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useradd 명령어 & passwd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시스템 관리 명령어인 useradd 와 비밀번호 생성 명령어인 passwd
  • 시스템 관리 명령어

useradd 명령어리눅스에서 사용자의 ID(계정)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root 권한으로 생성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useradd [사용자 계정 이름]
useradd [-옵션] [사용자 계정 이름]

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

리눅스 useradd 사용 예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예입니다.

  • testuser 계정 생성
useradd testuser
  • testuser 계정 생성하면서 경로 및 nobody 그룹에 지정함
    • /home/home1/testuser 디렉토리와 nobody 그룹이 먼저 생성되어 있어야 함.
# 디렉토리 지정 & 그룹 nobody로 지정
useradd  testuser -d /home/testuser -g nobody
  • /etc/default/useradd 경로의 파일은 사용자 생성 시 기본으로 적용되는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useradd -D 명령어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useradd -D
# useradd defaults file
GROUP=100
HOME=/home
INACTIVE=-1
EXPIRE=
SHELL=/bin/bash
SKEL=/etc/skel
CREATE_MAIL_SPOOL=yes

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

계정 생성 시 설정 값이 정의되는 /etc/skel 데릭토리는 사용자를 생성 했을 때 해당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기본으로 들어가는 파일이 있습니다.

~]# ll -a /etc/skel
-rw-r--r--.   1 root root   18 Jan 23  2023 .bash_logout
-rw-r--r--.   1 root root  141 Jan 23  2023 .bash_profile
-rw-r--r--.   1 root root  492 Jan 23  2023 .bashrc

/etc/skel 설정은 /etc/default/useradd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vi /etc/default/useradd

#useradd defaults file
GROUP=100
HOME=/home/www
INACTIVE=-1
EXPIRE=
SHELL=/bin/bash
SKEL=/etc/skel
CREATE_MAIL_SPOOL=yes

리눅스 /etc/passwd

adduser로 생성된 계정은 /etc/passwd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 /etc/passwd
useradd 명령어로 생성된 계정은 etcpasswd에서 확인 가능

passwd 명령어

useradd로 계정 생성 후 비밀번호 생성을 진행하게 됩니다. passwd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sswd [사용자 계정 이름]
## Ex 
pssswd testuser
Changing password for user testuser.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옵션 사용
passwd [-옵션] [사용자 계정 이름]
pssswd testuser

passwd 옵션

Similar Posts

  • 리눅스 Rsync 명령어

    Rsync (Remote Sync) 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백업 방식입니다. 전체 데이터를 매번 복사하는 대신 변경된 부분만 증분 방식으로 전송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다양한 옵션을 통해 압축, 암호화, 권한 유지, 삭제 동기화 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백업과 서버 간 데이터 전송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재 전송…

  • 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tree 옵션 ✅ 사용 예시…

  • df 명령어

    df(Disk Free)는 마운트 된 장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 디스크 크기(Size), 사용량(Used), 여유공간(Avail), 사용률(Use%), 마운트지점(Mounted on)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df 명령어 옵션 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해서 서버 관리를 하는…

  • 리눅스 ls 명령어

    ls 명령어는 list의 약자이며,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를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의 종류와 파일의 크기, 만들어진 날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s 명령어 사용 시 [파일 or 디렉토리]를 입력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를 검색합니다. ✅ ll…

  • [Linux] userdel 명령어: 사용자 계정 삭제 명령어

    리눅스에서 useradd로 계정 생성 후 삭제가 필요한 경우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userdel 명령어 기본 사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userdel 주로 사용하는 옵션 userlde만 입력해서 사용자를 삭제할 경우 보통 /home/[user]로 계정명이 폴더에 버전에 따라 남아있거나 삭제되는데 /var/spool/mail/[user] 파일은 대부분의 리눅스에서 남게 됩니다….

  • 리눅스 file 명령어

    리눅스 file 명령어는 그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으로 파일의 파일 타입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은 텍스트 파일(ASCII 텍스트), 바이너리 파일, 그림 파일 및 동영상 등입니다. 단순하게 파일의 확장자만 확인하는 것이 아닌 파일의 매직파일(usr/local/magic)의 내용을 참조하여 파일 종류를 표시해 줍니다. magic 파일은 특정 파일의 형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