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튤립 버블

‘튤립 버블’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과열 투기 현상입니다. 자본주의 역사 중 최초로 발생한 버블 사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7세기 당시 네덜란드는 금융과 무역이 발달한 황금기였습니다. 튤립 파동(Tulip mania)으로 알려진 이 버블은 튤립 구근의 가격이 폭등 후 폭락하면서 버블이 꺼진 사건입니다.

1. 튤립 버블의 배경 및 역사

튤립의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의 톈산 산맥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지속적인 확장 중에 튤립을 발견했습니다.몇 종의 튤립을 재배하여 품종이 개량되면서 옷의 문양이나 그림에 넣었습니다. 이후 16세기 중반인 1554년 오스만 제국(튀르키예)에서 신성 로마 제국의 대사인 ‘오지에 드 부스베크’가 비엔나로 최초의 튤립 구근과 씨앗을 가지고 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기는 감자, 고추, 토마토 등의 채소가 유럽으로 들어온 시기이기도 합니다.

네덜란드 공화국에서 튤립 농사는 플랑드르의 식물학자인 샤를 드 레클루제(Charles de l’Écluse)가 레이던 대학교에 소포로 튤립을 보낸 뒤 1593년 무렵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샤를은 튤립 구근을 심은 후 튤립이 저지대 국가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튤립(Tulip)

1600년경부터 1720년경까지 세계에서 1인 당 소득이 가장 높았습니다. 당시 암스테르담의 상인들은 한번의 항해로 400%의 이익을 내는 동인도 무역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1602년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인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설립된 시기이기도 합니다.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후 무역으로 부흥기를 맞이한 네덜란드에서 튤립은 더 할 나위 없는 부의 상징이 되어 갔습니다.

세계 최초의 증권거래소

1.1 튤립과 다른 꽃들의 차이

이제까지 유럽에 알려졌던 꽃들과 달리 튤립은 강렬한 꽃잎 색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부유층 사이에서 튤립은 빠르게 탐나는 사치품이 되었고 다양한 품종이 뒤따랐습니다.

이국적으로 보이는 튤립은 그룹으로 분류되어 빨간색, 노란색 또는 흰색의 단색 튤립은 Couleren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색은 Rosen (빨간색 또는 분홍색 배경에 흰색 줄무늬), Violetten (보라색 또는 라일락 배경에 흰색 줄무늬), 가장 희귀한 것은 Bizarden or Bizarres (빨간색, 갈색 또는 보라색 배경에 노란색 또는 흰색 줄무늬)입니다. 꽃잎의 복잡한 선과 불꽃 같은 줄무늬의 다색 효과는 생생하고 장관을 이뤘습니다. 

구근에서 자라는 튤립은 꽃으로 자라면 원래 구근은 사라지지만 그 자리에 여러 개의 새싹처럼 복제 구근이 형성됩니다. 현대 금융 시스템의 많은 부분을 개발한 네덜란드인들은 튤립 구근 시장을 만들었습니다.

2. 튤립 버블의 시작과 붕괴

네덜란드 튤립 버블(Tulip mania)

튤립 거래는 증권 거래소가 아닌 술집에서 열렸습니다. 거래에서 현물 및 현금은 필요 없었으며, 내년 4월에 지불할 때 구근을 배달하는 것으로 계약이 성사 되었습니다. 이러한 ‘선물 거래 시스템‘은 자본금이 없는 사람도 거래를 할 수 있었습니다. 본격적인 버블은 1634년에 시작되어 1637년 2월에 붕괴를 맞이합니다.

1637년 2월 3일 튤립의 거래 가격이 갑자기 폭락합니다. 구매자를 전혀 찾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수요와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 ‘투기 거품’이 터졌습니다. 당황한 튤립 투기꾼들은 네덜란드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고, 네덜란드 정부는 향후 구근 구매 계약을 체결한 사람은 누구나 10%의 수수료를 지불하면 계약을 무효화할 수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당시 지불을 할 수 없는 채무를 가진 투기꾼들은 3,000명 정도였다고 합니다. 채권자와 채무자의 말다툼과 채권자가 채무자가 되는 상황, 법정 다툼, 그 어떤 것도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네덜란드의 튤립 버블 붕괴는 네덜란드 전역의 경기 침체를 만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회계 자산이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2가지 분류

    목차1. 튤립 버블의 배경 및 역사1.1 튤립과 다른 꽃들의 차이2. 튤립 버블의 시작과 붕괴 ■자산이란? 자산이란? 재무상태표의 자산(Assets)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회계 기준으로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자산을 유동자산(Current Assets)이라고 부르고,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비유동자산(Non-Current Assets) 또는 고정자산이라고  합니다.(from 재무상태표 ) ‘유동자산‘ 은 현금,주식,사채 등을 말하며, 유동자산이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3번째)

    목차1. 튤립 버블의 배경 및 역사1.1 튤립과 다른 꽃들의 차이2. 튤립 버블의 시작과 붕괴 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 의 기본은 ‘자산 = 부채+자본’ 의 공식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전에 자산 및 부채 항목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자본‘은 투자자의(주주) 자본금으로 자본 형성이 됩니다….

  • 이자소득세 종류: 일반과세, 세금우대, 비과세

    ‘이자소득세’란?  말 그대로 이자소득에 대해 붙는 세금입니다. 이자 소득세는 보통 3 종류로 나뉘어 집니다. 이자 소득세 일반 과세 세금우대 과세 비과세 세율 15.4% 1.4% 0% 세율 상세 이자 소득세 14% 주민세 1.4% 농어촌특별세 1.4% – 목차1. 튤립 버블의 배경 및 역사1.1 튤립과 다른 꽃들의 차이2. 튤립 버블의 시작과 붕괴1. 일반과세 은행에서 15.4%의 세율(소득세…

  • 2차 전지 관련주: 삼성 SDI 개요

    삼성 SDI(Samsung Display Interface)는 한국의 IT 기업이며 삼성그룹의 전자 계열사입니다. 브라운관, PDP, OLED 등 디스플레이 제품이 주력이었으나 사업 영역을 넓혀 2000년 리튬이온 위주의 2차 전지 사업에도 진출하였습니다. 1970년 1월 20일 삼성-NEC 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1979년 1월 29일 기업공개를 실시하여 1979년 2월 27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또한 1999년 11월 29일 디지털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 PBR과 BPS의 정의: 주가순자산비율과 주당순자산

    ‘PBR과 BPS의 정의‘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튤립 버블의 배경 및 역사1.1 튤립과 다른 꽃들의 차이2. 튤립 버블의 시작과 붕괴 1. PBR: 주가순자산 비율 ‘PBR‘이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rice to Book Ratio : 주가 순자산 비율) PER 및 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 지표입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 = 현재주가 ÷ 주당 순자산(BPS) PBR (주가 순자산 비율)은…

  • 미시시피 버블(1720년)

    근대 유럽의 3대 버블은 영국의 남해회사 버블, 네덜란드 튤립 버블, 프랑스의 미시시피 버블이 있습니다. 버블이란 실제 가치보다 고평가 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프랑스의 미시시피 버블Mississippi Bubble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미시시피 회사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1. 튤립 버블의 배경 및 역사1.1 튤립과 다른 꽃들의 차이2. 튤립 버블의 시작과 붕괴 1. 미시시피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