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란? 펀드와 주식의 차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1. 펀드란?

펀드(fund)는 라틴어로 펀두스(fundus)로 땅의 밑바닥을 의미합니다. 상업적인 뜻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경제학에서 펀드는 투자 신탁의 신탁 재산을 의미하며,투자신탁 회사는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서 펀드를 만들어서 투자를 하는 집합투자 조직을 말합니다.

보통 펀드는 증권사, 그리고 은행에 가서 가입하게 됩니다. 펀드 가입을 해서 펀드로 투자를 하는 대다수의 이유는 주식 및 채권 등의 금융 상품에 직접 투자를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간접 투자를 하게 되는데 그 중 선택지가 바로 펀드입니다.

펀드는 크게 주식형 fund, 채권형 fund 등 상품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집니다. 또 요즘 많이 가입하는 ETF를 들 수 있겠습니다.
일반 직장인의 경우 주식을 공부해서 투자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펀드란

2. 펀드와 주식의 차이

주식에 직접 투자하여 손해를 보는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펀드에 가입하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펀드와 주식의 차이는 주식처럼 투자자가 직접 투자를 하는 대신에 전문가인 펀드 매니저가 주식과 채권에 직접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투자자는 fund에 간접 투자를 하게 되는 겁니다.

물론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할 때의 수수료 보다 좀 더 많은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펀드 투자는 예금자 보호법이 적용되지 않는 금융 상품이기 때문에 펀드를 고를 때 신중해야 합니다.

증권사와 은행에서는 최근 몇 년이나 몇 개월 동안 이미 오른 펀드에 대해서 추천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를 인지하고 fund 종목을 골라야 합니다. (은행은 비가 올 때 우산을 빼앗아 간다는 말이 있죠.)

주식이나 펀드 역시 사람들의 관심으로 이미 많이 올라 있다면 이후에도 ROE를 그대로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을 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주식 시장의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최근 몇 년 중 많이 내려간 상태일 때 직접 투자가 어려운 경우 펀드를 알아 보는 것도 재테크의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uknew.co/etf-%ec%83%81%ec%9e%a5%ec%a7%80%ec%88%98%ed%8e%80%eb%93%9c/
네이버지식백과:펀드, 펀드와 신탁상품 대해부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리튬이온 배터리 개요: 4가지 구성 요소와 종류

    2차 전지의 한 종류인 리튬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 Li-ion battery)는 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전지입니다. 반대로 충전 시에는 리튬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여 제자리를 찾게 됩니다. 기존의 1차 전지인 리튬 전지와 다르며 고체 폴러머를 이용한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와는 다른 분류로 볼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기억 효과가…

  • 변리사법 시행령 개요 및 제5조의3 | 변리사란?

    상표 및 상표권 및 특허 등의 산업재산권을 특허청에 등록하려면 보통 변리사 사무실을 찾게 됩니다. 변리사가 하는 업무는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법률업무(산업재산권: 상표 및 특허 등의 출원, 심판, 소송)를 진행합니다. 법률 업무는 변호사가 담당하는 업무였지만 18세기에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발명에 대한 특허권이 중요해지면서 변리사 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로써 법률 지식만으로는 처리가 어려운 발명 기술과 관련된…

  • 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차이

    재무제표에 대해 처음 접하는 경우 ‘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차이’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기존의 일반 손익계산서에는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확인하기 불가능한 내용의 이익과 손실이 기타손익으로 잡혔습니다. 이에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에 따라 기존의 손익계산서에서 포괄손익계산서라는 기준이 추가 되었습니다. 목차1. 펀드란?2. 펀드와 주식의 차이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차이 포괄손익계산서에서는 자산평가(토지 및 부동산, 주식 포함)…

  • 경제 용어: 주식 섹터 뜻과 경제학의 4가지 Sector

    경제 뉴스 및 신문, 구글링을 하다 보면 섹터(Sector)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섹터는 한국어로 ⓐ부문, ⓑ분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묶을 때 사용하는 단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주식 섹터에 영어 단어 뜻은 알더라도 정확한 의미에 대해 투자자라면 궁금해 본 적이 간혹 있었을 것입니다. ※ 부문: 어떤 사물·현상을 여럿으로…

  • [경제 순환]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이란?

    현재의 민주주의 체제의 자본주의에서 경제는 끊임 없이 순환합니다.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 기간에는 이용 가능한 상품과 서비스가 증가함으로써 가계와 기업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입니다. 경제 팽창, ‘경기 침체’나 ‘경기 불황’ 이후라면 ‘경제 회복(Economic recovery)‘의 시기이기도 합니다. GDP가 증가하며, 경제 순환 저점에서 정점으로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목차1. 펀드란?2. 펀드와 주식의 차이1.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 정의 확장을…

  • 독일 하이퍼인플레이션 배경[1921~1923년]

    20세기 최초의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은 독일의 예전 이름인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독일 하이퍼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은 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독일은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지불할 위기에 놓이게 됩니다. 1차 세계 대전 중 바이마르 공화국은 전쟁 자금 조달을 위해 차입금으로 전쟁 자금을 조달하게 됩니다. 승리를 전제로 패전국에게 전쟁 배상금을 요구할 계획이었습니다. 마르크화의 평가 절하와 전쟁 중에 발생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