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이란? : 3가지 증권 종류

증권이란 문서나 서류로서의 증거를 의미하며, 보통 유가증권(有價證券)을 줄여서 ‘증권’이라고 합니다. 유가증권과는 반대인 무가증권은 금전적 가치가 없는 증권입니다. 상법 상 재산적 가치를 인정 받는 유가 증권(영어:security)은 화폐증권, 상품증권, 주식증권 3가지가 있습니다.

증권거래법으로 규정된 유가증권

증권거래법[2008.03.21]일부 개정
제2 조 【정의 】
① 이 법에서 “유가증권”이라 함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개정 1991.12.31, 1997.1.13>

  1. 국채증권
  2. 지방채증권
  3. 특별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이 발행한 채권
  4. 사채권
  5. 특별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이 발행한 출자증권
  6. 주권 또는 신주인수권을 표시하는 증서
  7. 외국법인등이 발행한 증권 또는 증서로서 제1호 내지 제6호의 증권이나 증서의 성질을 구비한 것
  8. 외국법인등이 발행한 증권 또는 증서를 기초로 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가 발행한 유가증권예탁증서
  9. 제1호 내지 제8호의 증권 또는 증서와 유사하거나 이와 관련된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
참조: 증권 거래법 제 2조
증권이란

1. 증권이란: 화폐증권

화폐증권은 화폐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닌 유가증권으로, 특정 기간 또는 수시로 일정액의 화폐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내는 유가증권입니다. 이러한 화폐증권은 대표적으로 어음, 수표, 우편환 등이 있습니다.

상품권이나 쿠폰은 화폐증권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이들은 ‘해당 금전 상당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 받을 권리’를 표현하는 유가증권이며, ‘화폐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청구할 수 있는 화폐증권의 범주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화폐증권

2. 증권이란: 상품증권

상품증권은 운송 또는 보관 중에 있는 화물에 대한 인도청구권을 표창하는 유가증권입니다. 물권적 효과를 나타내는 증권이지만, 물권증권은 아니고 채권증권입니다. 상품증권의 이전은 목적물인도청구권의 이전이며, 물권의 변화는 청구권의 행사에 해당합니다.

입장권이나 식권은 상품권에 해당하며, 상품증권은 아닙니다. 상품권과 상품증권은 둘 다 유가증권입니다.

상품증권 거래소

3. 증권이란: 자본 증권

자본증권은 투자수익의 취득을 목적으로 하여 취득하는 유가증권으로, 주로 증권이라고도 불립니다.

자본증권은 투자한 금액을 표시한 유가증권으로, 상품증권보다 환금성이 높아 거래가 활발하며 배당이나 이자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에는 주식, 채권 등이 포함됩니다.

증권 - 화폐증권, 상품증권, 주식증권

4. 증권시장

증권시장‘은 유가증권(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으로 나뉘어집니다. 코스닥 시장의 초창기 의미는 기존 유가증권(코스피) 시장과 분리된 장외거래 주식시장으로의 의미를 갖고 있었습니다.


2020년 대 현재는 장외주식 시장의 의미보다는 제 2의 주식거래 시장이라는 의미로 주로 벤처 기업 등이 상장 되는 시장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금본위제란? BC 700년 시작된 금본위제도 역사

    금본위제Gold Standard)란 화폐를 금의 가치로 환산한 것입니다. 금본위제도(Gold Standard System)는 지정된 금의 양을 자국 통화 가치와 고정하거나 연결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금본위제를 사용한 국가의 중앙은행은 세 가지의 통화 정책 기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고정된 가격의 법정 화폐를 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지하여 물가 안정 ⓑ 환율 방어 ⓒ 국제수지 불균형의 안정적인 조정 목차증권거래법으로 규정된 유가증권1….

  • [Self Employment] 메뉴명의 숫자와 물리 법칙과 근거

    동일한 메뉴에 숫자를 넣는 건 좋은 생각입니다. 5cm 길이의 갈빗살을 1m 길이로 만들 수 있습니다. 8 조각 치킨을 16 조각으로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메뉴명의 숫자를 넣는 것과 물리 법칙 근거에 대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목차증권거래법으로 규정된 유가증권1. 증권이란: 화폐증권2. 증권이란: 상품증권3. 증권이란: 자본 증권4. 증권시장1. 메뉴명의 숫자 물리 법칙 5첩 비빔밥 한뼘…

  • DART 요약재무정보

    목차증권거래법으로 규정된 유가증권1. 증권이란: 화폐증권2. 증권이란: 상품증권3. 증권이란: 자본 증권4. 증권시장 ■ DART 요약재무정보 ‘DART 요약재무정보’ 항목은 전자공시 DART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011년 IFRS가 도입되어 요약재무정보에서도 연결재무제표와 재무제표의 내용이 각각 요약연결재무정보와 요약별도재무정보로 나뉘어집니다. 요약 재무정보의 내용에서는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DART 사이트 링크 아래는 네이버의 요약연결재무정보입니다.(간단하게 보는 방법 위주의 설명입니다.) 자산 총계는 크게 유동자산,비유동자산으로…

  • 2차 전지(Secondary Cell) | 정의와 미래 산업을 주도하는 핵심 역할!

    2차 전지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 및 재생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차 전지의 개발과 발전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에 대한 중요한 동력원으로 점점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자동차 산업에서 주목 받기 시작한 이차 전지 시장은 2020년 대 한국, 일본, 중국 세 나라가 주도하고…

  • 일본 버블경제

    일본 버블경제(Japan’s Bubble Economy)란 1986년부터 1991년까지 부동산과 주식 시장 가격이 크게 부풀려진 일본의 경제버블을 뜻 합니다. 일본의 주식 및 부동산 거품은 1989년 가을부터 붕괴되었습니다. 주식 가치는 1989년 말부터 1992년 8월까지 60% 하락했고, 토지 가치는 1990년대 내내 하락하여 2001년까지 무려 70%나 하락했습니다. 목차증권거래법으로 규정된 유가증권1. 증권이란: 화폐증권2. 증권이란: 상품증권3. 증권이란: 자본 증권4. 증권시장 플라자…

  • 비슷한 동선 묶은 배달 서비스 [쿠팡이츠 세이브배달] 6월 9일 송파구 시범 운영

    쿠팡이츠가 최근 비슷한 주문을 묶어 배달하는 쿠팡이츠 세이브배달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이는 4월에 알뜰배달을 시작한 배달의민족과 경쟁을 예상하게 됩니다. 2023년 6월 9일 송파구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하게 됩니다. 목차증권거래법으로 규정된 유가증권1. 증권이란: 화폐증권2. 증권이란: 상품증권3. 증권이란: 자본 증권4. 증권시장 1. 쿠팡이츠 세이브배달의 배경 코로나 시기 배달앱 배달비는 쿠팡이츠와 배달의 민족의 ‘단건 배달’ 경쟁으로 높은 상승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