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L보안인증서 법규정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SSL보안인증서는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모든 웹사이트에 의무적으로 구축하도록 대한민국 법 규정에 정해져 있습니다. SSL보안인증서 법규정은 로그인이 필요한 개인정보가 있는 웹사이트와 (회원정보가 없어도)결제 모듈이 구축된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쇼핑몰에 SSL보안인증서 설치가 필수라는 것입니다.

1. HTTPS란

HTTPS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 (HTTPS) 사용하는 HTTP 프로토콜의 보안 버전입니다. SSL /TLS 프로토콜 암호화 및 인증을 위해. HTTPS는 다음에 의해 지정됩니다.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웹 사이트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신용 카드 번호, 은행 정보 및 로그인 자격 증명 등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HTTP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SL보안인증서가 필요합니다. 도메인 앞에 자물쇠 모양이 표시되며, URL 창에 마우스 클릭 시 주소는 HTTPS://www.youdomain.com 으로 표시되게 됩니다.

SSL보안인증서

참고로 HTTPS를 사용할 경우 HTTP 통신보다 웹사이트의 접속 속도가 느려지는 부분이 있지만 필수적인 보안 항목이기 때문에 설치를 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보안인증서 설치에 대한 필수 법 규정을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SSL보안인증서 법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2. SSL보안인증서 법규정 관련

2.1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8조(개인정보의 보호조치) <개정 2016. 3. 22.>
 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이 개인정보를 처리할 때에는 개인정보의 분실ㆍ도난ㆍ유출ㆍ위조ㆍ변조 또는 훼손을 방지하고 개인정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기술적ㆍ관리적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저장ㆍ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기술 등을 이용한 보안조치
 제73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5. 1. 20., 2015. 3. 27.>.
 제28조제1항 제2호부터 제5호까지(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규정에 따른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아니하여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분실·도난·누출·변조 또는 훼손한 자
 제76조(과태료) ) <개정 2012.2.17, 시행 2012.8.18>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와 제7호부터 제11호까지의 경우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도록 한 자에게는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제28조제1항(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 

2.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개인정보의 보호조치)
④ 법 제28조제1항제4호에 따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은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저장ㆍ전송될 수 있도록 다음 각 호의 보안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4. 11. 28., 2017. 3. 22.>
3.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인증정보를 송신·수신하는 경우 보안서버 구축 등의 조치

2.3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5조 (개인정보의 암호화)
 ②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인증정보를 송·수신할 때에는 안전한 보안서버 구축 등의 조치를 통해 이를 암호화해야 한다. 보안서버는 다음 각 호 중 하나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웹서버에 SSL(Secure Socket Layer) 인증서를 설치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
 웹서버에 암호화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 

2.4 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 (안전조치의무)⭐⭐⭐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가 분실·도난·유출·변조 또는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내부 관리계획 수립, 접속기록 보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관리적 및 물리적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73조 (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5. 7. 24., 2016. 3. 29.>
 제23조제2항, 제24조제3항, 제25조제6항 또는 제29조를 위반하여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아니하여 개인정보를 분실ㆍ도난ㆍ유출ㆍ위조ㆍ변조 또는 훼손당한 자 
제75조 (과태료)⭐⭐⭐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3. 8. 6., 2014. 3. 24., 2015. 7. 24., 2016. 3. 29., 2017. 4. 18.>
 제23조제2항, 제24조제3항, 제25조제6항 또는 제29조를 위반하여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 

2.5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0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① 개인정보처리자는 법 제29조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안전성 확보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저장ㆍ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의 , 적용 또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
6. 개인정보의 안전한 보관을 위한 보관시설의 마련 또는 잠금장치의 설치 등 물리적 조치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개인정보처리자가 제1항에 따른 안전성 확보 조치를 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3., 2014. 11. 19., 2017. 7. 26.>
제7조 (개인정보의 암호화)
② 개인정보처리자는 비밀번호 및 바이오정보는 암호화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다만,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복호화되지 아니하도록 일방향 암호화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SSL보안인증서 관련 법규정

네이버나 다음 포털 사이트와 구글 등, 그리고 대한민국의 모든 은행에는 SSL보안인증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보안인증서가 설치되지 않은 쇼핑몰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인증서에 대한 지식이 조금만 있다면, SSL보안인증서가 없는 쇼핑몰은 그만큼 홈페이지 관리와 보안에 대해 신경쓰지 않는 쇼핑몰이라고 인식해도 됩니다.

