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절주 특징 및 조건

품절주란 유동 주식 수가 적은 주식을 말합니다. 품절(品切)의 사전적 의미는 물건이 다 팔리고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영어 뜻으로는 sold out입니다.

품절주는 보통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그럼 특징과 조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서 특징은 필수가 아니며, 조건은 필수라는 사실을 생각하며 보면 좋겠습니다. 특징이 조건이 될 수도 있지만 필수와 필수가 아닌 경우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조건이 필수가 될 수도 있으며 필수가 조건이 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생각하여 글을 보면 되겠습니다.

1. 품절주 특징 및 조건

1.1 최대주주 지분(품절주 특징)

품절주 특징으로는 최대주주 지분 등이 많은 이유로 유통되는 유동 주식 수가 적은 경우입니다.

1.2 유통주식 수(품절주 조건)

품절주 조건은 최대주주 지분 등이 많은 이유 등으로 유통되는 주식 수가 적다면 주식을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 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수요는 있지만 공급이 부족한 경우에 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1.3 시가총액(품절주 조건)

품절주 조건으로 시가총액을 볼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1,000억 원으로 적게 잡혀 있는 경우 등을 볼 수 있습니다.

1.4 우선주

우선주는 유통 주식 수가 적어 품절주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시가 총액이 100억 원 이하의 주식도 있습니다. 우선주에 투자할 경우에는 보통주의 PBR과 PER과 ROE 등의 투자지표를 참고하여 봐야 합니다.

1.5 최대주주 지분과 시가총액:유통주식

최대 주주 지분이 높으면서 시가 총액이 적은 유통주식의 총 수가 10% 이하로 적을 경우를 생각해 보면 품절 주식의 특징과 조건을 모두 갖추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코스닥은 소액 주주 수가 20% 미달일 경우 관리종목 지정 후 1년 더 지속될 경우 상장폐지가 됩니다.

품절주 특징 및 조건

2. 상승 시기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주가 급등이 이루어집니다. 주가가 급등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2.1 이유 없는 상승(세력)

세력은 시가총액이 적은 유동 주식에 소규모 자본을 투입하여 주가의 모멘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조회공시에서도 특별한 이유 없다는 답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주가가 오르는 이유를 찾을 수 없는 급등일 경우에는 주가가 상승하여 수익이 났을 경우 매도하는 전략을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2.2 하루짜리 상승

호재를 찾을 수 없는데 하루 짜리 일시적인 상승이 있을 경우에는 시간 투자를 할 수 있는 여력이 된다면 주식을 매도하길 권장합니다.

2.3 기업 호재

주가 상승의 가장 기본적인 기업의 호재를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의 호재는 매출 및 영업이익 등의 상승이 있을 수 있으며, 계약 체결 뉴스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PBRPER 그리고 ROE를 보고 저평가 된 품절주를 찾아 미리 투자를 한다면 무조건 적인 테마주에 가치 투자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테마주에 가치투자, 또는 성장주 투자 등을 접목할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기업 호재에 우선주의 급등이 온다는 것을 십분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2.4 테마 생성

호재 뉴스가 나올 경우 주가의 급등은 다른 주식보다 크게 변동 할 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2.5 하락장 급등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의 하락장에서 품절 주식은 그동안의 역사를 봤을 경우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보통주는 변동성이 적고 시장을 이끄는 주도주가 없을 경우에 하락장에서 급등하는 특징이 나올 수 있습니다.

♣ 급등한 품절주 사례

품절주 조건이 성립된 경우의 사례로는 한진칼의 경영권 분쟁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2024년 반도체 전망

    2023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이 전년 대비 11.2% 감소해 전체 매출 규모는 전체 매출 규모가 5,3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인 가트너에 따르면 반대로 2024년 반도체 전망은 밝은 편이다. 목차1. 품절주 특징 및 조건1.1 최대주주 지분(품절주 특징)1.2 유통주식 수(품절주 조건)1.3 시가총액(품절주 조건)1.4 우선주1.5 최대주주 지분과 시가총액:유통주식2….

  • 해피아워 세일(3~5% 이상) 전략 및 얼리버드 -레스토랑 피크타임 외 스윙타임 줄이기

    음식점을 운영한다면 2020년 코로나 이후 음식점을 운영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홀 매장의 수요 감소와 코로나를 포함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매장에 피크타임 외 스윙타임에도 손님이 줄었다면 ‘해피아워’와 같은 방식으로 매장 운영의 방식을 바꿔야 할 때일 수 있습니다. 매장마다 차이는 있지만 레스토랑 스윙 타임은 손님이 뜸 할…

  • 부의 추월차선 요약 : 3개의 차선

    부의 추월차선은 천천히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닌 부를 축적하기 위한 지름길에 대해 ‘엠제이 드마코(MJ DeMarco)‘가 지은 책이다. 평범한 인생이 아닌 부와 함께 경제적 자유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고 저자는 부의 추월차선에서 얘기한다. 평범한 인생이란? ‘천천히 부자되기’, ‘서행차선’, 휠체어 탈 때쯤 부자 되기’로 볼 수 있다. 책은 언젠가 관 짝에 눕게 생겼을 때 부자가…

  •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거시 경제학에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를 말 합니다. ‘Stagflation’ 용어를 보면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영국의 보수당 정치친 이언 맥클레오드에 기인합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동시에 높안던 시기 중 1965년 의회 연설에서 이 단어를 사용 했습니다. GDP 하락과 수요(Demand)의 하락이 있지만 물가 상승과 실업률(unemployment)이 오르는 최악의 경제 상황이라고 할…

  •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 발급 받는 4가지 방법

    목차1. 품절주 특징 및 조건1.1 최대주주 지분(품절주 특징)1.2 유통주식 수(품절주 조건)1.3 시가총액(품절주 조건)1.4 우선주1.5 최대주주 지분과 시가총액:유통주식2. 상승 시기2.1 이유 없는 상승(세력)2.2 하루짜리 상승2.3 기업 호재2.4 테마 생성2.5 하락장 급등♣ 급등한 품절주 사례1.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이란?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이란 사업자가 특정기간 신고한 ‘부가가치세 매출과세표준’과 ‘납부세액’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부가가치세세 신고가 완료된 내역에 한해 발급 가능합니다. 세무서 전산 처리 기간에…

  • 펀드란? 펀드와 주식의 차이

    목차1. 품절주 특징 및 조건1.1 최대주주 지분(품절주 특징)1.2 유통주식 수(품절주 조건)1.3 시가총액(품절주 조건)1.4 우선주1.5 최대주주 지분과 시가총액:유통주식2. 상승 시기2.1 이유 없는 상승(세력)2.2 하루짜리 상승2.3 기업 호재2.4 테마 생성2.5 하락장 급등♣ 급등한 품절주 사례 1. 펀드란? 펀드(fund)는 라틴어로 펀두스(fundus)로 땅의 밑바닥을 의미합니다. 상업적인 뜻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경제학에서 펀드는 투자 신탁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