기예금과 적금 그리고 대출금리 뿐만 아닌 채권의 금리, 주식의 배당금 등에도 적용된다. 그리고 우리가 받는 금리에는 이자소득세라는 세금이 붙는다. (우리나라 은행 이자에서 이자소득세는 15.4%이다.) 목차1. 상표 브랜드: 법률 마케팅 차이2. 단어 선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