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NetworkManager | nmtui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방식은 CentOS 5에서는 network 서비스가 기본이며, NetworkManager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CentOS 6부터는 NetworkManager가 OS 설치 시 기본으로 포함되지만, 여전히 network 서비스가 우선되었습니다.

CentOS 7부터는 NetworkManager가 기본 네트워크 관리 도구로 설정되며, network 서비스보다 우선 적용됩니다.

✅ network Service

기존 network 서비스 방식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파일을 수정하여 network 명령어로 재시작 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CentOS 7에서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며, CentOS 7은 ifcfg-enp0s3이라는 이더넷 장치를 사용합니다.

✅ NetworkManager

Red Hat 계열 리눅스 8 이상 버전부터는 systemctl status network 명령어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이더넷] 방식이 더 이상 활성화되어 있지 않거나 권장되지 않습니다.

대신 기본 네트워크 관리 도구로 NetworkManager가 사용되며, 네트워크 설정은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경로에 저장됩니다.

system-connections/ 경로는 빈 경로로 나오며, nmcli 또는 nmtui를 사용해서 새로운 연결을 만들 때 파일이 생성됩니다.

[root@localhost ~]# ll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합계 0

NetworkManager와 관련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그램 명

설명

사용 방식

비고

NetworkManager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서비스(데몬)

네트워크 전반 관리

nmcli

· NetworkManager 명령어 기반 CLI
· NetworkManager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어 기반 CLI

스크립트 자동화에 유용

nmtui

· NetworkManager 텍스트 기반 UI

· NetworkManager Text User Interface

텍스트 기반 UI

터미널 내 직관적 설정 도구

Gnome-control-center

GNOME 데스크탑 환경의 시스템 설정 센터, 네트워크 설정 포함

GUI

GNOME 통합 설정 관리 도구, 네트워크 포함

nm-connection-editor

NetworkManager 네트워크 연결 상세 설정 GUI 도구

GUI

복잡한 네트워크 프로필 편집 및 관리에 특화

🔲 기본 명령어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systemctl start NetworkManager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네트워크 연결 관리는 nmcli와 nmtui를 사용해서 관리합니다.

✅ nmtui 설정

 ~]# nmtui
nmtui-NetworkManager TUI

명령어를 입력하면 화면이 전환됩니다.

연결 편집을 누른 후 편집을 누르면,

nmtui-연결 편집_enp0s3

현재 설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entOS 7lightSail

VirtualBox에 설치한 CentOS 7 설정 화면.

nmtui-연결 편집_enp0s3_편집

LightSail Alma Linux 기본 설정 화면.

nmtui-연결 편집_enp0s3_편집(LightSail Alma Linux 기본 설정)

현재 상태는 이미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에서 수동으로 설정한 상태이며, nmtui에서 자동으로 되어 있는 경우 수동(manual)을 클릭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nmtui-연결 편집_enp0s3_편집_이미 수동 설정

🔲 DHCP 설정

자동으로 IP를 받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nmtui-연결 편집_enp0s3_편집_자동 설정

🔲 자동 연결 & 사용자 접근 권한

[자동으로 연결]은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장치를 활성화 시켜주며, [모든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이 체크는 실제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설정입니다.

nmtui-연결 편집_enp0s3_편집_자동으로 연결&모든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 변경 내용 적용

처음 nmtui에 접속하여 설정한 거라면, 설정 내용을 적용해야 합니다.

설정한 내용의 적용은 [연결 설정화면]에서 <OK>를 누른 후 메인 페이지로 이동하여 [연결 활성화]로 이동한 뒤에

nmtui-NetworkManager TUI
nmtui-연결 편집_enp0s3_연결 활성화_활성화 눌러서 활성화 하기

설정 후 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어로 재시작 해 주거나 재부팅을 진행합니다.

Similar Posts

  • JVM(Java Virtual Machine)

    JVM(Java Virtual Machine)이란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가상 머신입니다. 자바 언어는 특정한 OS(리눅스 및 윈도우 등)에 종속되지 않고 여러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는데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적인 요소가 JVM입니다. Java Virtual Machine은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며, 자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고 이를 실행합니다. 이렇게 변환된 바이트 코드는 JVM에서 실행되며,…

  • 리눅스 tar 명령어: 파일 압축, 해제

    리눅스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해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웹사이트의 이전 등에 mysqldump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앞 글자를 따서 ta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차✅ network Service✅ NetworkManager🔲 기본 명령어✅ nmtui 설정🔲 DHCP 설정🔲 자동 연결 & 사용자 접근 권한🔲 변경 내용 적용✅ 리눅스 tar 명령어의…

  • bash: 셸 따옴표 및 셸 쌍따옴표

    bash 및 셸 프로그램에서 명령어를 치환하는데 ‘$’ 기호와 소괄호'()’를 사용하는 대신 따옴표 기호도 사용합니다. 치환은 수식의 어떤 부분에 그와 대등한 무언가로 바꿔 넣는 행위입니다. ‘셸 따옴표’와 ‘셸 쌍따옴표’의 기본 공통 사항은 확장을 제어하는데 활용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차이점은 셸 따옴표는 모든 확장을 제어하지만 셸 쌍따옴표는 3개의 기호를 제외하게 됩니다. 셸 쌍따옴표 제외 기호: $…

  • Rsync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Rsync 명령어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원격에서 로컬, 로컬에서 로컬로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rsync에는 두 가지 접속 방법이 있는데 SSH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과 rsync 데몬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목차✅ network Service✅ NetworkManager🔲 기본 명령어✅ nmtui 설정🔲 DHCP 설정🔲 자동 연결 & 사용자 접근 권한🔲 변경 내용 적용 ✅ rsync의 두 가지 접속…

  • [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및 mv 명령어 옵션

    리눅스 mv 명령어는 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인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network Service✅ NetworkManager🔲 기본 명령어✅ nmtui 설정🔲 DHCP 설정🔲 자동 연결 & 사용자 접근 권한🔲 변경 내용 적용✅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의 기본…

  • [HPE] HPE iLO란 무엇인가?

    목차✅ network Service✅ NetworkManager🔲 기본 명령어✅ nmtui 설정🔲 DHCP 설정🔲 자동 연결 & 사용자 접근 권한🔲 변경 내용 적용HPE iLO(Integrated Lights-Out)란? HPE iLO( Integrated Lights-Out)는 서버의 초기 구축과 관리 및 운영 현황과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HPE(Hewlett-Packard Enterprise)의 독자적인 내장형(Embedded) 서버 관리 기술로써 서버의 기본 NIC((Network Interface Card or Controller) 외 물리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