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세금과 시뇨리지

인플레이션 세금‘이란 공식이 성립하는 이유와 ‘시뇨리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

현대 사회 ‘인플레이션 세금 공식’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조 화페(금화,은화 등)의 시뇨리지 역사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

시뇨리지Seigniorage‘는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를 시뇨르Seigneur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봉건 시대 국왕과 영주는 조폐소에서 금화 또는 은화를 화폐로 찍어 낼 권한을 가지고 금속의 원가 및 화폐 액면가에서 차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0원 짜리 동전 1개를 만드는 데는 10원보다 워가 비용이 더 들어갑니다.(구리 외) 반대로 만원 짜리 지폐를 만드는 데는 1,000원 이하의 제조 원가가 들어가 9,000원의 이익이 나며 액면가를 뺀 비용을 화폐주조차익, 프랑스어로 ‘Seigniorage‘라고 합니다.

중세 프랑스의 시뇨르는 금화나 은화 등을 제조할 때 실제의 금화 가치보다 더 적은 금을 다른 불순물과 함께 섞음으로서 액면가 차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1.1 로마의 인플레이션

로마가 망한 이유 중 하나는 역시 Seigniorage의 역사에서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초창기 로마의 주화(금화&은화)는 실물적 가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귀금속 함유량보다 주화의 가치는 조금 더 높았거나 비슷했을 것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주화의 무게와 함유량은 점점 변하기 시작합니다.

BC 211년 2차 포에니 전쟁 중에 발행되기 시작한 데나리우스(은화)는 여러 나라에서 인기 있는 화폐였습니다. 아우구스투스 시절 순도 100%의 화폐 였으며, 네로 황제의 개혁으로 92%로 낮아진 후에도 상업적인 가치는 지속되었습니다. 데나리우스의 순도는 점점 하락하여 기원 후 3세기에 순도가 5%까지 하락합니다.

인플레이션 세금-데나리우스

이에 ‘데나리우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A.D 284년~305년 재위)의 화폐 개혁으로 인하여 주조된 ‘안토니니아누스’가 기원전 211년에 주조되어 유통되었던 데나리우스의 두배 가격으로 대체되었습니다. 하지만 ‘데나리우스’의 명목상 두배 가치를 가진 ‘안토니니아누스’는 ‘데나리우스’의 은 함유량 1.6배보다 높았던 적이 없으며, 전쟁과 정치적 불안정성 등으로 ‘안토니니아누스’의 가치는 하락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 세금-안토니니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물러난 후 콘스탄티누스 대제(A.D 306~337년 재위)는 개혁을 시행하여 솔리두스(solidus) 금화로 데나리우스(은화)를 대체하게 되며 안정을 되찾으며, 초창기 솔리두스는 98.8%의 순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물론 솔리두스도 순도는 떨어지게 되지만 1,000년 간 유통된 화폐입니다.

시뇨리지-솔리두스 금화

2. 인플레이션 세금

Seigniorage‘ 효과를 통해 로마 시대 및 중세 봉건 시대 프랑스에서 ‘인플레이션 세금‘이란 공식이 적용되는 이유를 알아 봤습니다. 현대 사회 중앙 정부는 ‘중앙은행‘을 통해 화폐를 발행할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폐를 발행하는데 있어 주조 비용만 들어갈 뿐 발행해서 얻는 차익은 정부의 몫으로 고스란히 정부의 수익이며, 현대 사회의 Seigniorage라고 합니다. 찍어 낸 화폐는 시장에 화폐의 유통이 늘어나며 인플레이션을 가져오게 됩니다. 물가 상승은 국민이 부담하며, 화폐의 결제 중에 발생하는 부가세를 포함한 각종 세수는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현대의 Seigniorage로 인한 정부가 가져가는 금액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세금’ 공식은 큰 수익이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보여집니다.

방금 설명한 이유 및 그 외 이유들로 인하여 화폐 거래를 하는 모든 이들에게 인플레이션은 세금이라는 공식이 성립할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은 일상 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세금이라는 공식을 인지하긴 어렵습니다.

화폐 발행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국채 발행처럼 민간에 부담을 주지 않는 좋은 방법인 것 같지만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을 보유한 측에는 큰 부담이 없겠지만 월급을 받는 현금소득자인 직장인은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한 고통을 감내해야 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1·2종 근린생활시설

    ‘건축법시행령’에 따라 근린생활시설은 1종 근린생활시설과 2종 근린생활시설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 세금 1종 근린생활시설 우리 주변 즉, 동네에 꼭 있어야 하는 시설들입니다. 슈퍼마켓, 일용품점 등은 바닥면 합계가 1,000m2 미만이어야 되며, 휴게음식점 및 제과점 경우는 바닥면적 합계가 300m2 미만이어야 하는 조건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해당 조건의…

  • 크로스 라이센스(Cross License) 및 사례 및 특허소송 승률 100% 서울반도체

    교차 라이센스 > 크로스 라이센스(Cross License)는 취득한 특허에 대해 상호간에 교차 사용이 필요할 경우 필요성에 의해 집단(보통 기업)간의 계약입니다.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 세금 1. 크로스 라이센스(Cross License)란? 서로의 필요성에 의해 크로스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한 두 집단은 상대 집단의 특허(지식재산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가치가 동등할…

  •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 세금 ■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3가지 항목에 대해 전자 공시 사이트 DART에서 알아 보겠습니다. □증자 (회사의 자본 증가) 증자란 주식회사가 회사의 주식 총 수 를 늘려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주식의 수를 줄이는 경우…

  • 주식의 무차입공매도와 차입공매도 차이점

    공매도는 무차입공매도(naked short selling)와 차입공매도(covered short selling) 2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차이점은 자산을 빌리지 않고 공매도를 한 것과 자산을 빌린 후 공매도를 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 세금1. 무차입공매도 (naked short selling) 먼저 주식을 보유한 사람으로부터 주식을 대차 하거나 대차 할 수 있는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 [경기 사이클]경기 불황(Economic Depression)

    경제는 순환합니다. 경기 침체(Recession)보다 더 안 좋은 상황인 경기 불황(Economic Depression)은 어떤 상태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역사적 사건에 가까운 불황들이 있으며, 경기 침체가 예측할 수 있는 회색코뿔소라면, 불황은 예측할 수 없는 블랙스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 세금1. 경기 불황 조건 많은 경제학자들이 불황으로 보는…

  • [Self Employment] 상호와 간판&배너의 수식어

    상호 아래 간판에 수식어를 넣을때 ‘물회 전문점’이 아닌 ‘물회와 황태국이 정말 맛있는 집’ 등으로 수식어를 넣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상호 및 간판 그리고 배너의 수식어는 어떤 매장인지를 고객에게 설명하는데 있어 정말 중요합니다.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 세금1. 배너의 수식어 디자인 사무실에서 받은 싸구려 이미지는 버리고, 인터넷…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