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 활용 자산(첫번째)

■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산 =부채+자본 이라는 공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기업이 창업을 하고 기업을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외부차입(부채)과 투자자(주주)의 투자(자본금)가 있습니다.

자산 = 부채+자본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재무상태표’ 의 목적은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마련하여(부채+자본) ⓑ조달한 자금(자산)을 어떻게 활용 했는가 보여주는 표입니다.


Ⅰ. 재무상태표 활용 – 자산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재무상태표’ 의 자산에서 파악해야 할 항목은 ‘유동자산’ 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유동자산’ 에서 중요한 항목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 항목과 매출채권이 얼마나 되는지, 비유동자산 항목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비유동자산’ 에서 유형자산이 기업의 매출을 일으킬 수 있는 주춧돌이 되는 점과  유형자산감가상각비를 체크해 보고 형체가 없는 무형자산을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무상태표 활용 – 유동자산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 유동자산

‘유동자산’ 에는 당좌자산, 재고자산, 기타자산으로 나뉘어 집니다. 중요한 것은 당좌자산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매출채권과 단기금융상품 3가지와 재고자산 항목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재무상태표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보유율 계산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 현금성 자산

현금 및 현금성자산(♧당좌자산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너무 적으면 기업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외부자금을 차입하거나 유상증자 같은 방법으로 자금을 차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업은 직원 급여와 생산설비의 도입 등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손익계산서의 매출액을 재무상태표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나누어 최소 10~20% 정도의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금성 자산이 마이너스(-)거나 10% 이하에서 보유 자산이 적을 수록 기업은 유상증자를 고려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항공우주의 2019년도 재무제표입니다. 21기를 계산했을 경우 3조1천1백억의 매출에서 690억을 나누게 되면 매출 대비 45%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 재무상태표 – 매출채권 확인
한국항공우주 재무상태표

매출채권(Accounts receivable)은 기업이 제품을 판매할 때 외상으로 판매하면서 받아야 할 금액입니다. 수주를 하는 조선업, 장비 및 설비 판매회사가 아닌 제조업이나 그 외 기업 즉, 매출채권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기업이 매출채권이 전년 대비해서 크게 증가한 경우 그 원인에 대해서 확인을 해야 합니다.
또 매출채권이 회수 가능한지 기업의 IR 담당자와 통화가 가능하다면 확인 해 봐야 합니다.
기업의 매출을 매출채권으로 임의로 올려야 할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기업의 사정이 많이 어려울 경우 등을 고려하여 안 좋은 징후로 보고 차후 주가가 내려갈 가능성 등을 염두 해 두어야 합니다.
‘한국항공우주 재무상태표’ 및 전체적인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제조업 기업이면서 항공산업의 카테고리에 있는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 재무상태표’ 를 확인하면서 재무제표 주석 사항에서 추가 확인한 매출채권 내용입니다.

한국항공우주(047810)의 2019년 제20기 매출채권이 2,042억에서 3,425억으로 1,400억 늘어났지만 재무제표 주석 사항의 당기와 전기의 대손상각비 금액(천원단위)은 94억과 8억 가량으로(매출채권 처분손실 부분도 있지만 금액이 크지 않아 사진에는 기재하지 않음) 손실이 크지 않음을 확인했습니다.
21기에는 매출채권 금액이 3,415억으로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재무제표 주석을 바탕으로 크게 걱정할 필요 없이 2020년도에도 매출채권을 확인하고 ‘한국항공우주 재무상태표’ 의 다른 항목을 보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재무상태표를 보다 보면 전년 도의 매출채권의  대손상각비 및 매출채권처분손실 금액으로 인하여..
당해 년도의 영업이익이 손실이 난 경우를 확인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매출채권 금액의 변동을 꼭 확인해 봐야 합니다.

1.3 재무상태표 – 대손상각비

대손(bad debt)은 불량채권이며, 연결재무상태표의 유동자산 항목의 매출채권은 대손충당금이 포함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매출채권 중에서 받지 못한 금액을 대손충당금(미리 설정)으로 차감합니다. 매출채권에서 차감된 대손충당금은 회계 년도 말에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재무상태표를 보기를 권장합니다.

결국 기업 매출 증가 없이 매출채권이 증가하면 >> 대손처리를 하게 되며, 대손처리된 대손상각비는 대손충당금으로 쌓이게 됩니다.

1.4 재무상태표 –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기업 성장할수록 기업의 매출이 늘고 재고자산도 증가하게 됩니다.
매출채권의 경우처럼 기업의 매출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재고자산의 증가가 뚜렷하다면, 그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또한 재고자산이 동종업 대비 과도하게 적은 경우도 살펴봐야 합니다.
기업의 매출이 늘어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지만 제품의 부족으로 제품 판매를 늘리지 못 할 경우도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운전자본은 유동자산과 재고자산으로 운영됩니다. 그 중 유동자산의 당좌자산(매출채권,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재고자산 항목을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늘어나면, 운전자본의 필요성으로 유상증자나 외부차입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주가의 악영향이 생길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유동자산의 재고자산이 증가하면 -> 유동자산의 규모는 커지지만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감소하거나,
자산 = 자본 + 부채의 공식이 성립되어 부채나 자본이 유동자산의 증가만큼 증가해야 합니다.(외부차입 or 유상증자 등)
재고자산은 조선업이나 반도체처럼 수주를 하는 업종의 기업인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매출 증가를 예상해 볼 수 있지만 수주를 바탕으로 하는 기업이 아닌 경우에는 합리적인 의심을 해 봐야 합니다.


