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와 URL 2개 주소의 차이 및 URN

2021년 현재 기준으로 해외에서는 URL 대신 URI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 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플러그인 관련 문의 등을 하거나 기타 해외 사이트에 문의할 경우에 URI라는 말을 쓴다는 것을 알았고 궁금해서 정리하게 됨.

URL URN URI

1. URI 정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로 ‘정형화 된 리소스 식별자‘로 또는 ‘통합 자원 식별자‘로 볼 수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Uniform_Resource_Identifier

위키백과의 URI 링크를 예로 보자면, URI는 인터넷 상의 리소스(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으로 보면 되겠다. 실제 존재할 수 있는 파일 또는 자원 위치이며, 존재하지 않는 자원 위치일 수 있다.

2. URL 정의

URL은 URI의 하위 개념으로 보면 되겠다. URI 안에 URL이 들어 있는 것이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형화된 리스소 위치‘ 또는 ‘통합 자원 위치‘로 볼 수 있다.

https://malzero.xyz/download

위에는 멀웨어제로의 다운로드 링크(자원위치)다. URL의 경우 인터넷 상의 자원 위치를 나타낸다. 자원 위치는 실제 존재하는 파일 위치 또는 경로 위치로 이해하면 편할 것임.

자원 위치문자열의 구성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URI 안에 URL이 들어 있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참조: https://lambdaexp.tistory.com/39

3. URN이란: URN의 정의

URN(Uniform Resource Name)은 ‘정형화된 리소스 이름‘ 또는 ‘통합자원 이름‘으로 해석하면 되겠다.

URN은 변하지 않는 이름으로 보면 된다.

https://uknew.co/malware-zero/

위 주소는 멀웨어제로에 대해 쓴 글이다. malware-zero의 경로는 변경될 수 있다. https://www 역시 FTP://www 접두어가 붙고 뒤에 uknew.co가 붙을 수 있다.

https://uknew.co/malware-zero/

uknew.co URN으로 보면 간단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윈도우(microsoft-window)
Galati, Romania – Junie 10, 2014: HP Pavilion 15-n230us Notebook PC (ENERGY STAR) with Windows 8.1, newest operating system from Microsoft.

Similar Posts

  • Throttle

    목차1. URI 정의2. URL 정의3. URN이란: URN의 정의 ■ Throttle – 스로틀 ‘Throttle’ 이란 영어 단어 조절판,누르다, 목을 조르다 등의 의미로 사용되며, 목을 조르다 의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 됩니다. 쓰로틀링(Throttling) 역시 목을 조른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체-유체 공학]에서 압력이 높은 배관에 손상을 생길 수 있는 경우에 임의적으로 압력을 조절해 배관의 손상을 막는 것을…

  • [SEO] 도메인 권한 (Domain Authority)이란?

    도메인 권한(Domain Authority)이란 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가 검색 엔진 최적화되어 좋은 순위를 가질 수 있는지 SEO 사이트인 Moz에서 개발한 측정 방식입니다. 1에서 100점까지 설정된 점수는 높은 점수일수록 좋은 순위를 가지는 방식입니다. 목차1. URI 정의2. URL 정의3. URN이란: URN의 정의도메인 권한 계산 방법 먼저 생각해야 할 점은 DA(Domain Authority)는 구글의 자체적인 순위 요소 및…

  • ASCII 파일이란? 바이너리와 차이

    ASCII 파일은 텍스트 파일을 의미합니다. 텍스트 파일인 아스키 파일은 문자, 숫자, 특수 기호 및 제어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목차1. URI 정의2. URL 정의3. URN이란: URN의 정의✅ ASCII 파일 이해 리눅스에서 쉘 스크립트, 자바 스크립트, PHP 스크립트 파일 등을 포함한, ‘.txt’ 확장자와 같이 메모장으로 읽을 수 있는 파일을 ASCII 파일로 이해할 수…

  • |

    구글 웹스토리란?

    구글 웹스토리란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애니메이션, 텍스트를 조합하여 동적인 소비 환경을 만드는 웹 기반 버전의 인기 ‘스토리’ 형식입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과 비슷하지만 고유한 URL 주소를 가지고 구글 검색에 노출이 가능합니다. 구글 검색 뿐만 아니라 디스커버, 구글이미지에서도 노출이 가능합니다. 2022년 스토리는 아직 구글 이미지에서만 검색되긴 하지만 앞으로 더더욱 활성화가 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하죠. 목차1. URI…

  • 웹 사이트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세션 3가지 항목 차이 이해하기

    구글 애널리틱스는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사용자에게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Google Analytics는 초보자에게 여러가지 생소한 단어들로 가득하기 때문에 벅찰 수 있습니다. Analytics를 포함한 웹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접하게 되는 웹 사이트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 차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URI 정의2. URL 정의3. URN이란: URN의 정의 1. 웹 사이트 방문자 수(Visits) 웹 사이트 방문Visits 은 URL로…

  • |

    컴파일 뜻 : 컴파일링이란?

    목차1. URI 정의2. URL 정의3. URN이란: URN의 정의 ■ 컴파일이란? 컴파일(compile)이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소스코드를 Compiler 하여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요즘은 배포판 공급업체에서 이미 compile 된 바이너리 파일들을 저장소에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 되었으며, 서버로 다운로드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Ⅰ. 컴파일링과 링킹 compile 과정을 컴파일링(compiling)이라고 하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