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don't want to live a life with only voices.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 장치 파일(Device File) | /dev 디렉토리

리눅스는 모든 것을 파일로 관리합니다. 리눅스에는 장치 파일(Device File)은 여러 프로그램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파일입니다.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필수 요구 사항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이 마우스 장치 파일을 참조해서 마우스의 조작을 하게 하거나 프린트의 출력 등을 담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주로 스토리지를 마운트 하는데 많이 사용된다고 할…

라우터 및 스위치-게이트웨이 설정

라우터란? | 라우터 역할과 게이트웨이

라우터(Router)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인 인터넷을 연결해 주는 장치로써 내부의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을 스위치가 담당하게 되고 네트워크 계층(3계층)을 Router가 담당하게 됩니다.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것이 라우팅이며, 라우팅을 위해 Router가 필요합니다. ✅ 라우터의 기본 기능 ✅ 라우터(Router)와 게이트웨이(GateWay) Router가 네트워크를 분할 해 줍니다. 191.168.1.0/24 네트워크에 속하는 192.168.1.1의 컴퓨터가 우측의 192.168.2.0/24에…

윈도우 게이트웨이 및 서브넷 마스크 등의 정보 확인-윈도우 연결 세부 정보

윈도우 게이트웨이 확인 방법

사용 중인 윈도우 PC에서 게이트웨이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크게 2가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게이트웨이 확인은 CMD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과 제어판에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CMD ipconfig 명령어로 윈도우 게이트웨이 확인 첫 번째 방법은 CMD 창에서 ipconfig 명령어로 게이트웨이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CMD를 윈도우 창에서 입력합니다. CMD 명령어 창에서 ipconfig’를 입력하면 기본…

일반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 클레스

[OSI 네트워크 계층] IP 주소 클래스 |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

IPv4 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읽기 쉽게 10진수로 표기됩니다. 4개의 옥텟으로 이루어진 IP 주소 클래스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뉘게 됩니다. ✅ IP 주소 클래스 분류 클래스는 A~E 클레스까지 분류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 이름 분류 A 클래스 대규모 네트워크 주소 B 클래스 중형 네트워크 주소 C 클래스 소규모 네트워크 주소 D 클래스 멀티캐스트(MultiCast)…

OSI 네트워크 계층

OSI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 IP 주소(192.xxx)

OSI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계층입니다.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 데이터 전송은 가능하지만 인터넷이나 외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라우터(Router)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가정용 공유기로…

MAC 주소 랜카드 번호 및 일련번호

MAC 주소와 프레임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MAC address)는 OSI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해 컴퓨터의 랜 카드에 할당되어 있는 주소이며, 제조할 때 할당된 주소로 ‘물리 주소’로도 부르고 있습니다. MAC 주소 맥 주소는 48비트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에 24비트는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이며, 뒤에 24비트는 제조사가 랜 카드에 붙이는 일련번호입니다. 총 48비트의 맥 주소는…

이더넷 허브(ethernet hub)

[네트워크] 리피터&허브(물리계층 장비)

케이블을 포함한 리피터(Repeater), 허브(HUB)는 네브워크 1계층인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 리피터(Repeater) Repeater는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입니다. 멀리 있는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했으며, HUB와 같은 장비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 허브(HUB) HUB는 리피터 허브라고도 부르며, Repeater가 1:1 통신이었다면 HUB는 여러 개의 포트를 가지고…

OSI 7계층 물리계층

[네트워크]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 랜 카드 |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OSI 계층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OSI 물리 계층의 역할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로 나뉘게 됩니다. ✅ 물리 계층: ‘전기 신호’ 변환 과정 물리 계층에서 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OSI계층 캡슐화

네트워크 캡슐화 및 역캡슐화

OSI 계층의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 과정에서 데이터는 OSI 계층의 상위에서 하위로 데이터가 보내지게 되며, 데이터를 상위 > 하위, 하위 > 상위로 보내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캡슐화와 역캡슐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헤더라는 정보를 붙여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하는데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을 캡슐화(encapsulation)라고 하며,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 헤더를 하나 씩 제거하면서 받게 되는…

회사에서의 네트워크(랜) 구성

[데이터 링크 계층]이더넷(Ethernet)과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입니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Ethernet)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인 이더넷(Ethernet)은 일반적으로 LAN, MAN, WAN에서 활용되는 표준 기술 규격 중 하나입니다. Ethernet은 빛의 매질로 여겨진 에테르(ether)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Ethernet은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유/무선 통신장비인…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