2. 재무상태표 활용 – 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재무상태표 활용’ 을 위한 항목의 유동자산에 이어 ‘비유동자산‘ 은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으로 나뉘어집니다.

2.1 재무상태표 – 유형자산

그 중에 특히 유형자산이 비유동자산 항목 중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항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 기업의 경우 보유한 자산 중에 특히 유형자산(설비 등)의 규모가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제조업체가 유상증자 등과 같은 방법으로 자본 조달이 어려운 경우 유형자산의 기계설비를 담보로  외부차입을 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보통 제조업체의 평균적인 유형자산 규모는 30~60%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조선 업종 같은 경우는 매출액 대비 90% 정도의 유형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감가상각으로 보는 유형자산 : 제조업체가 매출 증가를 위해 유형자산(설비 등) 취득을 했으나 매출이 크게 오르지 않은 경우 감가상각누계액은 기업에 부담이 되어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2.2 재무상태표 – 무형자산

‘재무상태표’ 의 무형자산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영업권개발비입니다. 영업권은 권리금의 개념으로 기업 인수에서 추가로 발생한 프리미엄으로 보면 됩니다.
해당 프리미엄 금액을 측정한 것이 무형자산 항목의 영업권입니다. 개발비는 제약 회사 등에서 신약 개발 등과 같이 발생한 비용을 이야기 합니다.
제약회사의 무형자산(개발비) 처리는 차후 신약 개발의 실패하는 경우 손상 처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내용입니다.
(손상차손이 큰 금액으로 발생한 경우 해당 기업의 주가는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재무제표 주석 : 재무제표 주석 항목에서 개발비의 손상차손(손상 처리된 금액) 처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엘앤에프 기업분석: 사업보고서 | 양극재 대표주

    엘앤에프는 양극재의 원료인 양극활 물질의 생산 및 판매가 매출의 100%를 차지하는 기업입니다. 화석 연료를 중심으로 움직이던 자동차가 하이브리드와 전기자동차로 바뀌어 가고 있고, 이에 탑재될 2차 전지에 대한 기대와 수요 또한 증가와 더불어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주요 제품 구체적 용도 매출비중 양극활물질 양극활물질 등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100.00% 아울러 디지털 경제의…

  • 쿠팡 나스닥 상장(2021년 3월 11일)

    쿠팡 나스닥 상장이 2021년 3월 11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서(NYSE)에서 진행되었다. 당일 공모가인 35달러에서 40.71%(14.25달러) 오른 49.25달러에 거래가 마감되었다. 거래량은 9천만주였다. 쿠팡의 기업공개(IPO) 주식은 1억 3천만주이며 NYCE에서 ‘CPNG’라는 종목 코드를 가지게 되었다. 쿠팡 시총은 약 886억 5000만달러(한화 100조 4000억원)으며 한국 기업들 중에 SK 하이닉스(99조 7367억원), 삼성전자 9489조 5222억원) 다음으로 시총 2위 규모이다. 2014년 알리바바 상장…

  • 2023년 3월 10일 발생한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배경은?

    실리콘 밸리 은행(Silicon Valley Bank, SVB)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실리콘밸리)를 거점으로 1983년 10월 17일 설립 된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큰 상업 은행이었습니다. 2023년 3월 10일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은 전 세계 경제에 악 영향을 끼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캐나다, 중국, 덴마크, 독일, 인도, 이스라엘, 스웨덴에 해외 지사가 있었으며, 스타트업 기업들의 주 거래 은행인 SVB가 파산한 배경과 직접적인…

  • 대차거래와 대주거래 공매도의 2가지 종류

    대차·대주에 의한 거래는 주식을 빌려 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목차■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Ⅰ. 재무상태표 활용 – 자산1. 대차거래 주식 대여자와 차입자 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기관투자자와 증권사 사이의 거래이며, 증권사는 일정 수수료를 받고 기관투자자에게 주식을 대여해 줍니다. 기관은 빌린 주식을 공매도 하게 됩니다. 보통 주식대여에 동의한 개인투자자의 주식을 대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아래는 신한금융…

  • 리플레이션이란

    리플레이션reflation은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하락한 물가를 정상적인 수준까지 올리되 인플레이션이 되지 않을 만큼 안정적인 ‘통화팽창’을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안정적인 물가 상승이 이루어지는 상황인 것이죠. 리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벗어났지만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정도의 물가 상승 2021년 2분기 미국 FED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막기 위해 통화 긴축정책을 할 것입니다. 금리인상 보다는 테이퍼링을…

  • OECD란? | 1961년 출범한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역할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영향력 있는 세계적인 국제 기구 중 하나입니다. 1948년 미국의 마셜 플랜을 지원받았던 유럽경제협력기구(OEEC,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가 출발점이었으며, 1961년에는 미국과 캐나다가 합류하여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가 생성되었습니다. 이 기구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매년 5월 경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OECD 본부에서 열리는 각료이사회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