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주가 전망: 2021년 엇갈리는 전망

한국전력공사 주가는 2021년 1월 22,000원 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 주가 전망 및 수익성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시가총액 14조 6,689억원
  • 시가총액순위 코스피 26위
  • 상장주식수 641,964,077

한국전력공사는 2018년~2019년 2년 동안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한해 동안의 성적은 어떤지 살펴 보겠습니다.

한국전력공사 주가

1. 한전 사업의 내용 및 전망

한전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기업입니다. 정식 명칭은 한국전역공사입니다. 영문명은 KEPCO(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입니다.

2020년 9월(11월에 나온) 분기보고서를 기준으로 설명 드립니다.

한전 - 소속된 회사

사업부문 별 요약한 재무에 관한 사항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한국전력공사 - 사업부문

한전의 우리나라 전력 판매량은 산업용이 54.3%, 일반용이 22.7&, 주택 용이 15.1%, 나머지 기타 부문이 7,9를 차지합니다. 시장 점유율은 구역전기사업자의 판매지역을 제외하고 독점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력 판매량은 3년 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한전 전력 판매량

해외 원자력발전 사업, 해외석탄화력발전 사업, 해외 가스복합 발전 사업, 해외 송배전개발 사업, 해외신재생발전 사업, 스마트그리드 사업,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사업, 국내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산업부문별 재무 정보입니다.

산업부문별 재무 정보 - 2020년 9월 분기보고서

2. 한국전력공사 매출

주요재무정보2120.12(E)2019.122018.122017.12
매출액(억원)584,651591,729606,276598,149
영업이익(억원)37,462-12,765-2,08049,532
당기순이익(억원)17,046-22,635-11,74514,414

2020년 이전의 매출은 컸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적자를 봤습니다. 하지만 2020년에는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예상되며 2만원 이하의 주가가 한 때 최고 3만원 대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정부의 전기요금 개편안으로 차후에도 중.장기적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분기 흑자 전환은 코로나로 인한 유가 하락으로 연료비 감소 원인이 제일 큽니다.)

그동안의 적자로 인한 ROE 성적이 나쁜 건 당연하고 신경 쓸 이유는 없는 것이겠죠. 여기에서 봐야 할 점은 높은 PER 보다는 PBR이 0.21 배로 매력적인 PBR과 BPS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부채비율도 꾸준히 늘어 200%에 점점 근접하는 상황이지만 코스피 시 총 26위의 공기업인 점을 감안하고 볼 수 있겠습니다.

주가가 앞으로 오를 지를 추가적인 정보를 찾아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3. 한국전력공사 배당금

한국전력공사 배당금은 이전 2년 간 지급되지 않았습니다. 기존에는 2~4%의 배당 성향을 보였습니다. 2021년에 한국전력공사 배당금이 발표될 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안정성이 보장된 기업임은 틀림 없지만 현재 코스피 지수가 3000 대로 오른 모멘텀이 작동한 시기에 코스피 상위 종목에도 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주가는 2020년 12월 짧은 기간에 올랐다 다시 내려온  상황입니다.

포트폴리오를 투자를 한다면 투자 비중을 많이 하는 것보다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항목에 넣어서 투자하는 것 도 방법일 수 있겠습니다. 한국전력공사 배당금을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다른 요인을 보고 투자를 하는 게 더 나을 것으로 보입니다. 더 높은 배당금을 안정적으로 주는 기업은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전력공사 주가 전망은 3년 만에 영업이익을 회복했다는 점과 정부의 전기 요금 개편안을 지켜봐야 할 것으로 확인되며, 독점 공기업이라는 메리트를 봐야 할 것입니다. 대신 흑자일 때도 낮은 ROE와 높은 PER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현금 및 현금성자산 차이와 분류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의 자산 계정 과목에 속하는 현금성자산(cashable Assets)은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유동성이 높은 단기금융상품을 뜻합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 차이와 분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한전 사업의 내용 및 전망2. 한국전력공사 매출3. 한국전력공사 배당금1. 현금 현금의 종류는 2. 현금성자산 앞서 언급한 ‘현금성자산’은 3개월 이내 큰 거래 비용 없이…

  • BIS 자기자본비율 8%

    BIS 자기자본비율(Capital adequacy ratio)은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이 일반 상업은행에 권고하는 자기자본비율 수치입니다. BIS는 국제결제은행의 약자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IS는 자기자본비율이 8% 이상일 경우 안정적이라고 판단하여 합격점을 주고 있습니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BIS비율이라고 줄여서 말합니다. 자기자본비율은 자기자본을 총자산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목차1. 한전 사업의 내용 및 전망2. 한국전력공사 매출3. 한국전력공사 배당금 1. BIS비율 공식…

  • 힌덴버그 리서치: 행동주의 공매도 세력의 폭로 > 힌덴버그 리포트

    힌덴버그 리서치(hindenburgresearch)는 대표적인 행동주의 공매도 세력 중에 하나입니다. 공매도에 중점을 둔 투자 조사 회사입니다. 행동주의 공매도 투자자는 hindenburg-research 외에 ‘퀀트 에센셜 캐피털 매니지먼트’, ‘머디워터스‘, ‘애쉬 일루미네이션’, ‘제이캐피털 리서치’ 등이 있습니다. 목차1. 한전 사업의 내용 및 전망2. 한국전력공사 매출3. 한국전력공사 배당금 1. 행동주의 공매도 세력이란? 행동주의 공매도 투자자’로도 불리워 집니다. 이들은 공매도를 목표로 웹…

  • ETF 상장지수펀드: ETF 종류 및 특징

    ETF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ETF 거래 대금이 2020~2021년 기간 동안 주식 거래대금을  넘는 기간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코스피나 코스닥, 그리고 원자재, 채권 등과 같은 지수에 맞춰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입니다. ETF(상장지수펀드)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하여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하게 거래할 수 있게 끔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기존 펀드의 대안이라고 생각해도 좋은 점은 코스피 지수를…

  • 금본위제란? BC 700년 시작된 금본위제도 역사

    금본위제Gold Standard)란 화폐를 금의 가치로 환산한 것입니다. 금본위제도(Gold Standard System)는 지정된 금의 양을 자국 통화 가치와 고정하거나 연결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금본위제를 사용한 국가의 중앙은행은 세 가지의 통화 정책 기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고정된 가격의 법정 화폐를 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지하여 물가 안정 ⓑ 환율 방어 ⓒ 국제수지 불균형의 안정적인 조정 목차1. 한전 사업의…

  • 손익계산서란?

    ‘손익계산서’ 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입니다. 우리는 투자한(주식 or 채권) 기업의 매출을 분기, 반기, 년도 별로 사업계획서의 재무제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년 정도 또는 그 이상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라면 기업의 매출(또는 영업이익이나 당기순이익)의 변화에 따라 투자한 기업의 주가가 내려가거나 급등했던 경험을 했을 것입니다. 주식 투자 시 ‘손익계산서’ 에서 기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