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SEO란? 인터내셔널 SEO 정의

특정 웹사이트를 보면 다국어 기능을 가진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SEO(Global SEO) 또는 인터내셔널 SEO(International SEO)로 부르며, 해외 SEO 시장 공략을 위한 인터내셔널 SEO 전략은 어떤 방식을 취해야 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글로벌 SEO: 인터내셔널 SEO란?

해외 SEO 시장 공략을 위한 International SEO 전략은 어떤 방식과 개념의 접근이 필요할까요? 우선 기본 사항은 해당 국가의 언어로 웹사이트 콘텐츠가 번역이 되어야 하는 점이 중요합니다. 여러 언어와 여러 위치에서 최적화 된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인터넷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운영한다고 했을 경우 한 국가를 넘어 다른 국가에서 판매를 하고 싶은 경우 특정 국가의 언어와 최적화 된 속도가 필요하겠지요.

  • 인터내셔널 SEO 조건
  • 국가의 언어 및 지역 최적화(속도 등)

해외 SEO 공략: 다국어 사이트 도메인 설정

특정 국가 지역과 언어를 타겟으로 한다면 도메인 주소의 설정을 3가지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습니다.

국가 최상위 도메인: example.en
하위 디렉토리 사용: example.com/en
하위 도메인 사용: en.example.com

3가지 경우 모두 전혀 다른 사이트 또는 동일한 사이트에서 번역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국가 최상위 도메인

국가 최상위 도메인의 경우 특정 지역을 타겟으로 삼아서 마케팅을 할 수 있습니다. SEO 측면에서 해당 국가의 코드나 종속되는 언어 등으로 더 수월한 유기적 트래픽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서브 디렉토리 or 서브 도메인 사용

하위 디렉토리 or 하위 도메인 사용의 경우 구글이 밝힌 바에 따르면 하위 도메인(서브 도메인)은 같은 주제를 다룰 때 루트 도메인과 경쟁하게 됩니다. 차후에 다른 변동 사항이 있을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서브 폴더의 경우 적은 콘텐츠를 게시한 웹사이트일 경우 주제가 광범위해져 유기적 트래픽을 끌어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물론 광범위한 주제를 기준으로 많은 양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다면 서브 폴더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의 경우 서브 도메인을 사용해서 다국어 사이트를 구축했습니다. 하위 폴더와 하위 도메인에 대한 어떤 것이 더 좋다는 정확한 정답은 없다는 것을 구글링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사용 상의 장·단점만 있을 뿐 SEO와 크게 연관 없이 둘 다 동일한 조건의 고품질 콘텐츠라면 의미가 없다는 내용이 주류입니다.

인터내셔널 SEO의 사례: 위키피디아 서브도메인 사용 예

글로벌 SEO 필수: 지역 특화 속도 최적화

서비스 하려는 지역에서도 속도가 최적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해당 지역의 가까운 호스팅 서비스 또는 CDN 서비스를 고려해야 합니다. 둘 중 하나 또는 두 개의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지 결정을 해야 합니다. 웹사이트의 평균 로딩 속도는 점점 빨라지며 현지보다 더 느린 웹사이트는 방문자 이탈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SEO를 위한 CDN(콘텐츠 배달 네트워크)

기존의 SEO에서 다른 국가를 포함한 국제 SEO(International SEO)를 목표로 한다면 필수 사항은 ⓐ 최적화된 현지 속도, ⓑ 지역 특화 언어(다국어 사이트) 두 가지를 필수 요소로 둬야 합니다. 특화된 언어로 서비스 한다면 변경 된 언어가 현지에서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가 되어야 하는 것 역시 기본이지요.

추가로 할 수 있는 고려 사항

  • 현지의 로컬 IP 호스팅 서비스 사용
  • 해당 지역의 웹사이트로부터 아웃바운드 백링크와 같은 링크빌딩 전략
  • 러시아의 Yandex 등의 현지화 SEO 전략 수립
노트에 적은 SEO(검색 엔진 최적화)

Similar Posts

  • 카카오톡 엑셀 테마 설정 방법(PC버전)

    윈도우 PC에서 카카오톡 엑셀 테마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무실 PC로 엑셀 테마를 쓰시는 직장인 분들도 많이 계실텐데 완벽한 위장은 아니더라도 일 하는 것처럼 보이는 설정 방법입니다. 목차글로벌 SEO: 인터내셔널 SEO란?해외 SEO 공략: 다국어 사이트 도메인 설정1. 국가 최상위 도메인2. 서브 디렉토리 or 서브 도메인 사용글로벌 SEO 필수: 지역 특화 속도 최적화추가로 할…

  • 정보형 블로그 콘텐츠 패턴 4가지 정리

    정보 중심의 정보형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려고 할 때 다소 제목이나 내용이 식상하거나 막상 글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H1 제목부터 H2 이하 소제목이 어색하게 바뀌는 등, 막상 제목이나 본문 구성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생각한 것이 좋은 내용이고 훌륭한 아이디어와 독창적인 내용이 맞음에도 이 내용을 글 안에 녹여 내는 건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정보…

  • [GA4] 애널리틱스 기본 보고서와 라이브러리 활용 맞춤 보고서 만들기

    웹사이트와 앱 분석을 위한 GA4 보고서를 도입했지만 용어와 설정 방법 등에서 데이터 활용 방법을 어떻게 할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GA4 애널리틱스 기본 보고서’의 유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글로벌 SEO: 인터내셔널 SEO란?해외 SEO 공략: 다국어 사이트 도메인 설정1. 국가 최상위 도메인2. 서브 디렉토리 or 서브 도메인 사용글로벌 SEO 필수: 지역 특화 속도 최적화추가로 할…

  • HTTP란? HTTP 헤더와 상태코드 2xx 등의 의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W3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통신 플랫폼에 웹 사이트를 로드할 때 사용되며 인터넷에서 데이터(HTML, CSS, 이미지, 비디오 등)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목차글로벌 SEO: 인터내셔널 SEO란?해외 SEO 공략: 다국어 사이트 도메인 설정1. 국가 최상위 도메인2. 서브 디렉토리 or 서브 도메인 사용글로벌 SEO 필수: 지역…

  • [SEO]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란? | 10가지 SERP 리스트

    검색엔진최적화(SEO)에 대한 관심이 한국에서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구축한 웹사이트를 단순하게 광고하는 방식이 아닌 자연 검색 트래픽으로 방문자를 늘리는 방식이지요. 구글은 사용자 경험을 포함 정보성 글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AI가 등장한 이후 더더욱 이 추세는 강해지고 있습니다. 웹사이트의 글(Post)이 구글 첫 페이지부터 나오는 자연 검색 결과를 포함한 다양한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Search Engine Result Page)에는 어떤…

  • 검색엔진 점유율 순위-구글vs네이버(2022년 1분기)

    구글의 전세계 검색엔진 점유율은 92%로 독점적인 시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검색엔진은 오랜 기간 네이버와 다음이 양분했지만 다음의 점유율은 5% 대로 하락하고 ‘구글vs네이버‘로 국내 검색엔진 시장은 양분화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국내 점유율이 30%를 넘게 된 것은 2019년 부터입니다. 목차글로벌 SEO: 인터내셔널 SEO란?해외 SEO 공략: 다국어 사이트 도메인 설정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