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 명령어

1. rm 명령어

rm 명령어


rm 명령어‘ 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rm 명령어’ 는 심볼릭 링크는 삭제하지만 링크의 대상 파일은 삭제하지 않는다. ls 명령어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rm(remove)
명령어rm –remove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 rm -i–interactive 기존 파일을 삭제하기 전에 물어본다. inter:매장하다.    active:유효한,능동의
~]# rm -r–recursive: 재귀 재귀적으로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 하위 디렉토리 포함 삭제이며 보통 디렉토리 삭제 시 같이 사용하는 옵션이다.
~]# rm -f–force:힘,정신적힘 존재하지 않는 파일은 확인 메시지 없이 삭제하라는 옵션
~]# rm -v–verbose:말수가 많은  삭제가 완료 되었다는 메시지를 보여주는 옵션이다.

2. rm 명령어 – root 삭제방지

호스팅 업무를 하다 보면 누군가 지우지 말아야 할 파일을 지우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백업 파일을 확인하여
대부분의 복구가 가능하다. 하지만 ‘/’ 디렉토리를 지우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스냅샷이 있어 복구 하더라도 번거롭다.

### rm으로 root 삭제 방지 ### preserve:보존하다
~]# vi /root/.bashrc
# .bashrc

# User specific aliases and functions

alias rm='rm -i --preserve-root'
alias cp='cp -i'
alias mv='mv -i'

# Source global definitions
if [ -f /etc/bashrc ]; then
        . /etc/bashrc
fi
preserve-root 옵션을 사용하면 / 루트 디렉토리가 삭제되지 않는다. 
~]# rm -f /
rm: it is dangerous to operate recursively on ‘/’
rm: use --no-preserve-root to override this failsafe

~]# 출처:https://blog.naver.com/duddnswnd1/221365644864
### ### 

이런 문제 때문에 서버에 미리 설정을 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 실수로 rm -rf 명령어 실행을 잘못해서 루트 디렉토리를 삭제하여 복구가 불가능한 문제를 몇 번 들은 적이 있기 때문이다. alias rm=’rm -i –preserve-root’  설정으로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며 실수로 명령어를 실행해도 root 디렉토리 삭제 명령어 실행되어도 root가 삭제가 되지 않는다.

linux Free Software

Similar Posts

  • 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목차1. rm 명령어2. rm 명령어 – root 삭제방지✅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빠지게 되면 Hard Link를 생성하게 됩니다. ✅…

  • 리눅스 top 명령어(CPU, 메모리 점유율 확인)

    리눅스 top 명령어는 구동 중인 OS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ble of processes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총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량 등을 보여주며 각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메모리와 CPU 사용량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1. rm 명령어2. rm 명령어 – root 삭제방지Ⅰ. 리눅스 top 명령어 기본 사용 top 명령어는 대부분 옵션 없이 사용하지만 일반적인 명령어와…

  •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사용 방법과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1. rm 명령어2. rm 명령어 – root 삭제방지✅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대부분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killall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psmisc 패키지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와 명령어 옵션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는 ‘리눅스 명령어 인수‘, ‘명령 인자‘ 등으로도 불리며,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매개변수를 뜻 합니다. 리눅스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가리킵니다. 이 값은 해당 프로그램이나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정의에…

  • [Linux] usermod 명령어

    usermod 명령어는 user modification(사용자 수정)의 약자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UID (사용자 ID), 홈 디렉토리, 로그인 셸, 그룹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목차1. rm 명령어2. rm 명령어 – root 삭제방지✅ usermod 명령어 기본 옵션 ✅ 주요 옵션 ✅ 사용 예시 🔲 사용자 홈 디렉토리…

  • 리눅스 tar 명령어: 파일 압축, 해제

    리눅스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해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웹사이트의 이전 등에 mysqldump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앞 글자를 따서 ta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차1. rm 명령어2. rm 명령어 – root 삭제방지✅ 리눅스 tar 명령어의 이해 리눅스에서 tar로 압축 진행을 할 때 압축(compress)한다고 표현하지만 tar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