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과 EPS의 정의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PER EPS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과 EPS의 정의 - PER이란
PER이란?  ‘PER’ 은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을 의미하며, 현재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BR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투자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주가 ÷ 주당순이익(EPS) 

보통 PER은 낮을 수록 좋습니다.

이유는 PER (주가수익비율)은 쉽게 말해서 내가 투자한 금액을 몇 년 안에 회수할 수 있는지 나타낸 지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10만원짜리 주식을 1주 보유하고 주당순이익이 5만원이라고 할 경우,

PER 2 = 10만원 ÷ 5만원

PER 2가 나오며 원금 회수까지는 2년이 걸린다고 할 수 있으며 적정 주가는 15만원이 되겠지요. 그런데 회사가 1만원의 배당을 한다고 할 경우 주당순이익 5만원 중 1만원을 배당한 것이 되며, 나머지 4만원은 회사의 운영자금으로 회사에 남게 되며, 이 주식의 적정 주가는 14만원이 됩니다.

PER‘ 은 현재 주가에 과거 1년 전의 주당순이익을 계산하여 나타낸 결과로 미래 예측에는 완벽하지 않으며, PER이 낮기 때문에 저평가 된 주식이라고 보는 것 또한 문제입니다. 

2020년 9월 기준 금융 업종의 PER은  대략 7배 이며, 통신주의 PER도 대략 9배 이지만 이전 몇 년 간 주가의 변동이 크게 상승한 부분은 크게 없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모멘턴이 발생하여 오르는 경우 등 여러가지 변수는 있지만) 그만큼의 기대가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장하는 IT 쪽의 경우 PER이 60, 100처럼 높게 평가되어 있어도 계속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미래 가치가 크기 때문이며, PER은 성장주에 투자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적정 PER은 업종 별로 보지 않을 경우에 10배를 보통 적정 PER로 기준을 정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

EPS란?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을 의미합니다.

PER-EPS-정의
EPS(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수

EPS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누면 회사가 1년 동안 1주 당 얼마의 이익을 벌었는지를 나타낸 지표입니다.

여기서 당기순이익은 간단히 회사 매출에서 여러가지 비용을(관리비,영업 외 이익,세금 등등)  뺀 후의 회사가 순수하게 1년 동안 벌어 들인 금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PER과 EPS의 정의
EPS 1만 5천 = 1억 5천 ÷ 1만주

회사가 벌어 들인 수익이 1년 동안 1억 5천만원인 경우 1주 당 수익은 1만 5천 원이 됩니다.
‘EPS’ 는 회계 규정을 위반하지 않고 서도 조작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가치 투자자인 ‘벤저민 그레이엄‘이 얘기 했습니다. 그렇다는 건 PER  역시 조작될 수 있다는 걸 뜻하죠.

싸게 사서 비쌀 때 팔기 위해서는 설명 드린 여러 투자지표를 활용해서 (그것이 가치,성장주,모멘텀 어떤 것이든 간에)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누구에게나 투자의 원칙이 있습니다. 최소한 PBR과 PER 그리고 ROE를 가장 기본적인  주식 투자의 지표로 삼아 재무제표를 보는 것을 투자의 기본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PER EPS관계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산업재산권 정의 및 산업재산권 종류 4가지

    . 지식재산권(Intelligent Property Right)은 ⓐ산업재산권과 ⓑ저작권 ⓒ신지식재산권 3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이중 산업재산권(영어: industrial property)이란 법률에 의하여 등록하고 일정기간 독점적, 배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산업적 이용 가치가 있는 권리입니다. 공업소유권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목차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 산업재산권 종류 크게 4가지 종류로 분류됩니다. 1. 특허권(Patents) 특허권은 새로운 발명품과 기술에 대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특정한 지식이나…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 4가지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받는 방법 4가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1. 소득금액증명원이란? ‘근로 소득’을 제외한 다른 소득이 있는 개인의 전체 소득 금액에 대한 확인 서류입니다. 2.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 2.1 정부24 비회원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후 [소득금액증명]을 검색 후 신청을 눌러 주세요. ▼ [발급]을 누른 후 [비회원 신청하기]를…

  • 거품경제: 정의와 유래

    거품경제 또는 버블경제(영어: Economy bubble)는 부동산, 주식, 부채, 또는 이에 준하는 자산 가격의 급속한 상승으로 인한 경제를 뜻합니다. 자산에 대한 거품이 발생하는 동안 자산의 내재 가치를 크게 초과하는 가격에서 특정 자산이 거래됩니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경제 거품에 대해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후 거품은 버블 붕괴로 이어진 후에 사람들은 버블이었단 사실을 인식하게 됩니다. 목차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2….

  • 품절주 특징 및 조건

    품절주란 유동 주식 수가 적은 주식을 말합니다. 품절(品切)의 사전적 의미는 물건이 다 팔리고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영어 뜻으로는 sold out입니다. 품절주는 보통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그럼 특징과 조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서 특징은 필수가 아니며, 조건은 필수라는 사실을 생각하며 보면 좋겠습니다. 특징이 조건이 될 수도 있지만 필수와 필수가 아닌 경우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조건이 필수가…

  • CD금리란? 양도성예금증서의 정의

    CD금리에서 CD는 ‘Negotiable Certificate of Deposit‘의 약자이며, 우리 말로 ‘양도성예금증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격증, 증서의 뜻을 가진 Certificate와 예금이라는 뜻을 가진 Deposit, ‘양도할 수 있는’이란 뜻을 가진 Negotiable 에서 Negotiable이 빠진 CD가 약자가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 양도성예금증서 뜻과 정의 양도성예금증서(CD)는 “양도 가능한 예금 증서”를…

  • 소비자 물가지수 보는법(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란? 일반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 및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한국 소비자 물가지수’ 및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등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을 확인 하셨을 겁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CPI를 인플레이션 측정 지수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