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란?

‘손익계산서’ 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입니다. 우리는 투자한(주식 or 채권) 기업의 매출을 분기, 반기, 년도 별로 사업계획서의 재무제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년 정도 또는 그 이상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라면 기업의 매출(또는 영업이익이나 당기순이익)의 변화에 따라 투자한 기업의 주가가 내려가거나 급등했던 경험을 했을 것입니다.


주식 투자 시 ‘손익계산서’ 에서 기본으로 살펴봐야 할 항목은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순이익)을 먼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1.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활용


손익계산서


별도재무제표(또는 개별재무제표)에서는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체크하는 게 맞지만 ‘연결재무제표’에서는 매출, 영업이익, ‘지배기업소유주지분’ 항목과 ‘비지배지분’ 항목을 각각 체크해야 합니다.

2. 지배기업소유주지분 및 ‘비지배지분’

‘지배기업소유주지분’ 은 손익계산서에서 확인 시 아래와 같습니다.


당기순이익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연결재무제표 상의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비지배지분(자회사 순이익 제외) 순이익을 더한 값입니다. 비지배지분은 지배기업(모기업)의 종속회사(자회사)의 당기순이익을 제외한 당기순이익입니다.


많은 종속회사(자회사)를 가지고 있는 네이버 또는 카카오,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의 포괄손익계산서를 확인해야 해당 기업의 실질적인 이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 당기순이익

2.1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계산

지배기업A회사B회사그외 종속기업
지분율80%50%기타 %
당기순이익당기순이익*80%당기순이익*50%당기순이익* 기타%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계산은 위 표와 같이 지분율 80%를 소유한 종속기업 A의 당기순이익 중에 80%를 지분율에 따라 80%의 당기순이익만 ‘지배기업소유주지분’ 에 더하게 됩니다. 종속기업이 B와 그외 종속기업 역시 동일한 공식으로 을 합한 것이 ‘지배기업소유주지분’ 입니다.


‘손익계산서’ 의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순이익) 그리고 ‘연결재무제표’ 에서의 포괄손익계산서의 ‘지배기업소유주지분’ 에 대해 확인했습니다.
이제 추가로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사항은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입니다.

매출원가 판관비

3. 매출원가 – 매출액

기업의 매출은 크게 제품매출상품매출로 나뉘어 집니다. 여기에서 제품매출은 기업이 직접 제조하여 판매한 제품의 매출이며, 상품매출은 기업이 외부에서 매입해서 다시 상품에 대한 매출입니다.

4. 판매비와 관리비 (판관비)

판매비는 기업이 판매 활동을 하면서 발생한 비용으로, 관리비는 임차료,통신비, 보험료, 연구개발비 등 회사를 관리하는 쪽의 비용입니다.


우리가 결국 손익계산서에서 봐야할 항목은 ⓐ매출,영업이익, 당기순이익과 ⓑ매출원가 및 판관비 항목을 살펴봐야 합니다.

아래의 포괄손익계산서는 필요한 사이트 내 확인 가능한 용어를 링크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제 25 기
영업수익(매출액)1,513,471,072,651
영업비용1,317,407,148,128
영업이익(손실)196,063,924,523
기타수익10,964,194,874
기타비용438,146,371,624
금융수익54,137,000,050
이자수익13,962,237,560
기타금융수익40,174,762,490
금융비용18,938,613,896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 손상차손(34,709,203,88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230,629,069,957)
법인세비용29,076,622,935
당기순이익(손실)(259,705,692,892)
기타포괄손익3,529,024,838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평가이익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없는 항목3,529,024,838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2,246,614,76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평가손익5,775,639,607
총포괄손익(256,176,668,054)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3,258)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3,258)
손익계산서란?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Self Employment] 매장의 조명

    자영업을 운영하면서 매장의 조명은 중요합니다. 매장을 새로 오픈 할 때 많은 Self Employd가 인테리어에 포함된 매장 조명에 신경씁니다. 하지만 99% 이상의 자영업자가 이후 매장 조명에 대해 신경 쓰지 않습니다. 목차1.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활용2. 지배기업소유주지분 및 ‘비지배지분’2.1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계산3. 매출원가 – 매출액4. 판매비와 관리비 (판관비) 1. 매장의 조명 인테리어 업체와 계약 후…

  • 원가회계란?

    원가회계(cost accounting)는 제품의 정확한 원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생성된 원가 정보는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에서 제품 원가 정보로 사용됩니다. 목차1.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활용2. 지배기업소유주지분 및 ‘비지배지분’2.1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계산3. 매출원가 – 매출액4. 판매비와 관리비 (판관비)1. 원가회계의 목적 원가관리(cost control)는 표준 원가를 설정하고 실제 원가와 표준 원가를 일치시켜 경영상의 낭비를 제거라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능률을…

  •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지급준비율 7%와 통화승수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걸까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본 원인은 화폐의 사용량이 계속해서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자본주의 시스템에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화폐의 양이 늘어나는지 우리는 알 필요가 있습니다. 급여생활자와 사업자 및 투자자 사이의 부의 양극화가 심해질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이 글에서 풀어보겠습니다. 목차1. 재무제표…

  • 일본 버블경제

    일본 버블경제(Japan’s Bubble Economy)란 1986년부터 1991년까지 부동산과 주식 시장 가격이 크게 부풀려진 일본의 경제버블을 뜻 합니다. 일본의 주식 및 부동산 거품은 1989년 가을부터 붕괴되었습니다. 주식 가치는 1989년 말부터 1992년 8월까지 60% 하락했고, 토지 가치는 1990년대 내내 하락하여 2001년까지 무려 70%나 하락했습니다. 목차1.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활용2. 지배기업소유주지분 및 ‘비지배지분’2.1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계산3. 매출원가…

  • 2013년 KT 위성 매각 논란(무궁화위성 3호)

    2013년 11월 드러난 KT 위성 매각 사건은 무궁화 1호, 2호, 3호 위성 및 주파수와 관제소를 중국 홍콩 ABS사에 팔아넘기면서 큰 논란을 빚었던 사건이다. 정부와의 사전 협의나 통보 없이 진행된 이 매각 과정은 황당하고 불투명한 점이 많았던 사건이다. 목차1.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활용2. 지배기업소유주지분 및 ‘비지배지분’2.1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계산3. 매출원가 – 매출액4. 판매비와 관리비…

  • 대차거래 확인 및 공매도 종목 확인 방법

    주식을 대여·상환하는 거래인 대차거래와 빌려온 주식을 장내에서 매도하는 공매도는 상호 연관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대차가 발생한 거래 확인 방법과 공매도 종목의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2개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각각의 방법을 기재할 것이며, 대차 거래 확인 후 실제 일어나는 공매도가 있는 종목의 차이를 확인 후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이 글을 보면 되겠습니다. 대차가 되었다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