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echeap Domains Vs Google Domains 포함 5개 도메인 등록 기관 비교

워드프레스로 구축된 웹 사이트를 포함해서 사이트를 운영할 경우 도메인은 필수 요소입니다.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업체 Namecheap Domains과 Google Domains을 포함한 도메인 업체에 대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알고 있을 만한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 목록

간단하게 추려 낸 도메인 등록 기관의 목록입니다. 가격과 [무료 도메인 프라이버시]를 제공 여부를 간단하게 표로 작성했습니다.

등록 기관첫 해 시작 할인1년 갱신 비용무료 도메인 프라이버시
NameCheap$6.98$14.58
Google Domains$12$12
domain.com$9.99$19.99
Hover$14.99$16.99
GoDaddy$4.60$20.95

도메인 등록 업체 선택 조건

도메인을 등록할 때 고려할 사항은 안정성입니다.

1. 안정성

도메인 등록 기관의 리셀러 업체로부터 도메인을 구매한 경우 리셀러 업체가 폐업한 경우 무책임하게 사후 처리를 하지 않을 확률은 90%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가 99.9% 였던 것을 오랜 기간 동안 확인한 결과입니다.

2. 경제성

첫 해 할인 이후 매년 갱신되는 비용을 체크하여 경제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3. 편의성(인터페이스 기능 등)

도메인을 관리하는데 불편함이 있다면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웹 사이트나 서버가 아닌 도메인을 관리하는데 지식은 필요하지만 기술이 필요해서는 안 됩니다. 편리한 인터페이스 기능으로 시간이 낭비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4. 도메인 관리 및 지원

구매한 도메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 이용 중에 발생한 문제 및 문의 사항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능력이 있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5. 추가 기능: 도메인 프라이버시 등

도메인 프라이버시로 도메인에 노출되는 전화 번호 등의 기능을 무료로 사용 가능한지 여부 및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개인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지 등의 추가 기능을 고려해 봐야 합니다.

도메인(domain)

Namecheap Domains Vs Google Domains

네임칩과 구글 도메인을 우선 비교 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추가 비용 없이 ‘도메인 프라이버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점과 최소한 갖춰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외 다른 업체와 비교 했을 때 몇 가지 추가적인 장점에서 비롯된 인지도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등의 인터넷 관련 인지도를 쌓은 구글은 2015년 도메인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한국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구매가 어렵습니다.(2023년 기준)

도메인 등록 기관 Google Domains 2023년 한국 서비스 사용 불가

네임칩은 사용하기 편리하며 2000년부터 사업을 시작한 오래된 기업입니다.

도메인 등록 기관 Namecheap Domains-메인 대시보드 화면

도메인 검색 기능에서

Namecheap Domains 검색 기능

도메인 경매 기능과 기존에 있는 도메인에 대한 구매 의향을 물어 볼 수 있는 기능까지 도메인 등록 업체로써 가져야 할 모든 기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프라이버시 및 글루 레코드 기능 역시 주목할 만합니다.

한국에서 알려지지 않은 도메인 등록 업체를 피해야 하는 이유

한국에 진출한 고대디의 경우 도메인 기관 이전을 하는데 잠금 해제를 숨겨진 페이지에서 여러 번 해야 겨우 된다는 글을 구글 검색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의 규모 있는 회사도 포함되어 있을 겁니다.

한국에서 알려지지 않은 도메인 업체 및 일부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는 도메인 기관 이전 시 신분증 및 동의서와 같은 서류를 받아 기관 이전 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사례가 10년 넘게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도메인의 등록자를 입증할 수 없는 일반적인 경우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요구를 당당하게 합니다. 아이디 분실이나 도메인 사용자의 사망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사유가 아니지만 노예 계약처럼 돈을 조금이라도 받아 가려는 심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지요. 가격이 저렴하다고 무조건 해당 업체를 써야 하는 것은 이후에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Similar Posts

  • [SEO]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2가지 설정 중 SEO에 더 유리한 것은?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SEO에 어떤 방식이 유리한지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Subdomain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인터넷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www.domain.com에서 shop.domain.com이나 blog.domain.com과 같이 서브도메인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확인한 적이 있을 겁니다. shop이나 blog와 같은 Subdomain 외에 www.domain.com/shop과 www.domain.com/blog와 같이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 or 하위 폴더)로 주제를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두 가지 설정을…

  • HSTS 설정방법

    HSTS는 기존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면서 보안을 한층 강화한 방식입니다. 목차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 목록도메인 등록 업체 선택 조건1. 안정성2. 경제성3. 편의성(인터페이스 기능 등)4. 도메인 관리 및 지원5. 추가 기능: 도메인 프라이버시 등Namecheap Domains Vs Google Domains한국에서 알려지지 않은 도메인 등록 업체를 피해야 하는 이유 1. HSTS 설정방법 HSTS 설정방법은 리눅스 서버에서 설정하는 방법과…

  •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란 무엇인가?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 Native AD)는 해당 웹사이트에 맞춰 고유한 방식으로 기획 및 제작된 광고를 말 합니다. 기존의 광고는 이용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목차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 목록도메인 등록 업체 선택 조건1. 안정성2. 경제성3. 편의성(인터페이스 기능 등)4. 도메인 관리 및 지원5. 추가 기능: 도메인 프라이버시 등Namecheap Domains Vs Google Domains한국에서 알려지지 않은…

  • [Google] 크롬 홈 버튼 설정하는 방법

    구글 검색을 사용하기 위해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데 크롬 홈 버튼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아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홈 버튼 설정 시 우측 상단에 Gmail과 유튜브 및 구글 드라이브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한번만 클릭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홈 버튼 설정을 선호합니다. 개인적으로 다크 모드를 좋아하기 때문에 크롬 화면은 기본 다크 모드로 설정되어…

  • [WP] 워드프레스 페이지 빌더 vs 블록 에디터 5가지 차이

    워드프레스 구텐베르크(Gutenberg) 블록은 블록 에디터입니다. 공식 블록 에디터가 출시된 이후 워드프레스 페이지 빌더(Page Builder)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흐르지 않을까? 라는 의문을 워드프레스를 이용한 웹사이트를 운영한다면 누구나 가졌을 법한 의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페이지 빌더를 버리고 블록 데이터(Block Editor)로 이동하게 될까요? 이 글에서는 여기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각각의 차이점과 앞으로의 미래를 개인적인 의견으로 예측해 보겠습니다….

  • 구글 PDF 번역 &이미지 번역 2가지 기능

    Google 번역은 일반적인 기계 번역 외에도 PDF 파일 번역과 이미지 내의 글자를 렌즈 번역할 수 있습니다. 구글 PDF 번역이 설치해야 하는 다른 번역 프로그램이나 웹 사이트보다 더 나은 이유는 설치의 번거로움이나 번역 파일의 크기 문제로 인한 오류가 상대적으로 없다는 것입니다. 구글의 PDF 번역과 이미지 번역에 대해 각각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