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데몬,서비스 차이점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프로세스(Process)는 컴퓨터에서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Program)을 말 합니다.

1. 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차이

먼저 프로그램은 어떤 작업을 위해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을 의미합니다.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실행 파일이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 PC에 설치되어 있는 크롬, 원노트, 엑셀, 카카오톡 등의 파일들이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 크롬에서 확인한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실행 후 CPU를 차지하면서 수행하는 수행 주체입니다. Program 자체에는 생명이 없으며, 보조 기억장치(하드디스크, SSD)에 존재하며 실행되기를 기다리는 명령어(코드)와 정적인 데이터의 묶음입니다. Program의 명령어와 정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적재되면 동적인 Process가 됩니다.

Process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ps -ef 명령어로 윈도우처럼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 명령어로 프로세스 확인

2. 데몬(Daemon)

데몬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도깨비나 유령을 뜻하는 데몬(daemon)이란 이름은 MIT의 MAC 프로젝트 프로그래머들이 만들었습니다. 이후 유닉스 시스템에서 이 용어를 받아 들였습니다. 리스 신화에서도 신들이 관여하지 않는 일을 처리하는 데몬이 등장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신경쓰지 않도록 하면서 백그라운드에서 일을 처리해 주는 데몬의 역할과 맞아 떨어졌습니다.

Daemon은 항상 돌아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웹서버에 적합하며 대표적으로 Apache 웹서버의 httpd가 대표적인 Daemon 프로그램입니다. Daemon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서버로 들어오는 요청에 자동으로 응답 해 줍니다.

httpd, sshd, inetd 등 d로 끝나는 프로세서들이 대표적인 Daemon입니다.

3. 서비스(Service)

리눅스에서는 데몬으로 부르는 것이 윈도우에서는 서비스(Service)로 부른다고 보면 됩니다.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 작업관리자-서비스(리눅스에서는 데몬으로)

Similar Posts

  • 컴퓨터 구성요소 4가지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리눅스 서버 관리와 같은 업무에 있어 컴퓨터가 어떤 구성으로 되어 있는지 기본적인 컴퓨터 구성요소를 개념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분해해서 보면 주요 부품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1. 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차이2. 데몬(Daemon)3. 서비스(Service)Ⅰ. 컴퓨터 구성요소 1. 중앙처리장치 (CPU) 컴퓨터의 핵심 부품으로, 명령어를 처리하고 연산을 수행합니다. CPU의 속도는 초 당 명령어를…

  • |

    구글 웹스토리란?

    구글 웹스토리란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애니메이션, 텍스트를 조합하여 동적인 소비 환경을 만드는 웹 기반 버전의 인기 ‘스토리’ 형식입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과 비슷하지만 고유한 URL 주소를 가지고 구글 검색에 노출이 가능합니다. 구글 검색 뿐만 아니라 디스커버, 구글이미지에서도 노출이 가능합니다. 2022년 스토리는 아직 구글 이미지에서만 검색되긴 하지만 앞으로 더더욱 활성화가 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하죠. 목차1. 프로세스와…

  • 반도체 정의 및 역할 |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 차이

    반도체의 기본 뜻은 영어 Semi(반), Conductor(도체)의 합성어인 Semiconductor로 이루어진 합성어입니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원자재인 구리, 금, 철 등의 물질로 만들어진 전기 전도체(:electrical conductor-줄여서 도체)와 고무,유리 등과 같이 전기나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절연체(insulator, or 부도체) 중에 중간의 성격을 가진 것이 반도체입니다. 목차1. 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차이2. 데몬(Daemon)3. 서비스(Service) 1.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 반도체란? 결국 도체와…

  • 아파치 서버 톰캣 서버 차이

    아파치 서버와 톰캣 서버는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아파치 서버 톰캣 서버 차이점은 아파치 아파치(Apache) 서버는 HTTP 웹서버를 의미하며, 톰캣(Tomcat) 서버는 웹서버에서 동적인 페이지를 읽어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목차1. 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차이2. 데몬(Daemon)3. 서비스(Service)아파치 서버란 무엇인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은 HTTP 웹 서버인 Apache를 만들었습니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 캐시: 정의와 캐싱이 사용되는 모든 분야

    현대의 디지털 환경에서 ‘캐시’는 성능 최적화와 빠른 데이터 접근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간단히 말해, 캐시는 자주 사용하거나 앞으로 필요할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두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나 네트워크 시스템은 데이터를 반복해서 원본 저장소에서 불러오는 대신, 훨씬 빠른 저장소에서 바로 읽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캐싱은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 네트워크 장비, 심지어 하드웨어…

  • 국내은행 SWIFT CODE 및 증권사 SWIFT CODE(8~11자리)

    ‘SWIFT CODE‘란 신속하고 정확한 해외 송금을 위해 만들어진 구체적인 코드를 뜻합니다. 영문과 숫자의 혼합으로 8자리~11자리로 이루어진 게 보통입니다. 국내 은행 및 증권사의 SWIFT CODE 1번과 2번 순차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첫 번째 국내은행 SWIFT CODE 표입니다. 한국은행부터 시작해서 기업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 등의 1금융권 메이저 은행과 케이뱅크 및 카카오 뱅크까지 국내은행 영문명도 함께 기재가 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