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2가지 설정 중 SEO에 더 유리한 것은?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SEO에 어떤 방식이 유리한지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Subdomain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인터넷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www.domain.com에서 shop.domain.com이나 blog.domain.com과 같이 서브도메인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확인한 적이 있을 겁니다.

shop이나 blog와 같은 Subdomain 외에 www.domain.com/shop과 www.domain.com/blog와 같이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 or 하위 폴더)로 주제를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두 가지 설정을 각각 다르게 하는 이유를 SEO 관점에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메인의 일부인 www 서브도메인(하위도메인) 웹 사이트 계층 구조

1. 서브도메인(하위도메인) 사용 이유

하위도메인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분리하기 위해서입니다. 블로그상점을 다른 웹 사이트나 다른 영역으로 분할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키피디의 경우 각 나라 별 언어를 구분하기 위해 하위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사용-위키피디아 서브도메인 사용 예(대비 규모가 작은 사이트들은 서브폴더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음)

하위 도메인을 네임서버의 DNS 설정에서 www 및 루트 도메인을 만드는 것처럼 A레코드를 추가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1.1 서브도메인 SEO 관계

첫 번째 구글 서치콘솔에서 서브도메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에서 볼 수 있듯이 Google은 하위 도메인을 별도의 독립적인 웹 사이트(or 카테고리 콘텐츠)로 간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인 웹 사이트의 권위와 평판을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리고 구글의 애드센스 광고 등에 영향이 가지 않게 하기 위해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경우 페이지 RPM 및 CPC 단가가 낮은 이유가 대체로 광범위한 콘텐츠로 인한 광고 네트워크의 분산으로 보는 경향이 많습니다.

하위 도메인을 선택 시 중복되는 콘텐츠 카테고리가 없도록 고려해서 사이트를 운영하는 것 또한 체크 할 항목입니다.

일반적인 견해로 하위 도메인은 루트 도메인과 별개이기 때문에 링크 주스의 루트 권한을 상속받지 않으며, 루트 도메인과 동일한 키워드 페이지가 구축된 경우 서로 경쟁하는 관계입니다. 백링크는 아웃바운드 링크로 구분 지어서 생각하는 것이 맞습니다.

1.2 하위 도메인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 기본 메인 사이트에서 분리해야 하는 경우
    • 사이트를 운영 하는 중 전혀 다른 성격의 콘텐츠를 만들 때 기존의 웹 사이트와 다른 사이트를 만들고 싶은 경우입니다.
  • 조직 관리 – 하위 도메인은 앞서 언급한 콘텐츠를 분리하는데 편리합니다.
  • 위키피디아처럼 언어 별로 사이트를 구분하려는 경우입니다.
  • 스테이징 사이트를 만들어 테스트 하는 경우
도메인(domain)

2.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

하위 디렉토리는 앞서 언급했던 www.domain.com/shop www.domain.com/blog와 같이 생성된 경우입니다.

매우 넓은 포괄적인 주제를 가진 웹 사이트는 세분화 된 사이트보다 더 권위 있는 사이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세분화 된 사이트가 상대적으로 권위가 떨어진다는 뜻은 아니지만 많은 주제를 가진 웹 사이트는 더 많은 백링크링크 자산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3.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SEO에 더 유리한 것은?

첫 번째 구글 서치콘솔에서 서브도메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에서 볼 수 있듯이 Google은 하위 도메인을 별도의 웹 사이트(or 카테고리 콘텐츠)로 간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인 웹 사이트의 권위와 평판을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리고 구글의 애드센스 광고 등에 영향이 가지 않게 하기 위해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경우 페이지 RPM 및 CPC 단가가 낮은 이유가 대체로 광범위한 콘텐츠로 인한 광고 네트워크의 분산으로 보는 경향이 많습니다.

하위 도메인을 선택 시 중복되는 콘텐츠 카테고리가 없도록 고려해서 사이트를 운영하는 것 또한 체크 할 항목입니다.

4. 결론

명확하진 않지만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 수익이 주 수입인 블로그라면 광고 CPC와 RPM을 고려해서 서브 폴더로 카테고리를 나누기보단 서브도메인을 운영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워드프레스 살펴 보기

Similar Posts

  • 내 브라우저 해상도 크기 확인하기:해상도 확인 사이트

    사용하는 PC 및 모바일 내 브라우저 해상도 크기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모니터 별 다양한 디바이스 크기가 있으며 우선 대표적인 3가지 디바이스 크기입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이 페이지에 접속하면 목차 1.에서 접속한 디바이스(PC,테블릿,스마트폰 등) 해상도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1. 서브도메인(하위도메인) 사용 이유1.1 서브도메인 SEO 관계1.2 하위 도메인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2.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3. 서브도메인…

  • [MS 365] 아웃룩 검색 방법 및 검색 오류 해결

    아웃룩 검색 기능은 메일을 보낸 사람, 내용, 아웃룩 작업과 일정 등 다양한 항목을 찾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아웃룩 검색 방법은 [Ctrl+E] 단축키로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항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하는 키워드는 단어 외에도 문구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목차1. 서브도메인(하위도메인) 사용 이유1.1 서브도메인 SEO 관계1.2 하위 도메인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2.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3. 서브도메인 VS…

  • 워드프레스 테마 확인(&플러그인) 감지 사이트

    사이트가 xe 또는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xe보다는 더 많은 확장이 가능한 플러그인과 많은 종류의 테마, 그리고 더 안정적인 사이트 및 서버 관리가 가능한 워드프레스가 더 관리하기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워드프레스 테마 확인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왜냐하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다른 워드프레스로 운영되는 홈페이지는 어떤 플러그인과 어떤 테마를 사용하는지 궁금할 때가…

  • 구글 계정 로그아웃 하는 방법(PC&모바일)

    구글의 지메일(Gmail), 즐겨찾기 항목, 유튜브 등을 공공장소에서 사용 후 그 PC에서 구글 계정 로그아웃을 하지 못한 경우 내 PC 또는 모바일에서 다른 기기 로그아웃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C와 핸드폰에서 구글 계정 로그아웃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서브도메인(하위도메인) 사용 이유1.1 서브도메인 SEO 관계1.2 하위 도메인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2.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3. 서브도메인 VS…

  • 글로벌 SEO란? 인터내셔널 SEO 정의

    특정 웹사이트를 보면 다국어 기능을 가진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SEO(Global SEO) 또는 인터내셔널 SEO(International SEO)로 부르며, 해외 SEO 시장 공략을 위한 인터내셔널 SEO 전략은 어떤 방식을 취해야 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서브도메인(하위도메인) 사용 이유1.1 서브도메인 SEO 관계1.2 하위 도메인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2.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3.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SEO에 더 유리한 것은?4….

  • 글로벌 SEO 비교 사이트 4군데

    글로벌 SEO 비교 사이트를 찾고 있다면 SimilarWeb, Ahrefs SEMrush, Moz와 같은 인기있는 웹사이트를 추천합니다. 이 사이트들은 트래픽 및 키워드 순위 정보를 제공하여 전 세계적인 SEO 분석을 가능케 합니다. 이 중에서 웹사이트 순위 정보도 제공하는 사이트는 SimilarWeb, Alexa, SEMrush와 같은 사이트들입니다. 이러한 사이트들은 글로벌 SEO 분석에 도움이 되는 강력한 도구로, 인기와 신뢰성이 높습니다. 목차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