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knew say you knew. 신이 주신 계획보다 더 위대한 계획이 나에게 있다. Thinking doesn't cost money. I will live not as a dog without freedom, i will freedom wolf with free pride and self-conceit.
  • [Linux] NetworkManager | nmtui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방식은 CentOS 5에서는 network 서비스가 기본이며, NetworkManager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CentOS 6부터는 NetworkManager가 OS 설치 시 기본으로 포함되지만, 여전히 network 서비스가 우선되었습니다. CentOS 7부터는 NetworkManager가 기본 네트워크 관리 도구로 설정되며, network 서비스보다 우선 적용됩니다. ✅ network Service 기존 network 서비스 방식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파일을 수정하여 network 명령어로 재시작 하는 방법을…

  •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 timedatectl(CentOS7 이상)

    리눅스에서 날짜 및 시간 설정이 필요한 이유는 서버 운영 중 시간이 잘못되면, 입력되는 DB데이터, 로그 데이터, 웹 서버에 접속한 기록 등의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를 사용하는데 있어 OS는 두 개의 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시스템 시계(소프트웨어 시계), 하드웨어 시계(실시간 시계, BIOS 시계)입니다. ✅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

  • [Linux] lsof 명령어: 실행 중 파일 정보 출력

    lsof 명령어는 lisf open files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파일의 정보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lsof 명령어는 파일을 포함하여 디렉터리, 네트워크 소켓, 파이프 등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다양한 리소스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lsof 명령어 기본 구문 명령어만 입력 했을 때는 현재 시스템에서 열린 모든 파일과 관련된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합니다. ✅ lsof 명령어…

  • [Linux] stat 명령어 : 파일&파일 시스템 확인

    리눅스 stat 명령어는 파일 및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 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tree 옵션 ✅ 사용 예시 🔲 전체 경로 포함하여 출력: -f 기본 대상 폴더의 기본 파일만…

  • 리눅스 ls 명령어

    ls 명령어는 list의 약자이며,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를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의 종류와 파일의 크기, 만들어진 날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s 명령어 사용 시 [파일 or 디렉토리]를 입력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를 검색합니다. ✅ ll 명령어(ls -l) ll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ls -l 명령어를 간편하게 쓰기…

  • 리눅스 pwd 명령어 & realpath 명령어 | 절대 경로 위치 확인

    ✅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절대 경로를 표시합니다. 🔲 명령어 옵션 pwd 명령어는 간단한 명령어로 옵션은 2가지만 존재합니다. ✅ realpath 명령어 realpath 명령어는 실제 경로를 절대 경로로 보여주는 명령어로, 심볼릭 링크의 실제 경로를 확인할 때 함께 사용합니다.

  • 리눅스 chage 명령어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 chage 명령어 옵션 ✅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 비밀번호 만료…

  • 윈도우 서버 IIS 도메인 연결[2022 ver]

    윈도우 서버 2022 버전에 IIS를 설치 한 후에 도메인 연결 작업을 진행 해 보겠습니다. IIS 도메인 연결 전 네임서버의 A레코드는 이미 윈도우 서버에 연결된 상태입니다. 테스트 도메인으로 진행합니다. ✅ 폴더 권한 주기 도메인 연결 테스트를 위해 미리 생성한 C:\web 폴더에 권한을 줍니다. ✅ IIS 도메인 연결 먼저 IIS 관리자에서 [사이트]를 우 클릭 후…

  • 윈도우 서버 SSL 인증서 설치[2022 ver]

    LightSail의 윈도우 서버 SSL 인증서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윈도우 서버의 버전은 2022입니다. 테스트 SSL 인증서는 https://www.cyberssl.com/에서 Free 30일 도메인으로 신청해서 진행했습니. ✅ 윈도우 서버 SSL 인증서 설치 🔲 DCV 인증 DCV 인증은 업로드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엑티브로 인증 진행 ✅ 서버 인증서 등록 원격 데스크톱에서 웹 접속을 통해 직접 인증서를 다운로드 할 수 있지만…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