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 보는법: 자산=부채+자본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재무상태표 보는법
‘재무상태표’는 ‘자산’ 과 ‘부채’ ‘자본’ (자기자본)이라는 크게 세가지 분류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기업이 창업을 할 경우 자금 조달을 하는 방법은 보통 주주의 투자금(자본금)과 외부차입(부채) 두 가지 방법 있습니다. 조달한 자본과 부채를 어떻게 활용(자산)하였는지를 보여주는 표가 재무상태표입니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을 합쳐서 운영한 것을 말합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과 부채,자본’ 이라는 큰 카테고리 내에서 중요하지 않은 내역을 제외하고 중요한 세부 내역을 체크하여 보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1. 재무상태표 – 자산
‘자산’ 에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그리고 기타자산으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유동자산은 당좌자산과 재고자산, 그리고 고정자산은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투자자산(장기금융자산), 기타(이연자산 등)으로 나뉘어 집니다.
| 자산 |
| ①유동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당좌자산) |
| >단기금융상품 (당좌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상품(당좌자산) |
| >매출채권 (당좌자산) |
| -유동계약자산 |
| -기타유동금융자산 |
| –재고자산 |
| >당기법인세자산 |
| >기타비유동자산 |
| ②비유동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상품 |
| -장기매도가능금융자산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 >종속기업, 공동기업과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 >유형자산 |
| >무형자산 |
| -이연법인세자산 |
| -기타자산 |
| 자산총계 |
2. 부채 / 자본 (자본총계)
‘부채’ 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고정부채)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자본’ 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 부채 | 자본 |
| ①유동부채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
| >단기매입채무 | ①자본금 |
| >기타유동금융부채 | >주식발행초과금 |
| >유동계약부채 | >이익잉여금(결손금) |
| >단기차입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 -선수금 선수수익 | >비지배지분 |
| -단기초과청구공사 | 자본총계 |
| -유동성사채 | -자본과부채총계 |
| >미지급법인세 (당기법인세 부채) | |
| -유동충당부채 | |
| -기타유동부채 | |
| -파생금융부채 | |
| ②비유동부채 | |
| >장기차입금 | |
| >사채 |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
| >퇴직급여부채 비유동충당부채 | |
| >이연세법부채 | |
| 부채총계 |
3. 재무상태표 활용 방법 3가지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