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주 투자 리스크 관리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테마주 투자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테마주 투자에도 주식 투자지표를 우선 적용해서 볼 것을 권장합니다.

1. 테마주 투자 리스크: 투자지표

첫 번째 기업의 PBRPER이 저평가 되었는지, ROE를 보고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염두 해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재무정보

두 번째 재무정보에서 부채비율과 당좌비율이 높은지 기준을 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식 관련 전환사채(CB)를 발행한 내역과 유상증자를 한 내역이 지속적으로 확인된 경우 등 상황을 고려해서 투자 여부를 가려야 합니다.

3. 시가총액

두 가지 투자 리스크를 체크 했을 경우 시가총액을 살펴 봐야 합니다. 시가 총액이 낮을수록 호재에 작용해서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죠. 시가총액이 낮은 품절주를 찾았다면 더할 나위 없는 조건이겠죠.

테마주 투자 리스크

4. 호재와 악재

시가총액까지 체크를 했다면 이제 주가가 오를 호재와 악재를 점검해야 합니다. 호재는 기업의 성장과 경영권 분쟁, 악재는 적자전환이나 기업에 나쁜 이미지가 각인될 사건들을 들 수 있습니다. 뉴스를 통해 호재와 악재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5. 테마주 투자 정리

결국 4번 까지 내용을 바탕으로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 확인하고 최근 3년 정도 기간 동안의 주가 등락과 함께 사업보고서를 통해 재무제표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은 테마주 투자를 하기 전 투자 리스크 관리에 대한 간단한 글입니다. 테마주에만 투자할 수는 없기에 가치주와 성장주 등 중기 및 장기로 투자할 수 있는 주식도 같이 투자하기를 권장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감가상각

    목차1. 테마주 투자 리스크: 투자지표2. 재무정보3. 시가총액4. 호재와 악재5. 테마주 투자 정리■감가상각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감가상각 (減價償却)에서 감가(減價)란 가치가 감소한다는 뜻을 지니며, 상각(償却)은 손해를 보상하여 갚아준다는 원 뜻과 토지를 제외한 고정 자산에 생기는 가치를 계산하여 자산의 가격을 감소 시키는 회계 상의 절차라고 볼 수 있습니다.기업이 소유한 공장과 기계설 비와 같은 비유동자산은 일정 시간이…

  • 포괄손익계산서: 3가지 주요 항목 분석 및 후행지표 활용

    포괄손익계산서(영어: State of Comprehensive Income)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해 회계 기간에 존속하는 모든 수익과 비용을 정리하여 손익을 정리한 표입니다. 기업의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의 실적에 따라 주가의 상승 및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기업의 실적 발표가 있을 때 3가지 항목인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게 됩니다. 목차1. 테마주 투자 리스크:…

  •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 익명의 개발자로부터 시작된 역사

    비트코인Bitcoin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암호화페입니다.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익명의 프로그래머가 시도되지 않은 탈중앙화 디지털 통화를 설명하는 9페이지 분량의 문서를 발행했습니다. 목차1. 테마주 투자 리스크: 투자지표2. 재무정보3. 시가총액4. 호재와 악재5. 테마주 투자 정리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Bitcoin은 개인, 그룹 및 정부 기관이 통제할 수 없는 화폐 및 결제 수단으로 작동하게 설계된 가상화폐입니다….

  • 현금흐름 4분면 규칙과 금융교육과 금융지식:현금흐름 자산시스템

    로버트 기요사키의 ‘현금흐름 4분면’의 법칙은 자본주의에서 시스템 구축으로 돈을 버는 것이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미 2000년에 유명한 책에서 본격적으로 소개한 법칙이 나온 지 20년이 남짓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현금흐름 법칙의 2가지 포인트는 돈을 위해 일을 할지 돈이 나를 위해 일을 할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돈은 복구할 수 있지만 시간은 복구할 수 없다.”고 나폴레옹이…

  • 반독점법이란? 19세기에 시작된 미국 반독점법 역사와 사례

    반독점법(영어: Antitrust Law)이란 특정 기업의 시장 독점을 규제하는 법률입니다. 인수합병과 담합 등의 행동 및 이를 포함한 다른 기업의 시장 진입을 방해하는 불공정 행위 등을 규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목차1. 테마주 투자 리스크: 투자지표2. 재무정보3. 시가총액4. 호재와 악재5. 테마주 투자 정리 반독점법or 독점금지법 역사 19세기 후반 미국 자본주의는 빠른 속도로 독점 자본으로 변질되었습니다. 자유 경쟁을…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목차1. 테마주 투자 리스크: 투자지표2. 재무정보3. 시가총액4. 호재와 악재5. 테마주 투자 정리■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그리고 ‘관계기업‘ 을 재무제표에서 확인 해 보겠습니다.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연결재무제표에서 ‘지배기업’ 이란 다른 회사 즉, 종속기업의 주식을 50% + 1주 이상 보유하면 다른 회사의 ‘지배회사’ 가 됩니다. 경우에 따라 지분율이 50% 이하라 하더라도 지배력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