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버블경제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일본 버블경제(Japan’s Bubble Economy)란 1986년부터 1991년까지 부동산과 주식 시장 가격이 크게 부풀려진 일본의 경제버블을 뜻 합니다. 일본의 주식 및 부동산 거품은 1989년 가을부터 붕괴되었습니다. 주식 가치는 1989년 말부터 1992년 8월까지 60% 하락했고, 토지 가치는 1990년대 내내 하락하여 2001년까지 무려 70%나 하락했습니다.

플라자 합의[Plaza Accord]

오일 쇼크 등 앞서 다양한 사건들이 있었지만 일본 버블의 근본적인 원인은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에 있는 플라자 호텔에서 G5 경제 선진국 영국,프랑스, 서독, 일본, 미국의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들의 모임에서 발표된 환율에 관한 합의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플라자 합의 주 내용은 독일 마르크화 및 일본 엔화의 가치를 절상 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의 경우 달러 당 240엔 정도 되던 엔/달러 환율은 발표일 다음날을 시작으로 환율은 달러 당 235엔에서 215엔으로 하락했습니다. 1년 후 엔/달러 환율은 120엔 대로 하락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일본 가전 제품의 가격이 100달러에서 200달러로 바뀌면서 수출 경쟁력이 약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 버블경제 신호탄: 금리 인하

1960년대 이후 30년 간의 고도 성장을 이어가던 일본은 1960년 대 10%, 1970년 대 5%, 1980년대 4%에 달하는 경제 성장률을 기록합니다. 1988년 세계 50대 기업 순위에 일본 기업이 33개나 차지 했을 정도로 일본은 미국에 이은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되었습니다.

1986년 일본 정부는 엔화 가치 상승으로 인한 수출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5%에서 3%로 낮추었습니다. 다시 1987년 2.5%로 낮추는 등 금리 인하 정책을 이어나갑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기업은 설비 투자를 해 제품의 품질 향상으로 수출이 늘어날 것을 기대한 정책이었지만 주식과 부동산의 거품이 1986년 부터 생성되기 시작합니다.

1989년 급격하게 오른 주식, 부동산 자산 가격의 상승으로 일본은 기준 금리를 2.5%에서 4.25%로 인상하게 됩니다. 다시 1990년 4.25에서 다시 6%까지 인상하는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하지만 너무 빠르게 올린 금리는 주식 가치는 1989년 말부터 1992년 8월까지 60% 하락했으며, 부동산은 1990년대 동안하락하여 2001년까지 70% 하락을 맞이하게 됩니다.

일본 버블경제

잃어버린 30년

일본 버블경제는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으로 이어졌으며, 여러가지 정책 시도 중에도 결국 장기 경기 침체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목차플라자 합의[Plaza Accord]일본 버블경제 신호탄: 금리 인하잃어버린 30년■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전자공시를 확인할 수 있는 DART  사이트는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 된 기업들의 재무에 관한 사항을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주식 투자자에게 있어 중요한 정보를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라고…

  • 손익계산서 활용: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활용‘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 지에 대해서 봐야 할 기본 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재무제표에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4개의 항목 중 재무상태표 다음으로 많이 보게 되는 표가 손익계산서입니다. 기본적으로 손익계산서에서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게 됩니다. 일반손익계산서가 아닌 포괄 손익계산서에서 봐야 할 사항은 당기순이익 외에 해당기업에 종속된 종속기업이 있다면 종속기업의 당기순이익에 대해서도 확인해야…

  • 소비자 물가지수 보는법(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란? 일반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 및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한국 소비자 물가지수’ 및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등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을 확인 하셨을 겁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CPI를 인플레이션 측정 지수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 더블유씨피 개요: 2차 전지 분리막 제조 기업

    더블유씨피는 EV용 이차전지 습식 분리막 및 세라믹코팅분리막(Ceramic Coated Separator, 이하 “CCS”)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분리막은 두 전극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전기화학 반응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온 전달의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분리막 소재로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등이 있습니다. PE나 PP와 같은 분리막 소재는 공정 과정을 통해 구분되며 건식…

  • 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 1.5%

    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이 1.5%를 기록하면서 3분기 연속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웃돌고 있습니다. 이는 거의 2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며, 한국을 추월할 가능성도 전망하고 있습니다. 목차플라자 합의[Plaza Accord]일본 버블경제 신호탄: 금리 인하잃어버린 30년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 잃어버린 30년 탈출의 신호? 일본 내각부가 2023년 2분기 일본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 1분기보다 1.5% 증가했다고 8월 15일 발표했습니다….

  • 2차전지 대장주 7종목 리스트 | 매출 상위 기업 비교 및 기대 기업

    전기차에 탑재되는 2차전지를 생산하는 기업부터 전기차 배터리 5대 구성 요소인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케이스 및 관련 장비를 생산하는 다양한 기업들이 있습니다. 전기차 섹터를 주도하는 2차전지 대장주 7개 기업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플라자 합의[Plaza Accord]일본 버블경제 신호탄: 금리 인하잃어버린 30년 2차전지 대장주(주도주) 종목 비교 삼성 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6개 매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