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란? | 10가지 SERP 리스트

검색엔진최적화(SEO)에 대한 관심이 한국에서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구축한 웹사이트를 단순하게 광고하는 방식이 아닌 자연 검색 트래픽으로 방문자를 늘리는 방식이지요. 구글은 사용자 경험을 포함 정보성 글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AI가 등장한 이후 더더욱 이 추세는 강해지고 있습니다.

웹사이트의 글(Post)이 구글 첫 페이지부터 나오는 자연 검색 결과를 포함한 다양한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Search Engine Result Page)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며 등록할 수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SERP(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 기능 목록

추천 스니펫((Featured Snippet)은 검색 의도에 가장 적합한 정보가 검색엔진 상단에 제공됩니다. 구글링 첫 페이지의 0순위라고 부르기도 하며, 동영상 일부를 강조 표시하기도 합니다. 목록 or 표로 된 스니펫도 있습니다.

구글에서 직접 키워드라고 입력했을 때 나타난 Featured Snippet입니다. 아래는 단락형(Paragraph) 스니펫입니다.

구글 추천 스니펫(검색어-키워드)
단락형 스니펫

문단형(List) 스니펫입니다.

SERP-문단형 추천 스니펫
문단형 스니펫

표(table) 형식 스니펫입니다.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표(table) 형식 추천 스니펫
table 형식 스니펫

동영상 형식의 스니펫입니다.

동영상 형식 추천 스니펫
※ Featured Snippet에 올라오기 위한 조건
ⓐ 검색 엔진 사용자가 궁금해 할 질문 위주 콘텐츠
ⓑ 한글 기준 150자 정도의 짧은 글
ⓒ H1~16 헤딩 태그를 적절하게 활용하기
ⓓ 고품질 이미지 사진-직접 만들거나 독창적인 사진

리치 스니펫(or 리치 결과:Rich Results) SERP의 하위 기능입니다. 더 많은 트래픽 유도를 위해 평점, 이미지, 가격 등 웹페이지의 추가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Google 검색 결과 유형입니다.

스키마 마크업을 통한 리치 스니펫
리치 스니펫 별점

지식 패널을 이용한 사람, 장소 또는 사물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PC의 오른쪽 상단 or 모바일 장치의 상단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구글링에서 [연방준비제도] 검색 시 앞서 언급한 추천 스니펫과 함께 우측의 [지식 패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RP-추천 스니펫과 일반검색&지식패널

주요 뉴스의 경우 한국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구글링 검색 경과와 관련된 가장 관련성이 높은 최신 뉴스가 정리된 깔끔한 블록으로 SERP 상단에 나나탑니다.

주요 뉴스(Top Stories)

대기업은 주요 뉴스 블록에 떠서 평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소규모 웹사이트라도 웹페이지의 일관된 주제의 고품질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올릴 때 주요 뉴스에 뜰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미지 팩은 Google이 시각적 콘텐츠가 보다 포괄적인 결과 페이지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때 나타납니다.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이미지팩

FAQ자주 묻는 질문의 경우 FAQ 목록으로 나오며 FAQ 스키마 마크업을 사용하여 표시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SERP-FAQ 자주 묻는 질문

사이트 링크는 웹사이트 결과 아래에 표시되는 특수 링크입니다. 웹사이트의 만이 찾는 특정 페이지로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게끔 링크를 표시합니다.

SERP-사이트 링크

SERP 상단과 하단에 관련 검색어(or 추가 검색어)를 제공합니다.

SERP-관련 검색어&추가 검색어

리뷰 스니펫의 경우 노란색 별 등급과 함께 이미지가 같이 나올 수 있습니다.

[SEO]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란? | 10가지 SERP 리스트

지역팩은 구글링 하는 방문자가 근처에서 커피숍 또는 피자 등과 같은 음식점이나 지역 관련된 내용을 검색했을 때 표시됩니다. 보통은 구글 비즈니스에 업체를 등록했을 경우에 나오며 고객들은 별점을 줄 수 있습니다.

