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uniq 명령어
리눅스 uniq 명령어는 “unique”의 약자이며, 텍스트 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하나의 행만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복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몇 번의 반복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uniq 명령어 기본 사용법 INPUT 파일은 대상 파일로써 표준 입력에서 읽은 후 기본 출력을 진행합니다. OUTPUT 파일은 리디렉션 파일을 의미합니다. ✅…
리눅스 uniq 명령어는 “unique”의 약자이며, 텍스트 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하나의 행만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복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몇 번의 반복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uniq 명령어 기본 사용법 INPUT 파일은 대상 파일로써 표준 입력에서 읽은 후 기본 출력을 진행합니다. OUTPUT 파일은 리디렉션 파일을 의미합니다. ✅…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 리눅스…
OpenStack(오픈스택)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하고, 정의하고, 활용하기 외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로써 비영리 단체인 오픈인프라스트럭처재단(OIF)(구:오픈스택 재단)에서 운영 중이며, 아파치 라이선스에서 배포됩니다. 2010년 오픈스택 재단은 AWS의 폐쇄성에 대항하는 오픈소스 laaS 오픈스택 프로젝트를 관리합니다. OpenStack 정의 OpenStack은 AWS, Oracle Cloud,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가상 머신 등의 리소스를 공급할…
✅ HTTP 403 에러 HTTP 403 에러는 지정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접근할 권한이 없는 경우 403 Forbidden 에러가 발생합니다. ✅ 403 Forbidden 원인과 해결 1. Selinux 설정 끄기 보통 OS 및 APM을 새로 설치한 경우 Selinux가 켜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Selinux 설정을 변경하거나 Off로 변경합니다. 2. httpd.conf error_log 확인 시 권한 httpd.conf 파일에 아파치…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발생하는 HTTP 503 에러(Service Unavailable)의 원인은 서버 측에서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서버 과부하, 서버 구성 오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 HTTP 503 에러 로그 확인하기 먼저 503 error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error_log를 확인합니다. ✅ 다양한 HTTP 503 에러 로그 원인 1. httpd 미구동 데몬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 볼 수…
AWS 리전(Region)이란 AWS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AWS의 서비스가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인(IDC) 장소입니다. 리전 안에 여러 개의 AWS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이 존재하는 방식입니다. ✅ AWS 리전(Region) 리전(Region)이 여러 곳에 나뉘어 존재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속도와 지진과 같은 큰 재해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 AWS 가용영역 리전 안에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은 개별 데이터 센터(IDC)로 구성되어 있으며, 같은…
HTTP 상태 코드 중 하나인 HTTP 404 에러 페이지는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도메인의 URL이 삭제된 경우가 가장 흔한 경우이며, 메인 페이지 및 모든 페이지에서 404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문제를 어떤 경우가 있는지 확인 해 보겠습니다. ✅ HTTP 404 에러 원인 Apache Web Server에서 404 페이지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HTTP 상태 코드는 운영 중인 서버의 오류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HTTP는 HTML,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동영상, JavaScript 등의 다양한 파일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 HTTP…
HTTP 500 에러는 이용 중인 컴퓨터, 인터넷의 문제가 아닌 내부 서버 오류입니다. ✅ HTTP 500 에러 HTTP 500 error로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다른 사이트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주로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htaccess 파일이 변경된 경우일 수 있으며, 서버의 DB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합니다. 1. .htaccess 파일 오류 워드프레스의 경우 초기 세팅 파일이나…
✅ 리눅스 etc 디렉토리란? 리눅스 /etc 디렉토리는 부팅 및 셧다운 시 필요한 파일과 시스템 설정에 관련된 파일 및 일부 로그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입니다. “etc”는 기타, 등등을 뜻 하는 etcetera의 줄임말입니다. ✅ /etc/* 주요 파일&폴더 etc 디렉토리에는 기타 등등으로 볼 수 없는 중요한 파일들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etc 디렉토리의 일부 파일…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