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과 BPS의 정의: 주가순자산비율과 주당순자산

PBR과 BPS의 정의‘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BR: 주가순자산 비율

PBR과 BPS의 정의 Google
PBR‘이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rice to Book Ratio : 주가 순자산 비율) PER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 지표입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 = 현재주가 ÷ 주당 순자산(BPS)

PBR (주가 순자산 비율)은 현재주가 ÷ BPS(주당 순자산) 풀어서 현재의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써 현재의 주가가 낮거나 높은지, 그리고 적당하게 측정 되었는지 즉, 주식의 가치를 알아보는 방법 중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서 주당 순자산[BPS]은 기업을 청산했을 때 주식 1주 당의 가치입니다. 청산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현금,부동산 등등) 그리고 기업의 부채를 정리했을 때의 1주 당 가치입니다. (BPS에 대해서는 PBR 이후 더 자세히 설명 드릴 예정입니다.)
네이버나 증권사의 앱 또는 다른 비슷한 방식으로 투자를 알아보려는 회사가 있을 경우 서비스 페이지 내에서 PBR을 보게 될 것입니다.

PBR이 0.5나 1 또는 3이나 8 등등 다양한 값을 보게 될 것입니다. PBR은 해당 회사를 현재 주가 대비 청산 했을 경우 1이라면 모든 주주가 원금 그대로 돌려 받을 수 있고, 0.5인 경우는 주식 가액이 순자산의 절반이고, 순자산은 주식가액의 2배라는 뜻으로, 주주들은 투자금의 두 배를 받을 수 있습니다.

더 쉽게 결론 내리면 회사를 청산했을 때 PBR 1이면 가진 주식 금액의 100% 금액을 돌려 받고 0.5이면 100% 돌려 받고도 나머지 100% 만큼의 자본이 남게 됩니다.  당연히 1.5 일 경우에는 회사가 청산되었을 때 현재 주식 금액의 50%만 돌려 받게 되는 수치입니다. 

2. BPS: 주당순자산 가치

PBR과 BPS의 정의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는 자산을 늘리기 위해서 입니다. 투자를 해서 무조건 돈을 버는 것 또한 아닙니다.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낼 수도 있지만 그 만큼의 손해를 감수하고 투자하는 것 중 하나가 주식 투자인 것입니다.

싸게 사서 비쌀 때 팔려고 하려면 기준을 정해야 하며, 여러가지 기준 중에서도 이미 언급한 PBR이 있으며,
이번에 BPS의 정의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BPS(주당 순자산) = 순자산 ÷ 발행주식 수

BPS란 (Book-alue Per Share) 주당 순 자산 가치를 뜻합니다. 청산 가치라고도 이야기 하며, 기업이 가진 모든 자산과 부채를 정리한 다음 남게 되는 순자산(총 자산 – 총 부채)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누었을 때 주식 한 주의 가치를 뜻합니다.

PBR때와 동일하게 네이버의 증권 페이지 또는 증권사 앱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만일 내가 현재 구매하려는 주식의 현재 가격이 만원인데 BPS가 2만원이라고 한다면, 만원이 더 싸게 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물론 PBR이나 PBS 말고도 기업 그리고 업종의 성장성 등 고려해야 할 부분들은 많이 있습니다.
‘PBR과 BPS’는 절대적인 평가가 아닌 상대 평가로 봐야 합니다.

하지만 모멘텀 투자가 아닌 가치 투자를 생각한다면 제일 첫 번째로 봐야 할 것들은 PBR과 BPS 기준으로 종목을 고르는 것이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2020년 7월 현재) 구글, apple, 아마존, 네이버, 카카오, 다음 등과 같은 IT주는 ‘BPS’ 와 ‘PBR’ 이 이미 높은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오르고 있어서 항상 정답이 될 수는 없습니다.


PBR과 BPS의 정의 3


PBRBPS의 정의’ 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기준은 종목에 따라 여러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동일한 업종의 회사끼리 비교도 해보고 여러가지를 보아야 합니다.

Roe(Return On Equity)
ROA VS ROE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손익분기점이란

    목차1. PBR: 주가순자산 비율2. BPS: 주당순자산 가치1. 손익분기점 개요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 BEP)이란 특정 기간의 매출액이 총비용과 일치하는 지점입니다. 경제학 및 원가회계 분야에서 총 비용과 총 소득이 동등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정의 내리자면 지불되어야 하는 모든 비용이 지불된 상태이며, 특정 이익 및 손실이 없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경기침체 및 경쟁 업체 등 회사 경영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 이자소득세 종류: 일반과세, 세금우대, 비과세

    ‘이자소득세’란?  말 그대로 이자소득에 대해 붙는 세금입니다. 이자 소득세는 보통 3 종류로 나뉘어 집니다. 이자 소득세 일반 과세 세금우대 과세 비과세 세율 15.4% 1.4% 0% 세율 상세 이자 소득세 14% 주민세 1.4% 농어촌특별세 1.4% – 목차1. PBR: 주가순자산 비율2. BPS: 주당순자산 가치1. 일반과세 은행에서 15.4%의 세율(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를 원천징수 하며, 나머지…

  • 인플레이션 종류

    인플레이션 종류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경제 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 화폐공급 증가 인플레이션, 비용상승(Cost-push) 인플레이션, 공급 충격 인플레이션, 수요 견인(demand-pull) 인플레이션, 독과점 및 가격 통제 인플레이션, 경기부양 재정정책 인플레이션, 환율 상승 인플레이션 등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종류와 원인에 대해 하나 씩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경제 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입니다. 목차1. PBR: 주가순자산…

  • 일본 버블경제

    일본 버블경제(Japan’s Bubble Economy)란 1986년부터 1991년까지 부동산과 주식 시장 가격이 크게 부풀려진 일본의 경제버블을 뜻 합니다. 일본의 주식 및 부동산 거품은 1989년 가을부터 붕괴되었습니다. 주식 가치는 1989년 말부터 1992년 8월까지 60% 하락했고, 토지 가치는 1990년대 내내 하락하여 2001년까지 무려 70%나 하락했습니다. 목차1. PBR: 주가순자산 비율2. BPS: 주당순자산 가치 플라자 합의[Plaza Accord] 오일 쇼크…

  • 이재명 테마주(인맥주) 정리: 대장주 5종목과 일반

    2021년 4월 16일 오늘 2022년 대선에 대한 큰 뉴스 거리를 아직 찾아보긴 어렵습니다. 이전에 여론 조사로 이재명을 포함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관련주들이 한번 들썩였습니다. 이재명 테마주 정리(대장주)를 오늘 해 보겠습니다. 목차1. PBR: 주가순자산 비율2. BPS: 주당순자산 가치 1. 이재명 테마주: 대장주 리스트 5종목 에이텍, 오리엔트정공과 같은…

  • 유보율 및 적정유보율

    목차1. PBR: 주가순자산 비율2. BPS: 주당순자산 가치1. 유보율((Reserve ration) 유보율은 기업의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익잉여금: 자기주식처분이익,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본잉여금: 차기이월이익잉여금,임의적립금,이익준비금 DART 전자공시 사이트의 재무상태표에서의 잉여금 항목입니다.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더하여 자본금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유보율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유보율은 네이버 금융이나 증권사 HTS에서 기업 정보의 재무 사항 등을 찾아보면 쉽게 확인할 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