SSL보안인증서 법규정에 대한 항목과 함께 구글은 SEO 항목에 HTTPS 통신을 하는 웹사이트를 검색 우선 순위에 올리고 있습니다. HTTPS 통신이 필수적인 항목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SL보안인증서에 설치된 웹사이트에 HSTS 지원을 통해 속도와 보안을 보다 업그레이드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Similar Posts

  • Malware Zero 다운로드 및 사용법

    ‘Malware Zero’ (mzk)는 네이버 카페 ‘바이러스 제로 시즌 2‘에서 만들어진 무료 배포 악성 코드 제거 스크립트입니다. 인터넛 익스플로러 또는 크롬 등의 여러 브라우저를 사용합니다. 이 때  ’11번가 광고’ 나 기타 옥션, 지마켓 등의 광고가 강제로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알게 모르게 설치된 악성 코드는 구글링 한 여러가지 방법을 써 봐도 효과가 거의 없는 경우는…

  • 아이폰 디스플레이 및 밝기 설정(&라이트모드 다크모드 2가지 모드)

    아이폰은 설정 화면의 디스플레이 및 밝기 설정탭으로 들어가면 아이폰 라이트모드 다크모드를 각각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디스플레이 및 밝기 설정 탭으로 접속하면 첫 화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 구매하자마자 다크모드를 사용해서 눈의 편안함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및 밝기 설정 탭의 기능들을 하나 씩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HTTPS란2. SSL보안인증서 법규정 관련2.1 정보통신망 이용…

  • [SEO]구글 페이지랭크(PageRank)란?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 페이지랭크(PageRank)는 구글 검색 엔진 결과의 웹페이지 순위를 매기는 데 사용되는 알고리즘입니다. ‘웹 페이지’라는 용어와 구글의 공동 창립자인 Larry Page의 이름을 따서 ‘페이지 랭크’라는 용어가 탄생했습니다. 목차1. HTTPS란2. SSL보안인증서 법규정 관련2.1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2.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2.3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2.4…

  • SEO를 위한 타이틀 태그: H1 태그와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

    타이틀 태그는 구글 등의 검색 엔진에서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 링크로 표시됩니다. 타이틀 태그(Tltle Tag)란 웹페이지 제목을 지정하며, HTML 요소입니다. 타이틀 태그 SEO(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해 웹페이지의 콘텐츠에 대해 정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필요로 합니다. SERP에 나오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확인된 것처럼 [검색엔진 최적화(SEO)란 무엇일까? 라는 글에서 제목 및 메타 디스크립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목 태그는…

  • DOM(Document Object Model) 구조와 정의

    대부분의 웹페이지는 HTML로 구성되어 있지만, 우리가 브라우저에서 상호 작용하는 것은 단순한 정적인 HTML 문서가 아닙니다. 웹페이지는 브라우저에 의해 DOM(Document Object Model)이라는 구조화된 객체 모델로 변환되며, 이 DOM을 통해 JavaScript는 페이지의 내용을 읽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DOM은 웹의 핵심 작동 원리이자 프로그래밍 가능한 웹의 뼈대입니다. 버튼 클릭, 폼 입력, 실시간 데이터 변경 등 우리가…

  • 구글 알리미 설정: 관심 분야의 키워드와 주제 설정하기

    ‘구글 알리미‘ or ‘구글 알림‘으로 부르는 구글의 알리미는 관심 분야의 키워드를 설정해서 관련 콘텐츠를 메일로 전달 받는 구글의 무료 서비스입니다. 뉴스 기자, 에디터, 마케터, 개인 블로거 및 특정 취미에 관심 있는 개인 사용자 등을 아우르는 특정 분야에서 지속적인 정보를 얻고자 할 때 구글 알리미 설정을 통해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목차1. HTTPS란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