SERP-지역팩

추천 스니펫 등과 같은 기능 활용 권장

첫 페이지에 항상 노출이 되면 좋지만 구글 검색 엔진은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고품질 콘텐츠를 제작해 검색 엔진 결과의 첫 페이지 상단에 나오는 것도 좋지만 스키마 마크업과 같은 기능을 활용하여 FAQ나 지식 패널 등에 나오도록 하는 중급 수준의 테크니컬 SEO 전략을 짜는 것 역시 중요할 수 있습니다.

노트에 적은 SEO(검색 엔진 최적화)

그 외 검색 결과 페이지 목록

먼저 설명한 검색 결과 페이지 외에도 다양한 내용이 노출됩니다. 넷플릭스 관련 검색으로 영화, 드라마 등의 비디오팩, 항공편과, 호텔팩 등 구글링을 통한 다양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imilar Posts

  • HTML5 기본 구조: 기본 템플릿 코드 및 태그별 역할

    웹페이지를 만드는 기본 뼈대인 HTML은 지난 수십 년간 발전해 왔습니다. 초창기 HTML은 단순한 문서 구조화에 집중했지만, 점차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과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기존 버전의 한계가 명확해졌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최신 표준이 바로 HTML5입니다. HTML5는 시맨틱 구조를 강화하고, 비디오·오디오 같은 멀티미디어 요소를 플러그인 없이 지원하며, 다양한 웹 API를 내장해 현대 웹 환경에…

  • [Chrome]크롬 개발자도구 웹페이지 속도 측정-네트워크 패널 이용 방법 4가지

    크롬 개발자도구 네트워크 패널은 개발자가 웹페이지에서 실제로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잘 되는지 HTTP 헤더, 콘텐츠, 크기와 같은 개별 리소스의 속성 등을 체크해야 하는 2가지 경우에 이용을 합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크롬 개발자도구 웹페이지 속도 측정’하는 방법과 네트워크 페널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CMS로 운영되는 워드프레스 웹사이트 및 쇼핑몰로 운영되는 사이트 등 웹사이트의 속도 개선으로 SEO에…

  • 정보형 블로그 콘텐츠 패턴 4가지 정리

    정보 중심의 정보형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려고 할 때 다소 제목이나 내용이 식상하거나 막상 글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H1 제목부터 H2 이하 소제목이 어색하게 바뀌는 등, 막상 제목이나 본문 구성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생각한 것이 좋은 내용이고 훌륭한 아이디어와 독창적인 내용이 맞음에도 이 내용을 글 안에 녹여 내는 건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정보…

  • SSL 보안등급 확인 사이트

    내 웹사이트에 설정된 SSL 보안등급이 몇 등급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SSL (Secure Sockets Layer)은 웹 콘텐츠, 이메일 또는 기타 유형의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상위 수준의 프로토콜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오늘날 SSL 새로운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 제품군으로 대체되었다. TL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네트워크로 통신 중 발생할 수 있는…

  • 검색엔진 점유율 순위-구글vs네이버(2022년 1분기)

    구글의 전세계 검색엔진 점유율은 92%로 독점적인 시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검색엔진은 오랜 기간 네이버와 다음이 양분했지만 다음의 점유율은 5% 대로 하락하고 ‘구글vs네이버‘로 국내 검색엔진 시장은 양분화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국내 점유율이 30%를 넘게 된 것은 2019년 부터입니다. 목차SERP(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 기능 목록추천 스니펫 등과 같은 기능…

  • [구글 렌즈] 구글 이미지 검색 방법(PC&모바일 앱)

    PC 또는 모바일에서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비슷한 이미지를 찾아야 하는 경우에 보통 구글 렌즈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기능을 활용합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을 하는 이유는 보통 특정 장소의 동·식물, 미술품과 같은 작품에 대해 텍스트로 물어볼 수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식물원에 갔는데 어떤 식물인지 궁금하지만 텍스트로 검색해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모바일 크롬의 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