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우분투(Ubuntu) 로고

[Ubuntu] 우분투 설치(22.04.5) | 우분투 root 초기 비밀번호 생성

오라클의 VitualBox로 우분투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먼저 IOS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구글에서 [우분투 서버 다운로드]를 검색해서 설치하고자 하는 우분투 버전을 확인 후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저의 경우는 22.04.5 버전을 설치하기로 했기에 예전 버전을 찾은 후 진행하였습니다. ✅ VitualBox 우분투 ISO 설정 다운로드가 완료 되었다면, VitualBox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가상 머신 이름 입력…

우분투 APM 설치-MariaDB 저장소 다운로드 페이지2_Ubuntu 22.04.5버전에 맞게 설정. DB는 10.11버전

우분투 APM 설치 | 워드프레스 세팅 | Let’s Encrypt SSL 설치

우분투 서버에 Apache, PHP, MariaDB 설치 후 워드프레스 설치와 Let’s Encrypt 보안인증서까지 적용할 예정입니다. 우선 우분투 APM 설치부터 진행할 예정이며, 처음 설치부터 워드프레스 계정 생성 및 도메인 연결 및 인증서 적용까지 세세하게 내용을 풀 예정입니다. ✅ 우분투 서버 기본 업데이트 및 초기 설정 🔲 기본 업데이트 Ubuntu 서버에 기본 업데이트를 먼저 진행하겠습니다. 현재…

syslog 흐름도 예시(Rsyslog.conf에서 관리)

Syslog란 무엇인가? | rsyslog.conf 설정

Syslog는 원래 Sendmail의 일부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로그 관리의 편리함이 인식되면서 독립적인 표준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System Logging의 약자로, 로그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표준 서비스 또는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메일 서버, FTP 서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생성하는 메시지를 중앙에서 수집하여 로그 파일로 저장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 및 해결하며,…

리눅스 시스템 로그 트리맵

리눅스 시스템 로그 정의 및 분류

리눅스 시스템 로그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기록하며,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로그 파일은 시스템의 동작, 오류, 보안 관련 이벤트 등을 기록하고, 관리자는 이를 통해 시스템의 상태를 점검하며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고, 트러블슈팅 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Ⅰ. 리눅스 시스템 로그의 정의…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 설치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 API 토큰 생성 페이지

[Linux]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 설치(Certbot, Feat. Cloudflare)

그동안 let’s Encrypt 일반 인증서를 Certbot 설치 후 사용하다가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를 설치해서 사용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서버는 LightSail Alma Linux apache로 구동되는 서버인데 차후 상황을 봐서 Open Lightspeed 서버로 변경을 고려중이지만 한참 뒤가 될 것 같습니다. 현재는 apache 기준으로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를 설치합니다. 와일드카드 SSL 설치 조건 중 하나가 Certbot의…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certbot 명령어(인증서 관리 및 삭제)

Alma Linux에서 이 사이트에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치를 해 진행하는 중 인증서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이유가 생겨 삭제와 함께 나머지 Certbo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체크하게 되었습니다. certbot 명령어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 certbot 명령어: 인증서 관리 사용 중인 인증서 목록을 보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기존 인증서 재생성 및 업데이트 certonly…

리눅스(Linux)

Apache MPM Module: Prefork, Worker, Event 3가지 방식 비교 및 Event Module 최적화 설정

Apache MPM Module은 Apache HTTP Server의 중요한 부분으로, 서버의 요청 처리 방식을 결정합니다. MPM(Multi-Processing Module)은 서버의 성능과 확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합니다. ✅ MPM Module(Multi-Processing Module) MPM 모듈은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을 정의하며, 서버의 성능, 안정성, 확장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주요 MPM 모듈로는 Prefork, Worker, Event가 있습니다. 확장성과 성능이 중요한 사이트는 Worker MPM을…

Varnish Cache 로고

Varnish Cache란 무엇인가? | Varnish 설치 및 설정하기

Varnish Cache는 동적 웹사이트와 API에 적합한 HTTP 가속기입니다. 이는 스퀴드와 같은 클라이언트 사이드 캐시 역할을 하는 다른 웹 가속기와 달리 Nginx, 아파치와 같은 원본 서버 대신 HTTP 가속기로 설계 되었습니다. 또한, Varnish는 HTTP에 특화되어 있어 FTP, SMTP 및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록시 서버와는 다릅니다. ✅ Varnish Cache 설치 ✅ Varnish Cache 구성…

웹 캐시(Web Cache)

Zend OPcache 개념과 설치 및 설정

OPcache는 PHP script 를 바이트코드(bytecode)로 컴파일한 후에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 시키는 모듈입니다.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PHP 가속기(PHP accelerators) 중 하나인 Zend Opcache 는 PHP 5.5부터 기본 모듈로 내장되었습니다. ✅ OPcache의 주요 기능 ✅ Zend OPcache 설치 PHP 8.3을 이미 설치 해서 서버에 Zend OPcach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했습니다. ✅ Zend…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Apache http2 적용하기(mod_http2)

리눅스 서버에 Apache를 설치하게 되면, 기본 프로토콜은 HTTP/1.1을 기본으로 통신하게 되어 있다. Apache http2는 Apache 2.4.17 버전 부터 DSO 모듈로(mod_http2.so) HTTP/2를 지원한다. HTTP/2(Hypertext Transfer Protocol Version 2)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쓰이는 HTTP 프로토콜의 두 번째 버전이다. Apache http2 적용 http2 적용 확인하기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프로토콜을 확인하면 [h2]로 적용된 걸 확인할 수 있다….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