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I 지수란

주식 투자 시 PBRPER, ROE와 같은 주식 투자지표를 본다면, 전체적인 경제지표를 볼 때 보는 지수 중 하나가 PMI 지수입니다. 미국이 세계 경제의 중심인건 여전하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PMI 지수란 미국 공급관리자협회(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 ISM)가 매월 400개 이상 기업의 구매 및 공급 관련 사항을 설문조사 한 결과를 산출한 지수입니다. PMI(Purchasing managers’ indexes)는 직역 그대로 해서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입니다.

PMI 지수는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에서도 경제지표를 확인하기 위해 조사하는 지표이므로 각국의 ‘구매 관리자 지수’는 인터넷을 찾아보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PMI 지수는 앞으로의 전반적인 경기가 좋아질지 나빠질지 예상하는 지표 중에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1. PMI 지수란-산출 내용

측정하는 산출 내용은 신규 수주, 신규 수출수주, 수주 잔량, 수입, 공급자 납기, 생산, 재고, 고객재고, 고용 및 물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신규 주문: 고객의 신규 주문 수준을 반영합니다.
생산: 생산 수준에서 변화의 속도와 방향을 측정합니다(있는 경우).
고용: 고용 수준의 증가 또는 감소 비율을 보고합니다.
공급업체 배송: 공급업체의 배송이 더 빠른지 느린지 보여줍니다.
재고: 재고 수준의 증가 및/또는 감소를 반영합니다.
고객 재고: 조직의 고객이 보유한 재고 수준을 평가합니다.
가격: 조직이 제품/서비스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지 아니면 더 적게 지불하는지 보고합니다.
주문 잔고: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관계없이 주문 잔고의 양을 측정합니다.
신규 수출 주문: 주문 수준, 서비스 요청 및 미국 외 지역에서 제공될 기타 활동에 대해 보고합니다.
수입: 수입된 재료의 변화율을 측정합니다.

중점으로 산출한 내용은

신규 수주 20%
생산 20%
고용 20%
공급업체 납품 20%
재고 20%

입니다.

PMI 지수란

2. PMI 지수 기준(미국 공급관리자협회)

PMI 지수의 산출 기준은 0부터 100까지이며, 보통 50을 기준으로 산출된 수치가 50 이하일 경우 제조업 회사가 판매가 저조할 것을 예상하여 수주 및 생산 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에 구매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기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을 합니다. 반대로 50 이상이면 반대로 제품의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여 기업이 신규 수주 및 생산, 고용 등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지수가 올라 갔다고 할 수 있습니다.

0~100 사이인 PMI 지수는 전월 기준으로 50보다 낮을 경우 제조업 경기 수축, 50 이상일 경우 제조업 경기 팽창을 의미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3. PMI 지수 확인 사이트

3.1 주로 찾는 사이트

3.2 국가별 찾는 사이트

세계 여러 나라의 PMI 지수를 볼수 있는 사이트로 ‘https://tradingeconomics.com/‘이 있습니다.아래 메인 홈페이지 접속 후 아래의 사진 순서대로 접속하면 세계 PMI 지수 및 미국, 유럽, 아시아 등의 PMI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사진은 대한민국의 PMI 지수를 확인할 사진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한국의 상호저축은행과 상호신용금고법(1972년 8월 3일 제정)

    한국의 상호저축은행(federation of savings banks)은 서민과 영세 상공인상공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금융 편의 도모와 저축 증대를 위해 1972년 상호신용금고법이 제정되어 설립된 제도 금융 기관입니다. 사채 등 지하경제의 제도권 흡수를 위해 정부는 1972년에 사금융양성화 3법과 1975년에 종합금융회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기업에 대한 사채을 동결하고, 단기금융업법, 상호신용금고법, 신용협동조합법 등을 실시했습니다. 현재는 저축은행으로 불리고 있지만 저축은행은 아닌…

  • 변리사법 시행령 개요 및 제5조의3 | 변리사란?

    상표 및 상표권 및 특허 등의 산업재산권을 특허청에 등록하려면 보통 변리사 사무실을 찾게 됩니다. 변리사가 하는 업무는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법률업무(산업재산권: 상표 및 특허 등의 출원, 심판, 소송)를 진행합니다. 법률 업무는 변호사가 담당하는 업무였지만 18세기에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발명에 대한 특허권이 중요해지면서 변리사 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로써 법률 지식만으로는 처리가 어려운 발명 기술과 관련된…

  • 펀드란? 펀드와 주식의 차이

    목차1. PMI 지수란-산출 내용2. PMI 지수 기준(미국 공급관리자협회)3. PMI 지수 확인 사이트3.1 주로 찾는 사이트3.2 국가별 찾는 사이트 1. 펀드란? 펀드(fund)는 라틴어로 펀두스(fundus)로 땅의 밑바닥을 의미합니다. 상업적인 뜻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경제학에서 펀드는 투자 신탁의 신탁 재산을 의미하며,투자신탁 회사는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서 펀드를 만들어서 투자를 하는 집합투자 조직을 말합니다….

  • 2022년 배달대행업체 사기 사례

    2022년 코로나가 장기화 되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플레이션 및 배달비 등 많은 자영업자들이 힘든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배달대행업체’ 사기 관련 글들이 네이버 카페에 올라와서 글을 하나 씩 모아서 정리해 봤습니다. 목차1. PMI 지수란-산출 내용2. PMI 지수 기준(미국 공급관리자협회)3. PMI 지수 확인 사이트3.1 주로 찾는 사이트3.2 국가별 찾는 사이트1. 배달대행업체 사기 사례 1.1 별내…

  •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지급준비율 7%와 통화승수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걸까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본 원인은 화폐의 사용량이 계속해서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자본주의 시스템에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화폐의 양이 늘어나는지 우리는 알 필요가 있습니다. 급여생활자와 사업자 및 투자자 사이의 부의 양극화가 심해질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이 글에서 풀어보겠습니다. 목차1. PMI…

  • 재무상태표란?

    목차1. PMI 지수란-산출 내용2. PMI 지수 기준(미국 공급관리자협회)3. PMI 지수 확인 사이트3.1 주로 찾는 사이트3.2 국가별 찾는 사이트 ■ 재무상태표란? – 자산과 부채,자본 재무상태표란? 기업의 자금 운영에 대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재무에 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를 이야기합니다.‘재무상태표’ 는 재무제표 4가지 항목 중 하나입니다. 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제정하는 회계 기준이며, IFRS에 따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