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과 EPS의 정의

PER EPS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과 EPS의 정의 - PER이란
PER이란?  ‘PER’ 은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을 의미하며, 현재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BR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투자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주가 ÷ 주당순이익(EPS) 

보통 PER은 낮을 수록 좋습니다.

이유는 PER (주가수익비율)은 쉽게 말해서 내가 투자한 금액을 몇 년 안에 회수할 수 있는지 나타낸 지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10만원짜리 주식을 1주 보유하고 주당순이익이 5만원이라고 할 경우,

PER 2 = 10만원 ÷ 5만원

PER 2가 나오며 원금 회수까지는 2년이 걸린다고 할 수 있으며 적정 주가는 15만원이 되겠지요. 그런데 회사가 1만원의 배당을 한다고 할 경우 주당순이익 5만원 중 1만원을 배당한 것이 되며, 나머지 4만원은 회사의 운영자금으로 회사에 남게 되며, 이 주식의 적정 주가는 14만원이 됩니다.

PER‘ 은 현재 주가에 과거 1년 전의 주당순이익을 계산하여 나타낸 결과로 미래 예측에는 완벽하지 않으며, PER이 낮기 때문에 저평가 된 주식이라고 보는 것 또한 문제입니다. 

2020년 9월 기준 금융 업종의 PER은  대략 7배 이며, 통신주의 PER도 대략 9배 이지만 이전 몇 년 간 주가의 변동이 크게 상승한 부분은 크게 없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모멘턴이 발생하여 오르는 경우 등 여러가지 변수는 있지만) 그만큼의 기대가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장하는 IT 쪽의 경우 PER이 60, 100처럼 높게 평가되어 있어도 계속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미래 가치가 크기 때문이며, PER은 성장주에 투자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적정 PER은 업종 별로 보지 않을 경우에 10배를 보통 적정 PER로 기준을 정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

EPS란?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을 의미합니다.

PER-EPS-정의
EPS(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수

EPS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누면 회사가 1년 동안 1주 당 얼마의 이익을 벌었는지를 나타낸 지표입니다.

여기서 당기순이익은 간단히 회사 매출에서 여러가지 비용을(관리비,영업 외 이익,세금 등등)  뺀 후의 회사가 순수하게 1년 동안 벌어 들인 금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PER과 EPS의 정의
EPS 1만 5천 = 1억 5천 ÷ 1만주

회사가 벌어 들인 수익이 1년 동안 1억 5천만원인 경우 1주 당 수익은 1만 5천 원이 됩니다.
‘EPS’ 는 회계 규정을 위반하지 않고 서도 조작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가치 투자자인 ‘벤저민 그레이엄‘이 얘기 했습니다. 그렇다는 건 PER  역시 조작될 수 있다는 걸 뜻하죠.

싸게 사서 비쌀 때 팔기 위해서는 설명 드린 여러 투자지표를 활용해서 (그것이 가치,성장주,모멘텀 어떤 것이든 간에)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누구에게나 투자의 원칙이 있습니다. 최소한 PBR과 PER 그리고 ROE를 가장 기본적인  주식 투자의 지표로 삼아 재무제표를 보는 것을 투자의 기본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PER EPS관계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경제 용어: 주식 섹터 뜻과 경제학의 4가지 Sector

    경제 뉴스 및 신문, 구글링을 하다 보면 섹터(Sector)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섹터는 한국어로 ⓐ부문, ⓑ분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묶을 때 사용하는 단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주식 섹터에 영어 단어 뜻은 알더라도 정확한 의미에 대해 투자자라면 궁금해 본 적이 간혹 있었을 것입니다. ※ 부문: 어떤 사물·현상을 여럿으로…

  • 뱅크런 사례와 예금자 보호법:예금보호 5천만원

    뱅크런(Bank Run)이란 은행에 보관한 예금을 돌려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 예금자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인출하는 대규모의 예금 인출 상황을 말합니다. 주식이나 펀드 등의 여러가지 위험으로 인한 파산 위험이 있는 은행에서 뱅크런이 발생하게 됩니다. 뱅큰런은 경제 상황의 악화나 최악의 경우 경제공황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목차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 1. 뱅크런 사례 1.1 부산저축은행…

  • 원가회계란?

    원가회계(cost accounting)는 제품의 정확한 원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생성된 원가 정보는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에서 제품 원가 정보로 사용됩니다. 목차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1. 원가회계의 목적 원가관리(cost control)는 표준 원가를 설정하고 실제 원가와 표준 원가를 일치시켜 경영상의 낭비를 제거라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능률을 발견해서 제거하여 원가 절감을 할 수 있습니다. 세분화해서 5가지 목적으로…

  • 인플레이션 세금과 시뇨리지

    ‘인플레이션 세금‘이란 공식이 성립하는 이유와 ‘시뇨리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목차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2. EPS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 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 현대 사회 ‘인플레이션 세금 공식’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조 화페(금화,은화 등)의 시뇨리지 역사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 ‘시뇨리지Seigniorage‘는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를 시뇨르Seigneur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봉건 시대 국왕과 영주는 조폐소에서…

  • 2차 전지 관련주: 삼성 SDI 개요

    삼성 SDI(Samsung Display Interface)는 한국의 IT 기업이며 삼성그룹의 전자 계열사입니다. 브라운관, PDP, OLED 등 디스플레이 제품이 주력이었으나 사업 영역을 넓혀 2000년 리튬이온 위주의 2차 전지 사업에도 진출하였습니다. 1970년 1월 20일 삼성-NEC 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1979년 1월 29일 기업공개를 실시하여 1979년 2월 27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또한 1999년 11월 29일 디지털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거시 경제학에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를 말 합니다. ‘Stagflation’ 용어를 보면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영국의 보수당 정치친 이언 맥클레오드에 기인합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동시에 높안던 시기 중 1965년 의회 연설에서 이 단어를 사용 했습니다. GDP 하락과 수요(Demand)의 하락이 있지만 물가 상승과 실업률(unemployment)이 오르는 최악의 경제 상황이라고 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