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패스키 생성
아마존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강력한 보안을 위해 다중 인증(MFA) 설정을 필수 사항으로 강제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TOTP 토큰, 인증 앱, 패스키 또는 보안 키 설정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중 AWS 패스키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유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인증 방식이기 때문에 AWS 패스키이기 때문입니다. OTP 입력보다 간편하고 빠르며,…
클라우드 컴퓨팅
아마존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강력한 보안을 위해 다중 인증(MFA) 설정을 필수 사항으로 강제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TOTP 토큰, 인증 앱, 패스키 또는 보안 키 설정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중 AWS 패스키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유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인증 방식이기 때문에 AWS 패스키이기 때문입니다. OTP 입력보다 간편하고 빠르며,…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직접 AWS LightSail로 이전해서 직접 관리하면서 업 중에 메모리 부족 현상을 볼 수 있는 단계가 멀지 않아 Swap Memory 설정의 필요성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LightSail Swap Memory 설정 용량은 4G로 결정했는데 이유는 SSD를 사용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HDD에 비해 스왑 메모리에 대한 접근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성능 저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HDD를 사용하는…
윈도우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경우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을 이용하게 되며, 가상화를 위한 하이퍼바이저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하이퍼바이저인 VMware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VMware는 결제 후 유료 사용이 가능하지만 설치해서 사용하게 될 프로그램은 VMware Workstation Player 제품으로 개인 사용자에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VMware 무료 버전입니다. 1. VMware 다운로드 VMware 홈페이지에서…
AWS의 EC2에 추가 스토리지가 필요한 경우 EBS 볼륨 추가를 진행하게 됩니다. EBSElastic Block Store는 AWS에서 제공되는 용량에 스토리지 용량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고 영구적인 데이터 또는 추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EBS는 원하는 크기 및 성능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할 때 삭제가 가능합니다. ✅ EBS 볼륨 추가 방법 1. EC2…
OpenStack(오픈스택)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하고, 정의하고, 활용하기 외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로써 비영리 단체인 오픈인프라스트럭처재단(OIF)(구:오픈스택 재단)에서 운영 중이며, 아파치 라이선스에서 배포됩니다. 2010년 오픈스택 재단은 AWS의 폐쇄성에 대항하는 오픈소스 laaS 오픈스택 프로젝트를 관리합니다. OpenStack 정의 OpenStack은 AWS, Oracle Cloud,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가상 머신 등의 리소스를 공급할…
AWS 리전(Region)이란 AWS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AWS의 서비스가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인(IDC) 장소입니다. 리전 안에 여러 개의 AWS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이 존재하는 방식입니다. ✅ AWS 리전(Region) 리전(Region)이 여러 곳에 나뉘어 존재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속도와 지진과 같은 큰 재해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 AWS 가용영역 리전 안에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은 개별 데이터 센터(IDC)로 구성되어 있으며, 같은…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컨퓨팅 서비스 EC2 인스턴스는 Elastic Compute Cloud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탄적적인 뜻을 가진 Elastic의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AWS 서비스에서 탄력적으로 운영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Instance는 가상 머신(Virutal Machine)을 뜻 하며, 일반적인 사례, 경우의 영어 뜻과 다르게 IT 인프라에서는 실행중인 임의의 프로세스, 클래스에 생성된 오브젝트를…
오라클 클라우드 VM 인스턴스에서 고정 IP 설정까지 진행했지만 ping을 입력해도 요청 시간 만료로 timeout 오류가 되면서 응답이 없는 오류가 계속 발생했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 해결하기 방화벽 설정에서 VCN 설정을 진행해 줘야 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네트워킹] >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접속합니다. ▼ 생성했던 VCN의…
오라클 클라우드 고정 IP(공용 IP)는 생성한 VM 인스턴스에 연결해서 사용하기 위해 새로 생성이 필요합니다. 고정 IP(공인 IP)를 오라클 클라우드에서는 ‘공용 IP’로 표기하고 있으니 참고해서 설정을 하면 되겠습니다. ✅ 오라클 클라우드 고정 IP(공용 IP) 생성 고정 IP는 [설정] > [네트워킹] > [예약된 공용 IP]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예약된 공용 IP 주소] 클릭 후…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