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10일 발생한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배경은?

실리콘 밸리 은행(Silicon Valley Bank, SVB)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실리콘밸리)를 거점으로 1983년 10월 17일 설립 된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큰 상업 은행이었습니다. 2023년 3월 10일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은 전 세계 경제에 악 영향을 끼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캐나다, 중국, 덴마크, 독일, 인도, 이스라엘, 스웨덴에 해외 지사가 있었으며, 스타트업 기업들의 주 거래 은행인 SVB가 파산한 배경과 직접적인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1.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배경

SVB는 거래하는 벤처 기업의 수는 2,500개 회사였던 정도로 미국에서 16번 번째 큰 은행이었습니다. SVB 파산은 미국 역사 중 2번째로 큰 은행 파산에 속합니다. 미국의 스타트업은 투자자로부터 다른 나라에 비해 막대한 자금을 조달 받을 수 있습니다. 큰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 기업은 SVB에 현금을 쌓아 두었습니다. SVB는 쌓이는 현금으로 수익을 내야 하는 구조였으며,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해 자금의 상당 금액을 미 국채에 투자했습니다. 2018년 SVB 자산 규모는 490억 달러였습니다. 2년 뒤 2020년 자산 규모는 1,02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늘어납니다. 본격적인 코로나(우한 폐렴) 이 시작된 2021년 제로 금리로 자산 규모가 1,892억 달러로 늘어납니다. 2022년 2,000억 달러를 넘길 정도로 SVB는 빠른 성장을 하게 됩니다.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Silicon Valley Bank

은행은 고객의 예금으로 대출을 통한 마진을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수익입니다. SVB의 문제는 예금 규모는 빠르게 늘었지만 대출을 받는 고객의 수가 적었으며, 다른 투자처가 필요했습니다. 채권 중 가장 안전한 우량 채권으로 평가 받는 미 국채(10~30년 장기채) 및 일부는 주택저당증권에 투자를 하게 됩니다. 문제는 헷지 없이 자산의 대부분을 투자를 한 것이었습니다. 주택저당증권 및 미 국채는 만기가 길며, 리스크가 적은 대신 이자 수익률이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2022년 중순부터 2023년 까지 이어진 FED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은 SVB에 큰 부담을 안겼습니다. 코로나 시기 0.25%였던 미국 금리는 2023년 3월 4.5%로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채권의 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가기 때문에 채권의 가격은 하락합니다. 인플레이션을 억누르기 위한 FED의 금리 인상 정책은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게도 타격이 생기게 됩니다. 스타트업 기업의 주식 가치는 하락했으며, 예전처럼 투자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 SVB에 예금한 예금을 인출하게 됩니다. 보통 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은 법적으로 8%입니다. 미 국채 가격이 하락한 상황에 지속적인 예금 인출로 현금이 부족해진 상황에 하락한 채권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2. SVB 뱅크런

대량의 채권을 헐 값에 매각하면서 20억 달러 규모의 손해를 보게 되며, 3월 9일 목요일 SVB의 모 회사 파이낸셜은 20억 달러의 유상증자를 발표 소식에 SVB 파이낸셜 그룹 주가는 60% 이상으로 하락했으며, SVB의 뱅크런이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3월 9일, 10일에 거쳐 발생한 뱅크런으로 10일 오전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은 유동성 부족과 지급불능을 이유로 SVB를 폐쇄하면서 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파산 관재인으로 임명합니다. 위기설이 발생한 지 36시간 만에 SVB가 빠르게 파산한 이유는 과거의 뱅크런과 다르게 스마트폰으로 예금을 빠르게 인출하면서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3. 블랙스완

실리콘밸리은행이 파산한 이번 사태는 예상하지 못한 블랙스완이 틀림 없습니다. 투자자 및 경제 전문가가 예측하기 힘든 사례라고 볼 수 있으며, 돌이켜 봤을 때만 원인과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보는 것이 더 맞는 상황입니다. 회색코뿔소로 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경제용어 블랙스완(Baack Swan)
A black swan is placed on a dollar note. An allusion to the Black Swan event. Financial crisis, economic collapse, stock market crash, rare international events.unexpected event.market moves.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재무상태표 활용 자산(첫번째)

    목차1.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배경2. SVB 뱅크런3. 블랙스완 ■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산 =부채+자본 이라는 공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기업이 창업을 하고 기업을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외부차입(부채)과 투자자(주주)의 투자(자본금)가 있습니다. 자산 = 부채+자본 ‘재무상태표’ 의 목적은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마련하여(부채+자본) ⓑ조달한 자금(자산)을 어떻게…

  • 한국판뉴딜정책 : 대한민국 대전환 10대과제 요약

    목차1.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배경2. SVB 뱅크런3. 블랙스완 ■ 한국뉴딜정책이란? 한국판뉴딜정책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과제 중 하나입니다. 미국의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이 1930년대 세계 경제 대공황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했던 정책처럼 코로나를 비롯한 현재 2021년의 경기 침체와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발전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0대 과제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3가지로 나뉘게…

  • 홈택스 부가세 신고서 조회 및 발급 받는 방법-전자신고결과조회 페이지 찾기

    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서 조회 및 원천세 신고서 조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홈택스를 검색합니다. 홈택스 메인 페이지로 접속했다면 공동·금융인증서 or 간편인증(네이버 인증서, 신한은행 등)이나 아이디 로그인으로 로그인을 먼저 진행해 줍니다. 목차1.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배경2. SVB 뱅크런3. 블랙스완1. 부가세 신고서 조회 경로 로그인을 했다면 [조회/발급] > [전자신고결과조회]를 클릭합니다. 부가가치세 및 원천세…

  • 사업보고서: DART의 11가지 항목

    목차1.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배경2. SVB 뱅크런3. 블랙스완▥ 사업보고서 – 항목 ‘사업보고서‘ 는 사업년도 결산 후 90일 이내, 분기보고서는 결산일 후 60일 이내, 반기 보고서는 결산일 후 45일 이내입니다.기업들은 사업 보고서와 반기 보고서, 분기 보고서를 정해진 기간 내에 공시를 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사업 보고서’ 는 Ⅰ. 회사의 개요, Ⅱ. 사업의 내용, Ⅲ. 재무에 관한…

  • 영국 전기차 전환 2030년 > 2035년으로 연기 발표

    영국이 내연차 판매 가능 시기를 2030년에서 2035년으로 연장했다. 20일 로이터에 따르면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기자 회견에서 영국 전기차 전환 시기를 늦출 것’을 발표했으며 관련 자동차 기업들은 반발했다. “우리는 전기차 전환 고삐를 늦출 것” “2035년까지 휘발유나 디젤차를 살 수 있고, 그 이후에도 중고로 내연차를 사고 팔 수 있을 것” “지구 구하다가 국민 파산…

  • 소비자 물가지수 보는법(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란? 일반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 및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한국 소비자 물가지수’ 및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등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을 확인 하셨을 겁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CPI를 인플레이션 측정 지수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